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헤이안 전기 미술

헤이안 전기 미술 平安時代前期美術

794년에 헤이안쿄平安京로 천도한 때부터 견당사(遣唐寺)가 폐지된 894년에 이르는 1세기 동안을 헤이안시대 전기 혹은 ‘고우닌(弘仁), 조오깡(貞觀)시대’라고 한다. 헤이안시대의 환무桓武 천황은 부패한 도시 불교의 중심지인 나라奈良를 버리고 헤이안으로 이전, 동사(東寺)와 서사(西寺)를 지었다. 사이초最澄(767~822)와 구카이空海(774~835)는 당唐에 유학하고 돌아와서 헤이안시대 말까지 불교계의 지배적인 세력이 된 천태종天台宗과 진언종眞言宗을 세웠다. 이 시대에도 당의 영향이 강하였지만 점차 독자적인 양식으로 성장해 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건축:헤이안시대 초기의 건축 중 남아 있는 것은 실생사室生寺의 금당金堂과 오층탑(五層塔) 정도이다. 그러나 신사(神社)건축에 중국의 건축양식이 적용되어 춘일조(春日造), 유조(流造), 팔번조(八幡造), 일길조(日吉造) 등의 새로운 형식이 생겨났다.
조각: 당 조각의 영향에다 일본의 기호가 첨가된 조각이 제작되었다. 불상*제작에 주로 건칠(乾漆)이나 소조*(塑彫)의 기법이 쓰여지고 표면에는 채색을 한 것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한편으로는 민간의 수요에 따라 간소한 목조로 된 상도 만들어졌다. 양식적으로는 입당승(入唐僧)에 의해 새로운 불교미술이 전래됐고, 신상*(神像)이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그 수법과 특징은 불상과 공통점이 많아 불상 조각가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회화:구카이가 당에서 귀국하고 돌아올 때 가져온 〈진언오조상眞言五祖像〉에 일본에서 추가로 그린 용맹(勇猛), 용지(勇智)의 상을 합하여 된 〈진언칠조상眞言七祖像〉, 자주색의 천에 금은니*로 제존(諸尊)을 그린 신호사神護寺의 〈양계만다라兩界曼茶羅〉 등이 헤이안 전기의 대표적 작품으로 꼽을 수 있다.
서예:헤이안시대 전기의 서예를 대표하는 사람은 당대의 삼필(三筆)로 일컬어지던 홍법대사弘法大師 구카이, 차아嵯峨 천황, 귤일세橘逸勢이다. 이들은 당대(唐代)의 서풍을 바탕으로 독특한 서체를 만들어냈다.

헤이안 후기 미술

헤이안 후기 미술 平安時代後期美術

견당사(遣唐寺)가 정지된 894년부터 헤이씨平氏가 멸망한 1185년까지 약 300년간의 미술을 말한다. 이 시대는 후지와라(藤原) 시대라고도 부르는데, 궁정 귀족문화가 찬란하게 꽃피었던 시기이다. 견당사가 폐지됨에 따라 중국문화의 영향이 적어진데다가, 일본 자체에서도 이제까지 받아들인 중국문화를 소화하여 독자적 문화를 이룩할 만한 힘이 축적된 점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일본의 독특한 성격이 나타나게 되었다.
건축:교토京都의 궁궐, 우지宇治의 뵤도인平等院이라는 절의 봉황당(鳳凰堂) 등이 이 시대의 대표적 건축물이다. 또한 자연과의 조화를 지향하는 마음에서 만든 귀족들의 주택인 신덴 즈쿠리(寢殿造)라고 하는 일본화된 건축양식이 만들어진 것이 중요하다.
조각:귀족들의 우아한 정취적인 취향을 짙게 반영시켜 일본화된 고전양식을 완성하였다. 전기에 사용되던 통나무를 재료로 하여 조각하던 기법 대신에 엷은 나무판을 포개서 만든 목조 기술이 등장하였다. 이 이면에는 분업과 대량 제작이라는 기술적 요인이 있다. 이 시대의 대표적 작품으로는 조초定朝가 제작한 〈뵤도인의 아미타여래상〉을 들 수 있다.
회화:10세기 원신源信에 의해 고취된 정토사상은 아미타정토(阿彌陀淨土)로의 동경으로 발현되어 장식경(裝飾經), 내영도(來迎圖) 등이 다수 제작되었다. 또한 문학의 성행과 함께 겐지모노가타리에마키(原氏物語繪卷) 등 에마키모노*(繪卷物)가 활발하게 제작되었다.
서예:왕희지체에 획을 한층 둥글게 쓴 소야도풍小野道風에 의해 일본식 서체의 기초가 다져졌다. 이후 등원좌리藤原佐理는 이를 더욱 전개시켰고, 그 뒤에 등원행성藤原行成이 나와 도풍道風과 좌리佐理의 서풍에 세련미를 더하고 전체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당대 서풍의 전형을 완성하였다.
공예: 칠공으로는 칠기* 표면에 금, 은가루를 뿌리는 나전이 발달하였고, 금속공예로는 얇은 원형 등에 화조, 새 등 일본적인 문양을 새긴 일본식 거울인 화경(和鏡)이 생겼다. 또한 경전을 후세에 남겨 공덕을 얻으려고 경을 경통(經筒)에 넣어 땅속에 묻은 경총(經塚)에서 경통, 불상*, 거울 등의 금공예품이 많이 발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