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장식

장식 裝飾 ornament(영)

사물의 외면을 아름답게 치장하고 꾸미는 것. 건축물이나 물건에 달린 개개의 장식, 그 형식이나 모티브*를 말한다. 영어의 데코레이션(decoration)과 오너먼트(ornament)를 우리말로는 장식이라 번역하지만 일반적으로 데코레이션은 조직적이고 전체적인 장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궁전의 실내를 회화와 조각, 벽걸이와 깔개, 가구와 장식물 등으로 장식할 경우 이 치장들 전체를 데코레이션이라 한다. 이에 대하여 특정 사물의 표면을 치장하고 꾸미는 장식 모양은 오너먼트라고 부른다. 항아리와 같은 단일 대상의 장식인 경우는 데코레이션과 오너먼트의 구별이 애매하나 장식 모양은 그 자체가 독립하여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항상 부가되는 것이며 심리학적으로는 공간 회포에 따르는 충전물로서 설명되므로 대상에 형식미를 부여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오너먼트의 모티브는 다양하지만, 크게 나누어 기하학적인 장식(직선, 방형, 원, 점 등을 주제로 한 것)과 자연적 장식(식물, 동물, 인간, 풍경 등이나 그밖의 자연물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외에도 문자, 끈 따위에서 유래하는 것 등 각종의 장식이 있다. 또 예를 들어 르네상스 장식, 로코코 장식이라는 식으로, 나라와 시대에 따라 양식화*(樣式化)된 것을 볼 수 있다. 근대 디자인의 발자취는 과거의 양식화나 장식성으로부터 탈피하는 일면을 지니고 있지만 유기적 장식을 주장한 아르 누보*를 경계로, 장식에 포함되어 있던 개념도 제품의 형태나 공간적 구성이라는 디자인 가운데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함에 따라 장식이 내포하고 있던 ‘의미’도 달라진 것이 되었고, 오히려 심리적인 효과라는 면에서 주시되고 있다.

장식격자

장식격자 裝飾格子 tracery(영)

서양 중세, 특히 고딕*의 창문에서 전형적으로 볼 수 있는 장식적인 석재 격자. 목재나 금속재도 있다. 초기의 장식 격자와 플레이트 트레이서리(plate tracery)에서는 유리가 두터운 돌을 뚫고 드러나 있는데 비해 특히 이탈리아의 로마네스크 말기의 성당에서 보이는 바 트레이서리(bar tracery)는 거의 유리로 되어 막대형의 석재 조각들이 창문에 덧붙어 있다.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벽과 제대(祭臺)에 응용된 이와 비슷한 장식을 말한다.

장식예술

장식예술 裝飾藝術
decorative art(영)

주거 공간과 인간들의 신체 주변을 꾸미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되는 조형미술. 상징적, 표출적, 내면적 의도를 가지고 제작되는 회화나 조각 등에 대해서, 공예품 및 건축의 세부 등에다 그 기능성에 덧붙여 순수하게 시각적인 미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응용되는 조형 예술을 말한다. 복식, 장신구, 벽화* 등 거의 모든 공예품이 그 대상이 된다. 그 표현은 비재현적, 추상적, 문양적이다. 넓은 의미에서는 건축, 정원 등에 부수되어 그 미술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회화나 조각도 여기에 포함된다.

장식적 양식

장식적 양식 Decorative Style(영)

영국 고딕* 건축의 중기 양식. 릭만T. Rickmann에 따르면, 그 특징은 ‘가로격자창 장식’과 ‘수직’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장식적인’ 창문은 새로운 건축적 요소를 사용했으며, 창문 크기도 초기보다 넓어진 것이 특징이다. 초기와 후기의 형태는 바로 ‘기하학적’ 양식과 ‘곡선적’ 양식이라는 용어로 구분지을 수 있다. 가로격자창 장식이 영국에서 사용된 최초의 건물은 1245년 이후의 웨스트민스터 사원이다. 이 건물은 프랑스에서 직수입된 양식으로 보인다.
그러나 리치필드의 엔젤 성가대나 런던의 옛 바울 성가대의 격자창들은 초기의 영국식 원리에 충실한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1280~1330년은 중세 영국의 건축사에서 가장 활기 넘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을 세가지 점으로 요약해 보면, 첫째 이전 세대의 엄격한 직사각형 설계에서 탈피하여 창문을 비스듬히 보일 수 있게 하는 다변적 형태를 사용하고 있고, 둘째 둥근 천장 상부에 중심 서까래의 두께를 얇게 하고 작은 서까래를 사용함으로써 격자창과 유사한 효과를 내는 식으로 둥근 천장의 형태를 변형했다. 셋째, 가장 평범하면서 진보적인 것으로, 석조 형태를 격자 양식으로 바꿈으로써 벽과 창문 간의 대립을 없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