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명기

명기 明器 ming-qi(중)

무덤에 넣으려고 만든 부장품(副葬品)으로 실물을 작게 축소하여 상징적으로 만든 모형. 종류는 그릇이나 동물, 인물상 등 다양하다. 명칭은 《예기 禮記》에 근거를 둔다. 묘에 부장되는 대부분의 명기는 거친 도질의 바탕에 연유(鉛釉)를 시유한 비실용적인 도기*로 별도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도기 이전에는 금속이나 나무재질도 있었으며 피장자가 생전에 사용하던 실용품이 부장되기도 했었다.
은殷, 주周나라 때에는 공납용 기물이 중심이었고, 이기*(彝器)를 모방한 토기*와 청동납, 구리로 주조한 비실용적인 무기도 포함된다. 전국(戰國)시대부터 예기(禮器)의 모조품과 함께 용*(俑)이 출토되었는데 동용(銅俑), 목용(木俑), 도용(陶俑)이 있다. 한대(漢代)의 사람들은 죽을 때 자신과 함께 가족과 노예, 재산과 가축, 가옥까지도 저 세상에 가지고 갈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명기의 종류가 시종호위병, 농부악대, 곡예사망루, 헛간 등으로 다양해진다. 주로 도기로 만들어진 명기들은 틀에 의한 제작을 통해 대량 생산되었다. 후한(後漢)시대에는 연유도기(갈유, 녹유)가 나타났고 육조(六朝)시대부터는 사실성을 더해가며 진묘수*(鎭墓獸), 호인(胡人), 낙타 등의 종류가 추가된다. 당대(唐代)는 삼채유로 더욱 화려해진다. 명대(明代)에까지 계속된 명기의 부장(副葬)은 각 시대 사람들의 생활상과 내세관을 보여주고 있어서 중요도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