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예술심리학

예술심리학 藝術心理學
psychology of art(영)

예술을 심리학적 입장에서 연구하는 과학체계. 철학에 의한 인간 탐구의 불만이 심리학이라는 과학을 낳게 한 것과 마찬가지의 원리에서 철학적 미학에 대립하여 성장해 온 것이 예술심리학이다. 현재로는 아직 완전한 체계가 수립되었다고 할 수 없으나 역사적으로 보아, 두 갈래의 연구 방향이 있다. 그 하나는, 예술 자체를 심리학적 연구의 방법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것, 다른 하나는 심리학적 연구의 범위 안에서 예술 연구에 관여하는 것이다. 전자는 미학*, 예술학*의 흐름에서 파생된 것으로 각 장르마다 연구 대상이 있어, 이에 따라 연구 방법에 차이가 나타난다.
후자는 심리학적인 논리를 원용함으로써 그 분석이 시도된다. 미적 인상을 주는 자극 대상의 특성이나 미적 향수의 문제, 상징이나 양식의 문제 또는 예술가의 내면적인 동기, 개성, 작품과 그것을 받아들이는 독자나 감상자의 심리학적 문제 등 여러 방면을 다룬다.
예술심리학이 과학으로서의 특징을 나타낸 것은 ‘아래로부터의 미학’을 주장한 페히너G.T. Fechner의 《실험미학》(1871)에서 시작한다. 그러나 그 당시 겨우 분트W. Wundt를 중심으로 해서 심리학에 전용된 생리학적 실험방법은, 정신의 단순한 말초적 사상(事象)에 적용할 수 있을 정도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복잡한 고등 정신의 생산물인 예술의 탐구방법으로서는 충분한 성과를 올릴 수가 없었다. 분트 자신도 그로세E. Grosse와 함께 민족심리학의 일부로서 예술에 관한 많은 기술을 남긴데 불과하다. 그러나 분트의 제자들에 의해 고등정신의 실험적 연구가 추진되자 19세기 초에 예술심리학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이 또한 여전히 직관적, 기술적 경향으로 흘러 체계의 객관화, 정밀화의 과도한 요청과 내성주의(內省主義)의 극단적인 배격은 체계적 진보를 정지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하지만 심리학적 방법의 진보와 개개의 실험적 데이터의 축적은 게슈탈트(Gestalt)학설이나 행동주의에 관한 학설의 성숙과 때를 같이 하여 예술심리학의 새로운 체계가 나타나게 되었다.
예술심리학은 일반적으로 환경에 대한 생활체의 작용(창작)과 생활체에 미치는 환경의 작용(감상)의 두 방면에서 고찰되며, 미술, 음악, 문예, 종합예술 등의 여러 분야에 적용된다. 시각예술이 양적으로는 중심이 되어 있으나, 음악심리학은 음향심리학의 실험적 진보에 의해 독립체계를 갖기 시작하였다. 문예심리학은 정신분석학파에 힘입은 바 크며, 종합예술분야들에 대해서는 단편적인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