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후광

후광 後光 glory(영) gloride(프)

‘할로(halo)’ 또는 ‘님부스(nimbus)’라고도 한다. 성인이나 사람의 머리를 원형으로 에워싸고 있는 신성한 빛 님부스는 아티카의 많은 꽃병에서 그리스의 신들, 특히 태양의 신인 헬리오스의 머리에서 화환 모양의 빛으로 그려져 있다. 이것이 빛으로 된 왕관으로 변형되어 이집트의 프톨레미우스 왕조의 왕들이 처음으로 신성의 상징으로 채용하였고 후에 로마의 황제들이 1세기경의 동전과 화폐에서 사용했다.
기독교 미술의 화가들이 사용한 단순한 원형 후광은 아마도 로마의 초상화*에서 유래된 것 같다. 폼페이의 프레스코*에서 이러한 단순한 후광이 몇몇 신의 머리를 장식하고 있다. 기독교의 황제들은 이교도 황제 숭배와 연관된 이러한 왕관을 용도를 바꾸어 사용하게 된다. 그래서 4세기 중반부터 황제에게나 쓰이던 이러한 상징이 그리스도에게 쓰여졌고, 4세기 말부터는 신의 어린양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후광으로 장식되었다. 5세기경에는 천사들에게도 쓰여졌고 6세기에는 동정녀, 사도, 그리고 다른 성인들에게도 관습적인 상징으로 쓰여졌다. 이집트에서는 사각형의 님부스가 발견되었는데, 이러한 후광은 성자와 같은 등급의 사람만이 아니라 생존 인물에게도 쓰여졌으며, 그것은 그가 고매한 사람임을 암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후광은 중세 회화에서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는데, 장식성을 띠고 있었다. 그리고 그것은 신성한 신분임을 나타내려는 목적에서 사용되었다. 15세기의 화가들은 이것을 크게 중요시하지는 않았는데, 그들은 무엇보다도 먼저 이것을 원근법*상에서 보여지는 하나의 견고한 물체로 취급하였다. 이후에는 구성에 있어서 그 중요성이 훨씬 감소되었다. 미켈란젤로Michelangelo(1475~1564)와 티치아노Tiziano(1485~1576)는 후광을 완전히 배격하였는데, 후에 반종교개혁 화가들이 다시 도입하였다. 1~2세기에 헬레니즘 미술*의 영향을 받던 간다라* 조각에서도 이러한 원형의 후광이 불상을 에워싸고 있었다. 그리고 인도와 극동지방도 이것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