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화계

화계 畵繼

중국 남송南宋의 등춘鄧椿(덩 츠운)이 저술한 회화 이론서 10권. 북송北宋 희녕 7년(熙寧, 1074)에서 남송 건도 3년(乾道, 1167)까지의 화가 219명에 대한 간략한 전기와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그림의 목록 및 그림에 대한 평론, 일화 등을 기록하고 있다.
1~5권까지는 황제 귀족 문인 등 사람에 따라 분류했다. 6~7권까지는 산수 인물 화훼영모 소과약초 소경잡화 등 그림에 따라 나누었는데, 여러 대가들의 기교와 그들의 장단점을 각각 서술하였다. 8권은 자신이 실제로 본 명화 중 기이한 흔적들을 기록하였다. 9~10권은 잡설(雜說)로 화론*과 고사일화를 서술하였다. 특히 10권에는 휘종화원(徽宗畵院)에 관한 기록이 많아 주목된다.
등춘은 문인화*가 아주 흥성하던 시대에 살았기 때문에 회화를 사회적, 정치적 교육을 행하는 방법으로 보지 않고 순수한 미감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사류(士流)를 중시하고 공기(工技)를 낮게 평가하면서 예술적 재능의 ‘천부’적 성질을 강조한 곳이 많아 북송 원체화*파(院體畵派)의 격법설(格法說)을 일변시켰다. 즉 문인화가 문동文同(원 통), 소식蘇軾(쑤 스, 1036~1101), 미불米芾(미 후, 1051~1107) 등의 미학사상이 곽약허郭若虛(구어 루어쉬, 11세기 후반경 활동)의 《도화견문지圖畵見聞誌》를 계승한 등춘의 《화계》에 집중적으로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정당독서기鄭堂讀書記》에서는 “조사하여 판단하는 것이 명쾌하고 타당성이 있으며 조리도 정연하다”고 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