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화우

화우 畵牛

화조 영모화*의 한 화제(畵題). 농경사회였던 동양에서는 소가 풍요(豊饒)와 다산(多産)을 상징하여, 오랜 역사동안 중심화제로서 그려졌다. 암각화(岩刻)나 도자기 그림에서 그 시원을 찾을 수 있다. 회화적 가치가 풍부한 소 그림으로 이른 시기의 것은 당대(唐代) 초기 이수묘(李壽墓)의 벽화*가 있다. 당대 중기(8세기 후반)에는 대숭戴嵩(따이 충)과 같은 소그림 전문 화가가 출현하기도 했다. 대숭은 전원 풍경 속에 노니는 물소를 그렸는데, 이것은 강남지방의 풍물로서 화북의 말 그림(화마*)에 필적되는 것이었다.
남송南宋 때에는 선종화*(禪宗畵)가 성행하였는데, 다양한 선종화의 소재에는 수행자의 향상 단계를 상징한 <십우도十牛圖> 혹은 화면에 자성자목(自性自牧)의 뜻을 부여한 소 그림이 많이 있었다. 남송 화원(畵院) 화가들도 소 그림을 많이 그려 이당李唐(리 탕), 이적李迪(리 띠), 염차평閻次平(이엔 츠핑) 등이 유명하였다.
한국에서는 조선시대에 소그림이 성행해 김시金禔의 <와우臥牛> <황우黃牛> 등이 남아있다. 김시의 소그림은 남송대 선종화의 영향도 있으나, 구도나 필법 등에 특유의 한국적 정취가 잘 표현되어 있어 독자적인 경지를 개척한 것으로 평가된다. 김시의 화풍은 이경윤李慶胤, 이징李澄, 손자인 김식金埴, 윤두서尹斗緖에까지 이어져, 소를 표현하는 기본화풍으로 정착되었다.
조선시대의 화가들은 현실적인 소를 소재로 그리면서도, 소를 통해 도가적(道家的) 삶에 대한 동경심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즉 자연을 벗삼아 은일자적하기를 염원하였던 문인들은 소가 지니고 있는 자적함과 평화로운 분위기에 자신의 마음을 의탁하여 그림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경윤이 그린 <기우취적騎牛吹笛>, 김식의 <우도牛圖> <고목우枯木牛> <수하모우樹下母牛>, 윤두서의 <와우臥牛>, 조영석趙榮祏의 <우도牛圖>(밑그림) 등이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