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도상

도상 圖像 icon(영)

고대 그리스어 ‘에이콘(eikón)’에서 유래된 용어. 그리스 정교회에서는 벽화*와 구별되는 판화*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기독교 미술사에서 말하는 도상은 신성한 사건, 특히 성자들의 성상을 뜻하는데, 특히 비잔틴 교회나 러시아 및 그리스의 정교회에서 사용되었다. 기독교 역사에서 도상의 사용은 초창기부터 있었던 일이었지만, 313년 기독교가 국교로 인정되면서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관습은 고대 로마 제국에서 유행한 황제의 초상에 대한 숭배 풍습에서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한편 신플라톤주의 철학은 눈에 보이는 가시적 상들이 눈에 보이지 않는 종교의 진리를 보여줄 수 있다고 하는 이설(異說)을 설교하여 이러한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 8세기에 들어 이러한 경향은 절정에 이르렀고, 곧 성상파괴주의*자들에 의한 반발을 초래하게 된다. 콘스탄틴 5세는 십자가를 제외한 모든 도상의 파괴를 명령했으며 패널*화, 프레스코*, 모자이크*는 물론 성인의 그림이 삽화로 들어 있는 책자들까지 파괴되었다.
그후 843년 제2차 종교회의 등으로 도상의 사용이 예배 의식을 위해 부분적으로 허용되면서 도상의 역사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즉 종교 회의에서 진실된 예배는 오직 신적인 속성에 속하지만, 신의 표상에 의해 경배심이 촉진될 수 있음을 인정한 것이다. 도상은 일련의 규칙과 양식상의 엄격한 기준에 의해 제작되었다. 우리가 흔히 보는 중세의 도상들이 유형화를 견지하고 있는 것은 모두 이 때문이다. 동방교회에서는 도상 허용론자들이 실권을 잡으면서 도상이 다시 광범위하게 퍼져나갔다. 이들 도상들은 단순한 인물상에서 점차 정경을 보여주는 그림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빅토리아 앨버트 미술관에 있는 모자이크화인 <수태고지*>라든지, 영국의 대영 박물관에 있는 예수의 생애를 그린 패널화 등이 그러한 예이다. 도상화나 도상을 사용하는 예배의식은 러시아로 전파되었고 비잔티움을 능가할 정도로 유행되어 러시아 혁명 때까지도 계속되었다.
한편 도상은 예술작품의 ‘주제’와 동의어로 쓰이기도 한다. 이른바 도상학* 혹은 도상 해석학* 등의 용어가 바로 그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