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형식

형식 形式 form(영)

형식이란 예술작품의 외부적 측면, 즉 내용*이 표현되는 구조, 요소들과 그 요소들 서로의 관계의 전체성을 말한다. 우선 가장 일반적인 의미에서 형식의 개념은 예술* 일반과 동일하다. 전체로서의 예술은 종교나 학문 또는 철학과 마찬가지로 인식이나 사회적 의식의 형식들을 의미한다. 예술은 인간을 통해 세계를 미적으로 동화(同化)시키는 실천적 형식인 동시에 정신적인 형식이다. 예술은 무엇보다 자신의 표현의 감성을 통하여 인식된다. 철학과 학문이 별개의 사실로부터 추상화되고 사물의 본질을 보편적, 개념적으로 제시하는 반면에, 예술은 자신의 내용을 직관을 매개로 하여 형상화하고 그것을 눈, 귀 등을 통하여 수용한다.
두번째 의미에서 형식이란 다양한 예술(조각, 회화, 음악, 시 등) 혹은 그 예술 장르, 즉 음악에서는 둔주곡, 조곡, 교향악의 형식을, 시에서는 서사시, 서정시, 드라마의 형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형식은 매체*나 인간의 ‘본성’에 인간이 현실을 수용하고 모방하는(시각, 청각, 표상의) 감각에 근거를 두고 있거나 또는 배우나 음유 시인 등으로서의 인간의 재능에 근거를 두고 있다(괴테). 무엇보다도 그 장르*는 역사의 과정에서 극복되고 변화되는 뛰어나고도 독특한 예술적 성취를 통해서 각인된다. 그러한 성취는 예를 들면 서사시(호머)의 창조와 제2, 제3 배우들의 도입(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이나 교향악곡의 도입(하이든, 모차르트)을 통한 드라마의 창조를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토대 위에서 예술적 형식은 내용의 표현이다. 새로운 형식은 새로운 내용에서 나오는데, 거기에서 내용은 형식의 지속성에 대한 자신의 더 커다란 유연성을 통하여 구별된다. 그로부터 새로운 내용은 자신의 고유한 자신에게만 적합한 형식을 발견하기 전에는 그 결과가 종종 전통적인 형식으로 나타난다.
셋째로 예술적 형식의 의미는 개별 예술작품 속에서 성취되는 이중적 기능에서 분명해진다. 예술작품의 생산이라는 측면에서 형식은 선택과 배치의 과제, 즉 내용의 조직화라는 과제를 갖는다. 수용의 측면에서 그것은 예술가와 청중의 의사소통을 매개한다. 첫번째 경우에서 형식은 예술작품의 독자성, 조화, 완결성을 구성하고 두번째 경우에는 환기, 즉 예술작품 속에 표현된 내용의 지적이고도 감정적인 추체험을 유도한다.

형식주의

형식주의 形式主義 formalism(영)

예술*의 다른 특성들보다 예술작품의 형식*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예술 이론, 또는 실제 1970년대에 특정한 예술권에서 남용한 용어. 분석적으로 볼 때 대상으로부터 특정한 속성, 성질 또는 관계를 추상화하거나 뽑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정신작용은 대상의 다른 속성들을 무시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므로 비평적 분석은 필연적으로 예술작품의 총체성을 분열시킨다. 예를 들어 한 미술 비평가는 예술작품의 형식과 내용*을 상호보완적이기보다는 독립적인 것처럼 논의할 수 있다. 좁은 의미의 ‘형식’은 대상을 색채나 텍스처*에 관계없이 묘사하는 것을 가리킨다. 형식의 개념과 연관된 철학적 문제들은 고대 그리스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시각 예술에서 형식주의는 일반적으로 20세기의 현대 미술, 그리고 클라이브 벨Clive Bell(1881~1964), 프라이Roger Fry(1866~1934),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1909~1994)와 같은 이론가들에 대한 특별한 논점을 의미한다. 벨은 ‘시각예술’이라는 표제 아래 여러 시대와 문화에서 나온 다양한 대상들의 공통분모를 찾아냈다. 그는 특징 중 하나가 미적 감정*을 일으키는 선과 색채의 결합으로 이를 ‘의미있는 형식(significant form)’이라고 불렀다. 리글Alois Riegl과 미술사가들은 예술가들이 ‘형식에 대한 의지’를 가진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순수 형식에 가장 가까운 예술은 음악이므로 이론가들은 모든 예술이 음악의 조건을 갈망한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이런 경향은 내용이 없는 순수 형식의 추상미술, 즉 형식추상(Formal Abstraction)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그런 것은 있을 수 없다. 심지어 추상예술조차도 내용을 가진다.
예술가들은 그 후에도 물질 자체의 색채와 질감, 선을 취함으로써 예술작품을 구성하려고 시도했다. 그리고 그들은 예술작품이 외부의 현실과 관련이 없다고 생각했다. 즉 예술을 독자적이라고 주장하는 예술과, 부분과 전체의 관계라는 면에서 형식을 분리시키는 예술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전후 미국이 현대 예술의 중심지로 부상했을 때 형식주의는 미국의 미학과 비평에 의하여 영국의 예술로 스며들었다. 또 버긴Victor Burgin이 지적했듯이 또다른 형식주의의 전통, 즉 사회주의적 형식주의가 유래한 러시아 형식주의가 있다. 1960년대까지 많은 예술가와 비평가들은 형식적 추상이 고갈되고, 어휘상으로도 지루해졌다는 것을 느끼기 시작했다. 현실의 문제들을 반영하지 못하고 대중이 이해할 수 있는 표현을 하지 않음으로써 형식적 추상주의자는 엘리트이며 사회적으로 무책임했다는 비판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