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PEOPLE 박우홍 제 17대 한국화랑협회 회장・동산방화랑 대표

代를 이은 畵商, 화랑협회 수장이 되다

3월 21일부터 24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33회 화랑미술제> 전시 포스터
위 2014년 9월 25일부터 29일까지 열렸던 <한국국제아트페어(KIAF)> 전시광경. 박 회장은 “임기 중 <KIAF>를 재설계할 것”임을 밝혔다
박우홍 동산방화랑 대표가 2월 12일에 열린 사단법인 한국화랑협회(이하 ‘화랑협회’) 정기총회에서 제17대 화랑협회장에 선출됐다. 국내외 경제 침체로 우리 화랑가의 표정도 그리 밝진 못한 터라 더욱 막중한 책임이 지워진 지금, 3년 임기를 시작하는 박 회장을 만났다.
박 회장은 “화랑협회가 1976년 출범할 당시에는 회장을 맡은 이의 화랑에서 곁방살이를 했는데, 현재 회원화랑 수만 140여 곳에 달할 정도로 위상이 높아졌습니다. 이전 선배들의 공이지요”라고 인터뷰의 운을 뗐다. 그러나 현재 한국 미술시장은 화랑협회의 위상에 걸맞은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남는 표정이다. 박 회장은 현재 우리 미술시장이 봉착한 어려움의 원인을 분석했다. “우리 시장이 협소한 것은 잘 알려졌지요. 그런데 주변국인 중국, 일본, 싱가포르 등의 상황도 매우 안 좋아요.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아트바젤 홍콩>이 성황을 이루며 활발한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죠. 그러니 우리 작가를 아시아에서 열리는 다양한 아트페어에 소개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럴 때 자국 시장에서 받쳐줘야 하는데 구조적 문제로 그러지를 못하고 있어요.” 작금의 상황에 대한 답답함의 토로다.
불황도 문제지만 시장 상황의 왜곡으로 화랑에 대한 불신이 커진 것도 큰 문제다. 박 회장은 이를 선결해야 할 과제로 꼽았다. “한 사회에서 화랑문화가 성숙하려면 충분한 시간과 교육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최근 일고 있는 특정 장르에 대한 열풍은 설익은 감이 없지 않아요. 이를 뒷받침할 전시와 비평적 논리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시장의 열풍은 거품과 같아서 금방 꺼져버릴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말이다. 이제 그는 한 단체의 수장으로 정책 입안 과정부터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야 한다. 박 회장은 현재 입법부는 물론, 정책 입안을 담당하는 주무부서도 화랑계를 불신하는 실정이라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화랑에 대한 이미지 쇄신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임기 중 이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겁니다. 화랑협회가 문화예술 분야의 한 축을 담당함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상인들의 이익단체로 치부하는 시선을 느낍니다. 그간 쌓이고 쌓인 불신이 지금의 상황을 만든 것이겠죠.” 이를 타개해 이후 화랑계를 이끌어갈 세대들을 위한 초석을 다지는 데 역량을 기울일 것을 출마소견서에 적시했던 박 회장이다.
우리 미술시장을 몇몇 대형 화랑이 장악한 상황과 경매사와의 갈등도 풀어야 할 과제로 지적된다. 이 문제에 대해 박 회장은 회원 화랑의 의견수렴을 적극적으로 해 하나 하나 풀어가겠다고 말했다. 또한 컬렉터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화를 지향하되, 질이 담보되며, 일반인이 컬렉터가 되는 데 있어 높은 문턱을 의식하지 않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는 점을 들었다. 작가의 유족이나 컬렉터의 기부문화 활성화와 그에 대한 정책적 지원도 필요함을 역설했다. 올해 시장을 예상해달라는 주문에 대해서는 “더 떨어질 것은 아니나, 나아지지도 않을 것”이라고 다소 비관적으로 전망했다. 덧붙여 <화랑미술제>나 향후 열릴 <한국국제아트페어(KIAF)>의 변혁을 예고했다. “특히 <KIAF>는 적극적인 모멘텀을 만들려고 합니다. 이에 7개국(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싱가포르, 홍콩, 호주) 화랑협회와 머리를 맞대고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할 묘안을 찾고 있습니다. 상호 단체가 주관하는 아트페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또한 컬렉터를 연결시키는 등의 방안을 모색 중입니다.” 그러면서 KIAF의 재설계도 임기 내에 이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장에 맡겨 미온적으로 대처하지 않겠다는 말이다.
박 회장의 부친은 화랑협회 2, 6대 회장을 역임한 박주환 전 동산방화랑 대표다. 지금도 고미술 전람회를 기획할 때면 부친에 대한 헌정전으로 생각한다는 박 회장이다. 이번 회장직 선출로 우리 화랑협회 역사상 처음으로 부자(父子) 회장이 탄생했다. 2대에 걸쳐 화랑을 운영하는 그에게 현재 화랑계의 가업화(家業化) 상황에 대해 물었다. “우리 화랑은 당대에 한 작가의 특정 작품 경향을 트레이드마크화해 올인하는 경향이 있어요. 외국의 경우 할아버지 대에 상대하던 작가가 손자 대에 이르러 큰 평가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죠. 그래서 화랑의 가치를 인정받습니다. 따라서 후대에 이르러 평가받을 수 있는 작가를 발굴하고 대를 이어 지원하고 평가받을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해야 합니다.” 그러면서 화랑의 역사가 오래된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발굴 작가가 의미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다시 미술관이나 비평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한 셈이다.
새로운 수장의 선출로 화랑계가 침체된 분위기를 쇄신하고 미술계의 한 축으로서 도약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황석권 수석기자

박 우 홍 Park Woohong
1952년 충남 당진에서 태어났다. 단국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인사전통문화보존회 이사 및 부회장(1997~2002), 한국화랑협회 감정위원(2002), 한국미술품 감정평가원 감정위원(2005~2014), 한국화랑협회 부회장(2009~2012) 등을 역임했다. 2000년부터 동산방화랑 대표를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