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평원산수

평원산수 平遠山水

중국화에서 황하 하류에 펼쳐진 황량한 황토 지대를 소재로 그리는 산수화*. 일반적으로 근경에 배치한 고목(枯木)이나 수풀 너머로 바라본 누각, 배, 다리 등의 풍경을 그린다.
시점이 삼원* 중 하나인 평원이므로 수평선이 보는 사람의 눈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당대(唐代)에 이미 발생하여 당말 오대(五代)에 산동성山東省에 살았던 이성李成(리 츠엉)에 의해 형식적으로 정비되었다. 그 후 이성의 추종자들 사이에 널리 퍼져 북송北宋 시대에는 산동성의 지방 양식이 되었고 후세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평탈

평탈 平脫 ping-tuo(중)

칠기*에 금이나 은판을 무늬에 따라 오려붙이고 다시 옻칠한 후 표면을 연마하여 금은판이 나타나도록 하는 기법. 동주東周 시대 금은상감 칠기에서 발전한 것으로 당대(唐代)에 성행해서 동경*(銅鏡)에도 사용되었으며, 오대(五代) 이후에 점차 쇠퇴했다.
한국에서는 나전칠기*(螺鈿漆器)에 선행하거나 기법상으로 병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시대부터 출토되기 시작하는 평탈기법의 유물 중에서 특히 안압지 출토 은평탈 유물은 목제품에 옻칠을 두껍게 올리면서 화문의 은박판을 부착시킨 것으로, 불구*(佛具)와 같은 특수용도의 물건으로 짐작된다. 이러한 평탈장식은 상당 기간 제작되면서 한국화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