[SPECIAL FEATURE] 베니스 비엔날레 2017 – 한국관의 코끼리 – 누가 봐도 보이는, 그러나 감히 말 못한 진실

코디최 〈Venetian Rhapsody – The Power of Bluff〉 네온, LED, 철, 캔버스, PVC 1243×1033×111cm 2016~2017 한국관 외관 전경. 마카오,라스베가스 카지노를 연상시키는 베니스비엔날레의 허세를 비판하며,수잔 스트레인지의〈카지노 캐피탈리즘〉을 소환한다.

한국관의 코끼리 – 누가 봐도 보이는, 그러나 감히 말 못한 진실

이대형 |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예술감독, 현대자동차 아트디렉터

안에 거대한 코끼리가 앉아 있다. 누가 봐도 명백한데, 그것이 보이지 않는다고 의도적으로 무시하며 코끼리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어쩌면 코끼리가 방안에 들어오게 만든 직간접적 관계자이기 때문에 혹은 코끼리가 두려워 코끼리를 보고도 코끼리가 있다고 말하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글은 2017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전시 콘셉트에 대한 글이 아니다(전시 콘셉트 전문은 http://korean-pavilion.or.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대신 비엔날레를 준비하면서 만난 한국 미술계의 고질적인 배타주의, 계급주의, 그리고 파벌문화라는 비대한 코끼리에 대한 고발이다.
“중국, 홍콩, 대만은 정치적인 입장이 서로 다른지만, 예술을 논할 때만큼은 서로를 격려하고 포용하고 응원한다. 그들은 예술이 경계를 초월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다름’을 수용하는 활동으로 생각의 유연함을 끌어낸다는 것을 증명한다. 그러나 한국은 서로 헐뜯고 비방하며 상대를 끌어내리기를 좋아하는 것 같다.” 지난 6월 11일 저녁 베니스의 한 식당에서 미국의 저명한 미술사가가 한 말이다. 그는 비엔날레 공식 개막을 일주일 앞두고 열린 한 국제학술행사 공식석상에서 한국을 대표해 참가한 모 큐레이터가 이번 한국관을 거론하며 “감독은 상업화랑 출신이고, 전시 콘셉트는 난해하고, 작가 선정을 두고 논란이 많다. 참으로 이번 한국관 전시가 걱정스럽고 여러분께 죄송스럽다”고 한 데 대해 그/그녀의 기행을 가리켜 “마땅히 학술 이야기를 하는 자리에서 자국의 동료 큐레이터와 작가들을 비방하기 바쁜 참으로 이상한 사람이었다”고 회고했다. 별로 놀랍지 않은 장면이다. 이와 똑같은 흠집내기는 1년 전 광주비엔날레 VIP 만찬장에서도 있었다. 당시 만찬에 참여한 해외미술 관계자 역시 “전시 내용은 보려 하지 않고, 출신성분을 따지는 한국 미술계의 시대착오적인 배타주의와 계급의식”을 비판했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왜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을 논하는 데 미술언어가 아닌 정치언어가 동원되어야 하는가? 매번 예술감독과 작가 선정을 둘러싸고 논란이 이는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의 ‘흑역사’는 있었지만,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는 역대급 ‘흑역사’의 소설을 쓰기에 충분한 소재였다. 전시 준비 과정에 터진 최순실 게이트의 진실을 규명하기 위한 언론사들의 과도한 경쟁을 틈타 의혹과 루머가 사실인 것처럼 전달되었고, 이는 곧바로 악의적인 기사가 되었다. 필자 역시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의 최순실 게이트 연루 의혹을 다룬 페이크 뉴스로 고통스러운 2달을 보냈다. 24시간 만에 진실은 밝혀졌지만, 이미 많은 것을 잃었다. 가장 중요한 시기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필수적인 후원금이 취소되어 설치작품(베네치안 랩소디)의 40%를 덜어내야 했고, 이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에 급속도로 퍼져나간 기사는 또 다른 의혹을 확대재생산하며 예술감독, 작가, 전시 모두에 ‘최순실’, ‘차은택’ 낙인을 찍어버렸다. 그 결과 예정되어 있던 비엔날레 특강은 취소되었고, 모 대학과 모 기관의 학술세미나 담당자로부터는 “참석이 어렵겠다”는 통보를 받았다. ‘낙인’ 효과의 위력은 지난 3월과 4월에 잡혀 있던 해외 미술매체와 글로벌 유력 매체와의 인터뷰까지 취소시켰다. 한국관을 둘러싼 악의적인 소문은 이미 한국을 넘어 세계로 향하고 있었다.
또한 전시 준비기간 내내 “상업화랑 출신 논란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녔다. 안타깝게도 이는 조선시대 양반, 농민, 상민, 천민 계급을 연상시키는 출신성분 논란으로, 수많은 미술계 청년을 좌절시키는 구시대적 적폐의 하나이다. 진보적인 지식인이라면 미술계를 수직 계급 구조로 해석하는 그 어떠한 시도도 거부할 수 있어야 한다. 수직적인 줄세우기, 편가르기식 문화를 극복하고, 조금 더 포용하는 문화로 바꿀 수는 없을까? 비엔날레라는 글로벌 플랫폼이 가져다 줄 수 있는 황금 기회를 조금 더 많은 사람과 나눌 방법은 없을까?
고민 끝에 지난 10년 이완 작가의 작품세계를 구축하는 데 함께한 류병학, 류지연, 김노암, 유진상, 김희진, 정신영, 구경화, 안대웅, 장-루이 푸아트방(Jean Louis Poitevin), 신현진 등 10명의 큐레이터와 평론가의 이름이 떠올랐다. 그리고 그보다 더 긴 세월인 지난 30년간 코디최 작가를 연구한 마이크 켈리(Mike Kelly), 데이비드 페이걸(David Pagel), 제러미 길버트-롤프(Jeremy Gilbert-Rolfe), 사울 오스트로(Saul Ostraw), 제리 살츠(Jerry Saltz), 제프리 다이치(Jeffrey Deitch), 피터 할리(Peter Halley), 리나 야나(Reena Jana), 사라 다이아몬드(Sara Diamond), 데이비드 리마넬리(David Rimanelli), 강수미, 로렌스 리켈(Laurence Rickels)의 얼굴이 떠올랐다. ‘이들의 평론글을 묶어 신문으로 펴낼 수 있다면 코디최, 이완 작가를 연구하려는 전 세계 학생, 큐레이터들에게 매우 가치 있는 자료가 되지 않을까?’하는 상상을 해보았다. 이완 작가의 10년 역사와 코디최 작가의 30년 역사를 압축 게재한 신문이 만들어진 배경이다. 여기에 더해 한국관의 전시 역사와 Mr. K를 둘러싼 근대사연표를 담아낸 한국관 신문에는 미술사가 존웰치먼(John Welchman)과 큐레이터 스테파니 로젠탈(Stephanie Rosenthal)의 작가 연구관까지 실었다. 이를 위해 2달 동안 매주 금토일 연속 ‘하루 한 시간 잠자기’에 돌입했고, 별도의 편집팀을 꾸렸다. 그렇게 탄생한 한국관 발행 신문 3종 2만 부를 통해 적어도 35명 이상의 큐레이터와 평론가의 목소리를 전 세계 미술계에 선보일 수 있게 되었다. 여기에 더해, 김도형 디자이너와 네이버, 삼성물산과 협업해 한국의 젊은 디자이너 10인을 소개하는 디자이너 가방을 기획하였다. 그 결과 한국관의 디자인 기획물들이 미국의 클라크 아트 인스티튜트 라이브러리(Clark Art Institute Library)로부터 컬렉션 요청을 받는 성과도 거뒀다. 비엔날레가 예술감독과 참여작가만을 위한 전시에서 벗어나 수십여 명의 큐레이터와 평론가, 디자이너, 에디터, 번역가, 건축가 그리고 텀블벅 기금마련에 참여한 개인 후원자까지 함께 프로모션 할 수 있는 생태계로 진화한 것이다.

IMG_9804

이완 < Proper Time > (부분, 벽면 시계 설치작업) 668개의 시계 2017 서로 다른 속도로 돌아가는, 세상에서 가장 부정확한 668개의 시계가 역설적으로 668명의 삶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 < For a Better Tomorrow > (전시장 가운데 조각설치) 플라스틱 60x70x70cm 2016~2017 가짜 대리석, 가짜 브론즈, 표정을 잃어버린 가족상으로 대변되는 한국의 오늘. 그리고 그들을 기다리는 공허한 미래

드디어 5월 9일 한국관이 오픈했다
“국가를 대표한다는 자부심과 명예를 지키는 동시에 국가를 비판할 수 있을까?” CNN의 아마-로즈 맥나이트 아브라함(Amah-Rose McKnight-Abrams) 기자가 한국관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들며 던진 질문이다. 한국에서 “난해”하다고 비판받은 ‘할아버지-아버지-아들’로 이어지는 3대의 관점과 전시 콘셉트 “Counterbalance” 그리고 한국에서 인색한 평가를 받아온 코디최의 작품과 순수 국내파 이완의 작품에 대한 해외 언론과 전문가들의 평가는 기대 이상이었다. FT, 가디언, 이코노미스트, 뉴욕타임스, 아트뉴스페이퍼, AP뉴스 등의 해외 매체에서 앞 다투어 꼭 봐야 할 전시로 평가했고, 전시장을 방문한 크리스 더컨(Chris Dercon, 전 테이트모던 관장),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Hans-Ulrich Obrist, 서펜타인 갤러리 디렉터), 마크 브래드퍼드(Mark Bradford, 미국관 대표작가), 아담 와인버그(Adam Weinberg, 휘트니미술관 관장), 나이젤 허스트(Nigel Hurst, 사치갤러리 대표) 등 각국의 인사들은 “‘트랜스 내셔널(trans-national)’의 문제와 ‘트랜스 제너레이셔널(trans-generational)’의 문제를 교차시켜 한국?아시아?세계의 문제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 매우 명쾌한 접근”이라고 평가했다.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한국에서는 잘 이해받지 못한 전시 콘셉트가 한국을 벗어나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세상에 나와 오히려 날개를 달았다.
전시 <Counterbalance: The Stone and the Mountain>은 3가지 지정학적 관점과 3가지 세대의 관점을 결합시킨 뒤, Mr. K를 둘러싼 한국 근대사의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맥락 위에 코디최와 이완을 위치시켰다. Mr. K라는 고스트를 소환하면서까지 3세대의 관점을 구성한 이유는 가족사진에 있었다. 가족이야말로 인류가 지금까지 존재의 가치를 지킬 수 있었고, 앞으로도 용서와 화해를 통해 지속적으로 인류의 가치를 지켜나갈 수 있게 해주는 힘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는 단순히 한국의 문제가 아닌 아시아 그리고 세계의 문제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한국관에서 전시의 3세대 관점을 설명하고 있으면, 나이든 유럽의 관객이 손을 들고 말한다. “우리 역시 트랜스 제너레이셔널의 문제를 경험하고 있어요.  3대의 관점 차이는 한국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발생합니다.”
이렇듯 어렵지 않게 전 세계인의 공감을 불러온 전시개념이 왜 한국 미술계에서는 쉽게 이해되지 못했던 것일까? 왜 우리는 전시내용을 들여다보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고 정치적인 프레임을 통해 보고 싶은 것만 보며, 트집잡고 흠집내기에 열중할까? 인맥과 친분 관계를 극복한 작가 선정을 왜 아직도 이해하지 못하는가? 마시밀리아노 지오니가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아마추어 마리노 아우리티(Marino Auriti, 세무서 직원)의 《백과사전식 전당》(1955)을 베니스비엔날레 본전시 타이틀이자 메인 작품으로 섭외한 파격을 기억하는가? 미술계를 인간의 몸에 비유하면 심장, 혈액순환, 뇌, 골격, 허파, 피부, 입, 항문 등 각자의 역할이 있을 것이다. 그중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을 텐데 자칭 미술계의 “주류”입장에서 바라본 오장육부는 상호 수평적인 관계가 아닌 수직적이고 배타적인 어떤 것처럼 보인다.
자, 지금 당신 눈앞에 비대하게 살찐 코끼리가 보인다. 명백하게 보이는 저 코끼리 앞에서 당신은 코끼리가 있다고 직접 말할 수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