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혈 독자

contents 2014.2. 열혈 독자
신도들과 함께 보는 《월간미술》

원욱스님
반야사 주지

이번 호 ‘열혈 독자’ 코너를 위해 만난 원욱스님은 최근 다녀온 일본 이야기로 취재일행을 맞이했다. 1월호 본지에 실린 히로시 스기모토의 전시를 일본에서 보게 되서 반가웠다했다. 그러면서 바쁜 일정으로 아직 이번 호를 다 읽지 못했다며 미안함을 내비치기도 했다. 하지만 맛과 향이 은은한 뽕잎차(茶)를 함께 마시며 몇 마디가 오고가자 이내 여유를 되찾았다. 36년 전,
속세 나이로 20세에 출가한 원욱스님은 현재 서울 목동에 자리 잡은 반야사의 주지다. 13년 전 이곳에 터를 잡은 반야사는 비구사찰(比丘寺刹)로 조계종에 속해 있다. 원욱스님은 미술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누군가 고향을 물으면 ‘박수근의 고향 양구’라고 소개한다고. “아버지께서 그림을 무척 좋아하셨어요. 특히 김환기 작품을 무척 좋아하신 것으로 기억합니다. 전시와 관련한 도록과 사진 등 자료를 구해서 보여주시곤 했어요. 또한 아버님지와 서울로 나들이를 가면 덕수궁미술관을 종종 들르곤 했지요.” 출가 후, 불교미술에 관심을 갖게 됐고 이 관심은 미술 전반으로 확대됐다. “불교미술이 융성한 고려시대의 불화는 사실 몽골의 침략으로 피폐해졌을 때도 제작됐어요. 그러니깐 당시 그려진 불화는 고려인의 유일한 안식처였던 셈이지요.” 이렇게 미술은 시대의 역사는 물론 정서까지 담는다. 스님은 그러한 불교미술을 바라보는 당대 속세인의 시선이 늘 궁금했다면서 미술에 대해 깊게 관심을 기울인 이유를 설명했다. 원욱스님의 이러한 미술 애호는 사찰 곳곳에서도 발견됐다. 인터뷰가 진행된 접견실에는 현대미술풍의 탱화가 걸려있고, 사찰의 계단벽까지 작품으로 빼곡했다. “지금까지 모은 작품이 약 30여 점 됩니다. 마치 전시회를 열 듯 작품을 바꿔가면서 선보이고 있어요. 때로는 신도가 제작한 작업을 걸기도 합니다.”
본지를 통해 우리 근대 서양화의 흐름을 살펴보고 싶다는 주문을 한 원욱스님은 본지를 소장하기보다 읽고 싶은 이에게 기꺼이 나눠준다고. 예술로 인한 감흥은 나누면 배가 되기 때문이다. 부디 원욱스님의 미술을 통한 포교활동
(?)에 본지가 자그마한 힘이 되길.

황석권 수석기자
일상의 마시멜로우

김갑영
주부

한 달에 한 번 독자 김갑영은 마법에 빠진다.《 월간미술》을 펼치는 순간 누군가의 아내로, 어머니로, 며느리로 살던 그녀는 온전히 자기만의 시간을 갖는다. 그녀는 “미술작품을 보고, 미술잡지를 읽는 시간은 달콤한 디저트를 먹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미술을 만나는 동안 모든 것에서 벗어나 힐링의 시간을 갖는다.
《 월간미술》을 구독한 지 벌써 7년째. 미술에 관심을 키워가며 미술잡지를 통해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자 했던 그녀는 한 아트페어의 미디어부스에서 본지와 첫연을 맺었다. 이후 매년 자신의 관심사를 기억하고 그에 해당하는 전시 티켓이나 도록을 챙겨주던 담당직원의 배려에 지금까지 정기구독을 이어왔다. 구독하면서 분명 아쉬운 점도 있었을터. 김 씨는 전문잡지다보니 지면의 글이 난해한 면이 있다고 말하며 “폭넓은 문화 전반의 기사도 간간이 볼 수 있으면 여유 있는 구성이 될 것 같다”는 의견을 말했다. 더불어 한국 미술계의 새로운 얼굴과 해외미술의 소식을 접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반면《 월간미술》이 현대미술 뿐 아니라 고미술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보여주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했다.
그녀는 예술의전당에서 진행하는 전시장 투어 프로그램에 8년 가까이 참여하고 있다. 매달 한 번씩 전문가의 설명을 들으며 전시를 관람하다보니 미술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생겨 문화센터 미술 관련 강의도 찾아듣지만 취미 이상
전문가이하 커리큘럼으로 짜인 교육기관이 드물다며 아쉬워했다. 아무래도 그녀가 10여 년간 대학에서 생물학을 가르친 경험이 자연히 미술 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 듯 하다. 그녀는 강의 당시,《 미켈란젤로미술의 비밀》이란
책을 접하고 바티칸 성당 천장화에 나타난 군상과 인체해부를 접목한 교습으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했다.
이제 그녀는 가정주부로서 기업인 대상 일색인 대학 산하 문화강좌나 전문가 양성을 위한 대학원이 아닌 공부할 수 있는 곳을 찾는다. 꼼꼼한 성격을 살려 문화재복원을 배워볼까 생각해본 적이 있다며 수줍게 미소 짓는 그녀의 입
가에서 행복함이 느껴졌다. 그녀에게 미술은 분명 힐링 그 이상이다.

임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