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 광장

변화, 지속, 소통의 톱니바퀴가 잘 맞물리길 바라며

신년호가 새해를 맞기 위해 재정비하는 고민들을 담고 있었다면, 2월호는 그야말로 한 해를 맞는 시작점에 해당하는 정보를 제시하는 호였다고 평가하면 적절할 것 같다. 지난해에 개막한 전시들을 뒤로하고 진정 새해에 개막하는 전시들, 미술행사들을 기다리고 있는 지금, 한 해의 전시를 프리뷰하는 지면은《 월간미술》을 사랑하고, 미술을 애정하는 독자들에게 봄바람 같은 설렘을 안겨주었으리라. 젊은 작가들을 소개한 지면도 마찬가지다. 이들에 대한 소개는 곧 앞으로 미술계에 불어올 바람을 미세하게나마 먼저 느낄 수 있는 창구이니 말이다.
지난 1년간, 아직 넓은 시야를 갖추지 못한 학생으로서 전통 깊은 미술잡지를 모니터하며 의견을 제시한다는 것이 부담스러웠지만, 나와 같은 위치에서 《 월간미술》을 지켜보는 독자도 있으리라 생각하며 느낀 점, 제시하고 싶은 점들을 전해보았다. 그리하여 1년이 지난 지금, 《 월간미술》을 되돌아보면 상당한 변화, 그것도 지속과 변화가 적절히 배합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것이 모니터들의 의견이 반영된 것이든 《 월간미술》 내의 변화에 따른 고민이 반영된 것이든 지면 구성부터 새로운 코너의 신설, 기사를 선정하는 기준, 논하는 시각, 제시하는 방법까지 다양한 부분이 변했고, 또 그 변화의 일정부분은 분명 독자와의 소통을 통한 것이었다고 느낀다.

강한라

젊은 작가를 향한 젊은 시도

20~30대 예술가들 사이에는 흔히 이런 말이 떠돈다. ‘마흔까지만 버티면.’ 이 말은 마흔 살이 될 때까지 작업을 지속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말해준다. 실제로 수많은 20~30대 작가가 경제적 어려움과 불안한 미래에 무시로 흔들린다. 현실은 냉혹하다. 사회적 배려마저 없다면 그들은 꿈과 현실 속에서 어느 것을 택하게 될까.

젊은 세대 작가들이 포기하지 않고 꿈을 펼칠 공간을 마련하는 일이 참으로 중요한데, 그것의 한 방법을 이번 특집 에서 엿볼 수 있었다. 그점에서《 월간미술》이 언론의 역할을 잘 수행해내고 있다고 생각한다. 젊은 작가들에게 자신의 작품세계를 알릴 기회, 독자에겐 다양한 작품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니 윈윈이라 하겠다. 특히 선정된 100인의 작가의 생각을 나열한 목록에서 그들의 스펙을 지우고 오로지 이름과 생년, 생각만 드러낸 것은 그 작가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작품을 보는데 참으로 도움이 되었다.
여러 기사에서 문제로 지적한 부분- 파편화된 취향, 과대포장과 알맹이의 부재, 작위적인 형식 등-과 같은 세대적 특성에 대해서도 젊은 작가들이 분명 고민해야 할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지금 이 순간, 가장 치열하게 자신과 싸우고 있을 젊은 작가들에게 격려의 박수를 보내고 싶다.

권은영

 

어떤 체념

생계는 물론 부양의 책임이 있는 상황에 예술을 하는 것은 욕심이라 생각했다. 이 때문에 경제적 부담을 던 노년 즈음하여 동네 작은 부스전에 그림을 거는 것을 미래의 보상으로 생각하고, 현 (젊은)시점에 요구되는 것을 우선으로 하던 때가 있었다. 그러다 생의 저점에 잡은 동아줄이 아이러니하게 미술계에서 일을 하고 예술인(내지 예술주변인)이 되게 했다.《 월간미술》 특집으로 다룬 100인 작가와 여러 차이가 있지만, 그들처럼 2535세대에 속해 동일시할 것도 많은 내가 편견 없이 진술된 그들의 관심사와 현재의 고민에 진면목을 확인하라는 대목 그대로를 실천하고 싶으면서도 어쩐지 어려웠던 이유가 있었다. 작가에게 작업 설명과 현재의 고민을 간단하게 서술하라는 것이 즉답화법의 불편함이 아닐 수가 없을 것이고, 내 경우 ‘생의 저점’이나 ‘동아줄’로 표현한 저마다의 개인적 일화를 태연자약 고백하기도 어렵지 않겠냐 등의 이유다. 그렇게 2535세대 작가와의 교감을 놓치고 차라리 “그냥 그렸다”거나 “그리는 게 너무 좋아서 그렸다”는 게 나을 것 같다는 이 세대 작가를 향한 쓴소리에 항거할 대응책이 궁함을 느낀다. 세대의 당사자로서 가장 큰 아쉬움은 그들이 새로운 충격을 주지 못해서가 아니다. 같은 또래조차도 소통의 문제를 느낀다는 것, 예술적 동지를 찾기 어렵다는 것. 그것이 생계보다도 때로 더 어렵다는 것. 그리고 그 이상의 느낌을 2025세대를 보면 느낀다는 우스운 이야기.

오정은

 

한국 미술계에 새로운 바람을 기대하며

2월호 특집기사 를 꼼꼼히 읽었다. 궁금했다. 2535 젊은 작가 세대들이 작업을 하면서 무슨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거두절미하고 지면전시를 보듯이 이미지들을 읽으면서 나는 솔직히 그리 암울하지 않을 젊은 작가 세대를 읽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인터뷰 기사를 보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어렴풋이나마 파악했다. 대부분 사회와 개인, 시간과 공간, 사실과 허구, 일상과 해프닝, 예술가로서의 자의식 등의 문제에서 비롯된 작업이 많아보였는데 이 지점 역시 흥미로웠다. 분명 이전 세대와는 다른 지점을 고민하고 다음 세대를 준비하고 있는 (혹은 이미 시작한) 그들이 이끌어갈 미술계는 지금과는 다른 모습으로 나아갈 수 있으리라는 일말의 기대감이 생기기도 했다. 그리고 어디선가 끊임없이 이런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이 고마웠다. 기사 하나를 읽었을 뿐인데 참 많은 생각이 꼬리를 물어물어 나왔다. 사실 지난 1년간의 모니터 요원으로서의 활동도 그러했다. 모니터링을 하며《 월간미술》을 큰 틀로도 바라보고 작은 그림으로도 읽으려고 노력했다. 개인적인 시각이나 생각이 아주 배제될 순 없었겠지만 매달의 미술계를 모종의 의무감으로 접하며 파악해나갈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다.

신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