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실크 스크린

실크 스크린 silk screen(영)

공판(孔版)에 의한 판화로 세리그래프(serigraph)라고도 한다. 원리는 등사판과 같으나 등사판이 종이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실크나 그 밖의 섬유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명칭이 붙었다. 인쇄기법은 비교적 간단하다. 천을 나무나 금속으로 된 틀에 넣어 고정시킨 다음 인쇄되지 않는 부분에 종이나 아교 또는 아라비아 고무액을 입혀 잉크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 다음 잉크를 부어 롤러나 스퀴지(고무로 만든 기구)로 누르면서 밀면 액이 묻지 않은 부분의 올 사이로 잉크가 통과되면서 인쇄가 된다.
다른 판식에 비해 잉크가 많이 묻기 때문에 색상이 강하고 선명한 것이 특징이며, 단순명쾌하고 강렬한 시각적 효과 때문에 일찍부터 포스터* 등 상업미술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실크 스크린은 다른 판법, 즉 목판화*, 동판화*, 석판화* 등이 모두 판재에 판을 만든 다음 전사(轉寫)에 의해 인쇄가 되는 것에 반해, 잉크가 스크린의 망점을 통과하여 인쇄되는 유일날염법(唯一捺染法)의 공정을 취하고 있으므로 다른 방식에 비하여 인쇄의 대상이 넓고 인쇄시 압력이 작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따라서 실크 스크린은 종이나 천은 물론 플라스틱, 목재, 금속판, 돌, 도자기, 유리 등 어떤 종류의 물건에도 인쇄가 가능하며, 특수 기계장치를 이용하면 곡면인쇄도 가능하다. 이런 장점 때문에 1960년대 이후 많은 작가들이 이를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팝 아트*의 경우에는 보편적인 표현기법이다. 현재는 화학섬유를 사용하는 일이 많으므로 실크 스크린이라는 말 대신 ‘스크린 프린트’라는 용어를 쓰기도 한다. 또 근래에는 천에 감광액을 발라 사진제판을 하는 방법도 개발되어 많이 쓰이고 있다.

실크로드

실크로드 Silk Road(영)

‘비단길’이라는 뜻으로 중앙아시아*를 경유하는 고대의 동서 교통로를 지칭한다. 이 교역로를 통해 중국의 주요 수출품인 비단이 운반되었다고 한데서 연유한 명칭이다. 독일의 지리학자인 리히트호펜Richthofen(1833~1905)이 서투르케스탄과 중국의 비단 무역을 중계하던 중앙아시아의 교통로를 가리켜 ‘자이덴슈트라센Seidenstraβen’, 즉 ‘실크로드’라고 처음으로 명명했다(1877). 그 이후부터 실크로드는 중국에서 중앙아시아의 여러 나라로 이르는 교역로를 말하는데, 1910년 독일의 동양학자인 헤르만Herrmann은 이 길에 중앙아시아의 서쪽 지역인 시리아까지 포함시켰다.
실크로드는 중앙아시아의 사막에 흩어져 있는 오아시스 도시들을 연결시킨 캐러반 루트(隊商路)이다. 이 길들은 여러 갈래의 간선(幹線)이 있어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실크로드의 동쪽 끝인 중국의 장안長安에서 하서회랑(河西回廊)을 따라 들어가면 돈황*에 이른다. 돈황 이서 지역을 보통 중국에서는 서역이라고 부른다. 서역은 파미르 고원을 경계로 하여 그 동쪽 지역인 동투르케스탄을 말한다.
중국에서 파미르 고원에 이르는 길은 여러 가지가 있다. 동투르케스탄의 중앙에 놓인 타림 분지의 북쪽에는 천산天山산맥이, 남쪽에는 곤륜崑崙산맥이 있는데 천산산맥의 북쪽 기슭의 길은 ‘천산북로(北路)’, 남쪽 기슭의 길은 ‘천산남로(南路)’ 혹은 ‘북도(北道)’라고 부르며, 곤륜산맥의 북쪽 기슭은 ‘남도(南道)’라고 한다. 북도와 남도는 누란樓蘭에서 갈라지는데 북도의 중요 도시로는 투르판, 카라샤르, 쿠차, 악수, 툼슉, 카슈가르가 있으며 남도의 중요 도시로는 체르첸, 니야, 단단•위릭, 호탄을 들 수 있다.
파미르 고원의 서쪽 지역인 서투르케스탄의 교역로 또한 여러 갈래의 길이 있다. 파미르 고원에서 북상(北上)하면 페르가나 분지로 들어가게 되어 소그디아의 타슈켄트, 사마르칸트, 부하라, 메르브에까지 이른다. 파미르 고원에서 남하하면 인도의 간다라* 지역으로 연결되고 그대로 서진(西進)하면 아프가니스탄*의 주요 도시인 쿤두즈, 발흐, 헤라트로 이어진다. 아프가니스탄의 메르브와 헤라트에서 다시 서진하면 이란 고원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동서무역은 오아시스 도시들을 연결하는 이 교역로뿐만 아니라 북쪽의 스텝 지대를 관통하는 스텝로(초원의 길)와 남쪽의 해로(海路)를 통해서도 이루어졌으므로 넓은 의미의 실크로드는 이 3개의 교역로를 모두 지칭하기도 한다.

→ ‘중앙아시아미술’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