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시뮬레이션

시뮬레이션 simulation(영)

원래 위조품 혹은 모제품(replica)을 뜻하는 단어이지만, 오늘날 일반적으로 현실의 현상을 컴퓨터 등의 기계장치에 의해 모방적으로 재현하는 실험을 말하며 흔히 ‘모의’라고 번역되기도 한다. 최근의 미술 평론*에서 시뮬레이션은 사실상 시뮬라크럼(simulacrum, 복수형은 simulacra)과 동의어로 간주되고 있다. 위조품을 모사하거나 뉴스 거리가 될만한 사건을 그대로 재연하는 활동을 의미하는 시뮬레이션은 1970년대 말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 일으킨 프랑스의 사상가인 보들리야르Jean Baudrillard가 이 용어에 독특한 의미를 부여하면서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결되어 미술계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즉 오리지널*이 없는 복제*를 만드는 작업을 시뮬레이션으로, 그 복제를 시뮬라크르(simulacre)라고 지칭하게 된 것이다.
보들리야르는 더 이상 실재(reality)와 그것을 묘사한 이미지를 구분할 수 없게 되었고, 예전에는 이미지로서 묘사되었던 실재를 이제는 이미지가 대체해 버렸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이미지의 범람을 토대로 정보가 포화되고 미디어가 지배하는 현대는 리얼리티 자체가 소멸되는 하이퍼리얼리즘*의 시대이며, 이 세계는 모조품인 시뮬라크럼이 지배하는 추상적인 곳이라는 비관적인 세계관을 피력한 바 있다. 특히 그는 1983년 《아트 앤드 텍스트 Art & Text》 9월호에 개제한 논문인 《시뮬레이크라의 진행 The Precession of Simulacra》에서 “이제 더 이상 모방이나 복제의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단지 실재 자체를 실재의 기호로 대체하는 문제만이 남아 있을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정보와 이미지를 계속 재생하고 복제하는 새로운 테크놀로지-TV, 팩시밀리, 유전공학까지 포함하는-에 대한 반응으로 보들리야르는 원본성(authenticity)의 개념이 본질적으로 무의미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무엇이 오리지널인가? 그리고 공적인 사건들은 어디서 끝나며, 이 사건들을 재현하고 해석한 수많은 이미지의 흐름은 어디에서 시작하는가?” 이러한 보들리야르의 추론은 아방가르드*적 독창성(originality)에만 가치를 부여했던 근대 시대가 막을 내리려 하는 시점에서 독창성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가에 대해 고심하였던 일부 포스트모더니즘 작가들의 태도와 일치한다.
찰스워드Sarah Charlesworth, 헤일리 Peter Halley(1953~ ), 크루거Barbara Kruger, 셰리 레빈Sherrie Levine(1947~ ), 프린스Richard Prince 등과 같은 미술가와 이들에 대해 논평한 평론가들은 종종 보들리야르가 주장한 시뮬라크럼 개념을 언급하였다. 이 중에서 레빈을 비롯한 다수의 작가들이 미술사나 대중문화에 등장했던 기존의 이미지를 의식적으로 선택하여 오리지널리티를 비판하는 차용*(appropriation)의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특히 1980년대 중반에는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는 ‘시뮬레이셔니즘(simulationism)’이라는 용어가 잠시 유행하기도 했다.

시바

시바 Śiva(범)

힌두교 삼신(三神)의 하나로, 세계를 멸망시키는 파괴자이다. 시바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베다 시대의 루드라Rudra(울부짖는 자, 소용돌이에서 인격화된 파괴의 신)에서 비롯된 드라비다 계통의 신으로 생각된다. 시바의 파괴는 새로운 재창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의 죽음이다. 창조 이전 단계에서의 시바는 우주의 축이라는 상징성을 갖고 있으므로 링가*의 형태로 숭배된다.
시바는 세계의 중심에 있는 메루Meru산을 상징하는 카일라사Kailasa산에 거주하며 난디Nandi라는 황소를 타고 다닌다. 시바의 이마에는 초자연적인 힘과 정신성을 의미하는 제3의 눈이 있으며 머리에는 신성한 강이 흘러나오는 초생달 장식이 붙어 있다. 매우 금욕적이고 위대한 요기(yogi)이기도 한 시바는 삼지창(트리슐라trishula)과 뱀(나가*) 또는 사슴과 도끼를 쥐고 있기도 한다.
시바는 많은 신화의 내용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예를 들면 마헤시바라Maheśvara(大自在天)는 우주적인 신을, 나타라자*는 춤의 제왕을, 요기슈바라Yogisvara는 고행자와 요가 수행자의 보호자를 의미한다. 또한 바이라바Bhairava는 브라흐마*의 다섯번째 머리를 잘라낸 신화에서 유래하며 아르다나리쉬바라Ardhanarisvara는 절반이 여성인 시바의 양성 형태를 가리킨다. 시바의 배우자로는 우마Uma, 파르바티*, 가우리Gauri, 두르가*, 칼리Kali 등이 있다. 비슈누*신과 시바신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하리하라Hari-Hara라고 한다.

시바-불타

시바-불타 Śiva -Buddha(범)

힌두교의 시바*신과 불교의 불타에 대한 숭배가 혼합된 것으로서, 13세기 이후 인도네시아의 동부 자바섬에서 행해졌다. 이것은 자바 불교가 힌두교로 변모된 것인데 시바신과 불타를 동일시하는 것이 아니라, 왕을 양 종교의 최고신의 화신으로 보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동부 자바섬의 싱가사리*Singhasari 왕조(1222~1292)와 마자파히트Majapahit 왕조(1293~14세기 말) 시대에 특히 유행했다.

시빌

시빌 Sibyls(영)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예언과 신탁을 전달하는 능력을 가진 열두명의 여자 예언자들로, 시빌의 예언서들은 5세기에 소실되었다. 중세 교회가 그리스, 로마 문화의 이교도를 동화시키고 지속적으로 통제하는 한 방법으로 시빌을 채택하고, 이들에 성경에 나오는 유대인 예언자적 성격을 부여하여 예수의 탄생을 예언한 자들로 재해석하면서부터 미술에서도 의미있는 주제가 되었다. 피사노Giovanni Pisanno는 피스토리아(1301)와 피사(1302~1310)의 설교단에서, 미켈란젤로Michelangelo(1475~1564)는 시스티나 대성당의 천장화(1508~1512)에서 각각 6명과 5명의 시빌 초상을 그린 바 있는데, 여기에서 모든 시빌들은 구약성서의 예언자들과 함께 그려져 있고 두루마리*나 책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대체로 시빌들은 특정한 지물*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름과 지물은 다음과 같다. 아그리핀(채찍), 심메리언(십자가, 풍요의 뿔), 큐미언(그릇, 요람), 델픽(가시 면류관), 에리트라이언(백합), 유로피언(검), 헬레스폰틱(십자가, 못), 리비언(불켜진 초, 등불), 페르시언(등잔, 발 밑에 뱀이나 용), 프리지언(십자가, 부활의 깃발), 새미언(장미, 요람), 티부르틴(비둘기, 잘린 손).

시스테믹 페인팅

시스테믹 페인팅 systemic painting(영)

→ 체계적 회화

시왕

시왕 十王

시왕은 죽은 자의 영혼이 도달하는 명계(冥界, 황천)를 다스리고 죽은 자의 죄업을 심판하는 열명의 왕. 진광왕(秦廣王), 초강왕(初江王), 송제왕(宋帝王), 오관왕(五官王), 염라왕(閻羅王), 변성왕(變成王), 태산왕(泰山王), 평등왕(平等王), 도시왕(都市王), 오도전륜왕(五道轉輪王) 등이다.
지옥을 다스리는 염라왕이 중국에 들어와서 도교적인 영향을 받아서 시왕사상이 전개되었다. 특히 당대(唐代)의 《불설예수시왕생칠경佛說豫修十王生七經》에서 지장보살*과 시왕이 결합하여 종래의 현세이익적인 신앙에서 내세 구원적인 신앙으로 바뀌었다. 이 경전에 따르면, 중생들은 죽은 날로부터 7일 단위의 7번과 100일, 1년, 3년 등 열번에 거쳐 시왕에 의해 선, 악업을 심판받고 그 결과에 따라 육도 가운데 한 곳에 태어난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조선시대에 명부심판관의 성격이 부각되면서 독립된 신앙으로 명부전에 자리잡게 되었고 시왕상과 시왕도 제작도 성행하였다. 보통 중앙에 지장삼존상을 중심으로 왼쪽에 1, 3, 5, 7, 9왕의 그림을, 오른쪽에 2, 4, 6, 8, 10왕의 그림을 둔다. 시왕상의 형상은 분노형의 얼굴에 도복(道服)을 입고 손에는 홀(笏)을 쥐고 있지만 제10대왕인 전륜대왕만이 투구와 갑옷을 입은 장군의 모습이다. 시왕도에는 죽은 사람이 살았을 때 범한 각종 죄업에 의해 형벌을 받는 모습이 그려지는 것이 특징적이다.

시의도

시의도 詩意圖 shih-i-tú(중)

동양화의 한 화제(畵題)로, 시의 뜻을 주제로 한 그림. 명대(明代) 이후 당唐, 송宋의 시, 특히 당의 시인 이백李白(리 바이), 두보杜甫(뚜 후)나 북송北宋의 소식蘇軾(쑤 스, 1306~1101)의 시를 그림으로 그린 것이 많다.

시카고파

시카고파 Chicago School(영)

1880~1900년경 시카고를 중심으로 활약한 미국 근대건축의 선구적 건축가들로, 이들의 상업적인 고층건물들은 근대 도시의 변모를 일신시켰다. 시카고파 건축가들은 순수예술의 형식주의*나 재래적 양식주의적인 건축에서 탈피, 합리주의적이고 기능주의적인 미학에 의거하여 철골구조를 채택하고 개구부를 폭넓은 유리창으로 대체하는 등 단순한 벽면의 처리와 구성을 지향했다.
이 파의 창시자인 구조기술자 제니William Le Baron Genny(1832~1907)는 1868년에 출간한 《건축의 이론과 실제》에서 철골조 고층빌딩의 가능성을 설명한 바 있었다. 그의 시카고 홈인슈어런스 빌딩(1884~1885)과 라이터 빌딩(1889), 버넘 사무실이 설계한 리라이언스 빌딩(1894) 등이 대표적이나, 이 파의 가장 유명한 건축가는 설리번Louis Sullivan(1856~1924)이다. 그는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고 하는 기능주의적 사상에 의거, 새로운 구조기술에 호응하는 새로운 표현형태를 추구했다.

시카라

시카라 śikhara(범)

북방 형식의 힌두 사원*에서 비마나* 위의 높은 탑을 시카라라고 한다. 이 탑은 작은 구성 요소들이 수직적으로 반복되어 띠를 이루면서 위로 전개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위로 갈수록 안쪽으로 줄어든다. 탑신 부분을 간디(gandi), 꼭대기 부분을 마스타카(mastaka)라고 한다. 마스타카는 다시 아말라카*(āmalaka)와 칼라샤(kalaśa)로 나뉘어진다. 같은 북방 형식 중에도 간디 부분에 많은 작은 탑들을 조각한 형식과 그렇지 않은 형식이 있다. 남방 형식의 힌두 사원*에서는 탑의 꼭대기 부분만을 시카라라고 한다. 그 모양은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이거나 원형의 돔* 지붕, 사각형의 아치* 지붕 등 여러 가지이다. 시카라 위에는 칼라샤와 비슷하게 항아리 모양의 작은 탑인 스투피(stūpi)가 있다.

→ ‘힌두 사원’ 참조

시퀀스 사진

시퀀스 사진 sequence photography(영)

일련의 움직임을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촬영한 사진을 말한다. 예를 들어 투수의 연속적인 투구동작이나 상황의 전개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