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강남춘

강남춘 江南春

산수화*의 한 화제. 중국의 소주蘇州, 항주杭州, 양주揚州, 남경南京 등지에 있는 맑은 물가의 봄경치를 그린 그림이다. 꽃나무와 농부 혹은 고사(高士)의 뱃놀이 광경 등을 덧붙여 그리기도 한다. 명대(明代)의 문징명文徵明(원 즈엉밍, 1470~1559) 등 문인화가가 그린 그림이 많다.

강남화

강남화 江南畵

논자(論者)와 시대에 따라 다소 견해가 다르기도 하지만, 북송北宋의 미불米芾(미 후, 1051~1107)은 강남의 특유한 화법을 강남화라 했고, 그 전통은 고개지顧愷之(꾸 카이즈, 344~406)로부터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동원董源(똥 위앤) 계통의 산수화* 뿐만 아니라, ‘강남의 기상’ 을 나타내는 피마준* 또는 비백(飛白)이나 초서*의 법을 활용한 강남화의 특징적인 묘사 형식을 생각했던 것 같다. 원, 명대(元明代)에는 미법산수*나 강남을 주제로 한 작품을 강남화로 부른 예가 있다.

강서화파

강서화파 江西畵派

중국 청초(淸初)의 화가 나목羅牧(루어 무)을 대표로 하는 유파. ‘강서파(江西派)’라고도 한다. 나목은 계녕도系寧都(현 江西에 속함) 출신으로, 남창南昌(현 江西)에 살면서 산수화*를 그렸는데, 처음엔 위석장魏石狀(웨이 스추앙)의 전수를 받다가 뒤에는 황공망黃公望(후앙 꽁왕, 1269~1454)에게 배웠다. 기록에 따르면, 그의 필치는 매우 신비로워서 강회江淮(즉 長江과 淮河) 주변에서 그에게 배우려는 사람이 매우 많았다고 한다.

강호시대 미술

강호시대 미술 江戶時代美術

→ 에도시대 미술

개념미술

개념미술 槪念美術
Conceptual Art(영)

일반적인 뜻으로는 미술작품의 물질적 측면보다 관념성의 비물질적 측면을 중요시하는 경향을 말한다. 좁게는 기호나 문자 등의 비물질에 의한 표현양식을 말하지만, 넓게는 퍼포먼스*나 비디오 아트*같이 회화도 아니고 조각도 아닌 새로운 미술형태와 대지미술*처럼 대부분의 사람들이 드로잉이나 사진*으로 볼 수밖에 없는 미술 형태를 포괄한다. 공식적으로는 1960년대 후반에 미국의 평론가 펠로John Fellow가 점차 지적인 사고 조작을 중요시한 나머지 어떤 극한에 도달한 상태의 현대미술 양식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처럼 개념미술은 대부분의 미술작품이 형식*(작품)과 내용*(개념)으로 성립되는 것에 비해, 일방적으로 개념을 중시하여 작품이 언어적인 의미내용과 제작이념에 완전히 종속되며 작가의 사고 자체가 전면에 등장하는 경향을 총체적으로 일컫는다.
개념미술은 1960년대에 들어 더욱 상업화되어 가던 미술계와 특히 동시대 미술이었던 미니멀 아트*로 대표되는 전후 형식주의* 미술에 대한 반대를 기치로 대두하였다. 개념미술이라는 명칭 자체도 1960년대 초에 과격한 반예술*적 이벤트를 시도한 보이스Joseph Beuys(1921~1986), 백남준白南準 등의 플럭서스* 멤버들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개념미술가들은 그때까지의 미술이 좁은 범위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그 한계에서 탈피하기 위해 페미니즘*, 대중문화*, 기호학 등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미술작품과 닮은 구석을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작품을 창조해 냈다.
개념미술은 기본적으로 근대적 예술관을 부정하거나 긍정하는 두 경향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유럽에서, 후자는 미국에서 많이 보인다. 유럽에서는 제1차세계대전을 경험한 후 이성적 합리주의에 근거한 근대 미술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다다*가 출현하였고, 이것이 제2차세계대전 후 재평가되면서 미술에 관념성을 도입한 뒤샹Marcel Duchamp(1887~1968) 등의 영향과 어울려 부정적 경향의 기초를 형성했다.
유럽에서 긍정과 부정의 배후에는 형이상학적 혹은 합리론적인 전통이 자리하고 있으며 초경험적인 존재에 관계하는 태도에 따라 그 입장이 결정된다. 특히 경험론의 전통에 근거한 실증주의적인 토양이 형성되어 있는 영국의 경우에는 롱Richard Long(1945~ ), 디베츠Jan Dibbets(1941~ ), 길버트와 조지Gilbert & George 등과 같이 경험 자체를 중시하는 경향과 논리 실증적인 언어로의 관심을 두는 미술과 언어*가 개념미술을 표방하였다. 이는 반논리실증주의자에 의해 유럽 근대미학이 영국에 뿌리를 두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학은 특히 칸트Kant적인 ‘미의 형식성’이 영국을 거쳐 미국으로 건너와 독자적으로 해석됨으로써 추상표현주의* 이후 차가운 추상에서부터 미니멀 아트에 이르는 일련의 순수한 형식주의*가 미국적인 개념미술의 토대가 되었다.

개선문

개선문 凱旋門
triumphal arch(영)

고대 로마의 장군 또는 황제의 공훈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아치문으로 기념문이라고도 한다. 기원전 2세기부터 이런 유형의 문이 세워졌으나 공화정치시대의 개선문은 현존하지 않는다. 그 기원에 대한 논의는 헬레니즘 시대의 시문(市門), 프로필라이아 등 다양하나, 확실한 것은 로마의 사적(事蹟)을 기념한다는 역사성과 도시공간의 모뉴멘털화 지향과 결부된다는 점이다. 개선문의 형식은 그 규모나 장식에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보통 아치* 위에 구형(求刑)의 아티크를 얹어 그 위에 조각상을 장식한다. 개선문은 주로 로마제국 도처에 건립되었는데 오늘날 남아있는 예로는 대형 아치 단일형(티투스 황제 개선문)과 아치 양측에 작은 아치를 붙인 것(셉티미우 세베루스 제(帝), 콘스탄티누스 개선문)과 테트라필론, 트리폴리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개선문 등 세 종류로 대별할 수 있다.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는 고대를 본떠 개선문을 가설 건축물로 세우는 경우가 있었으며, 신고전주의*시대에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부흥되었다. 베를린의 브란덴부르크(1788~1791)와 파리의 카루젤 개선문(1806), 에투아르 개선문(1806~1836), 런던의 마블아치(1828) 등이 그 좋은 예이다.

개성

개성 個性
individuality(영)

일반적으로 개인, 개체가 지니고 있는 특유의 특징이나 성격, 속성을 의미. 미학*상으로는 ①예술가의 독자적인 특성이 창작해 놓은 작품에 표출되어 있는 경우, ②그려진 대상이 개별적 및 특수적인 것에 의해 표현이 구체적으로 되어 있을 때 ③개인적 특성에 의해 감상*이 규정되고 있는 경우를 가리킨다.

개자원화전

개자원화전 芥子園畵傳

중국 청초(淸初)에 간행된 화보. 개자원화보芥子園畵譜라고도 한다. 원래는 3집이었으나 이후 4집이 위탁본(僞託本)으로 간행되었다. 1집은 《산수수석보山水水石譜》 5권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1679년 왕개王槪(우앙 까이)가 명말(明末)의 화가 이유방李流芳(리어 우황)이 옛 명화들을 모아 만들었던 《산수화보山水畵譜》를 증보 편집한 것이다. 개자원이라는 이름은 《산수화보》를 소장하고 있던 심심우沈心友(선 신이어)의 장인 이어李漁(리 위)의 별장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1집은 중국화의 기본적인 기법을 설명하는 책자로 발간되자마자 경이적인 판매부수를 기록하였다. 성행에 힘입어 1701년 왕개형제가 2, 3집을 편집하였다. 2집은 《난죽매국보蘭竹梅菊譜》 8권이고, 3집은 《초충영모화훼보草蟲翎毛花卉譜》 4권이다. 1818년 출간된 4집은 인물화보로 《사진비결寫眞秘訣》이나 《만소당화전晩笑堂畵傳》같은 책을 토대로 만들어진 것이다. 4집은 개자원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고 이름만 차용한 것이다. 각 책은 첫머리에 화론의 요지를 싣고 그 다음에 화가의 기법, 마지막에는 역대 명인들의 작품을 모사하여 게재하는 식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청말(淸末)의 화가 소훈巢勳(자오슌)이 앞의 3집을 충실히 임모하고 4집에 역대 명인들의 전신비결(傳神秘訣) 등을 보완하여 1898년에 전 4집의 개자원화전을 발간하였다. 따라서 이때부터 소훈임본(巢勳臨本) 개자원화전이 널리 보급되었다. 근 300여년에 걸쳐 개정 증보되어온 개자원화전은 목판채색술과 같은 인쇄술의 뛰어난 성취를 보였다. 또 누구나 그림을 배울 수 있는 화보로서 화학도(畵學徒)들의 가장 좋은 입문서 역할을 하고 있다.

개자점

개자점 介字点

수묵산수화에서 나뭇잎을 그리는 기법. 네 개 정도의 작은 필치를 한 단위로 하여, 마치 한자漢字의 ‘介’와 같이 보이는 작은 잎을 그린다.

객사

객사 客舍

읍성 안에서 가장 중심되는 곳에 자리하며, 왕을 상징하는 전패(殿牌)와 궁궐을 상징하는 궐패(闕牌)를 안치하고 문안을 드리는 주사(主舍)와 옆에 연결된 익사(翼舍)로 구분된다. 주사는 전패와 궐패를 안치하여 중앙에서 먼 지방에서도 왕의 시책을 충실히 시행하고 있다는 것을 상징하며 익사는 온돌방을 두어 외국의 사신이나 중앙의 관리들을 접대, 수행하고 이들의 숙소로 사용된다. 또한 객사에는 사신과 중앙관리들의 접대를 위해 큰 누정(樓亭)을 세우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