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빨리, 더 많이 그리고싶다” 노상호작가 인터뷰

노상호는 어떤 생각으로 작업을 인터넷이나 SNS와 같은 ‘가상환경’에 선보이게 되었을까? 얇은 그림을 그리게 된 계기가 있는지,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할지 궁금해졌다. 연희동 주택가에 위치한 그의 작업실에서 한 시간 가량 이야기를 나눴다.

[Interview] 하늘; 그 안에 나와 너, 우리, 그리고 삶. ‘바이런 킴’

하늘; 그 안에 나와 너, 우리, 그리고 삶. ‘바이런 킴’ 인터뷰

꽃무늬 셔츠를 입은 작가가 성큼성큼 갤러리 안으로 들어왔다. 17년간 일요일마다 하늘을 그려온 작가 바이런 킴. 소박한 정서와 개인적인 글을 그림에 담아낸다. ‘소소한 일상 속의 작은 변화들’을 연결해 우리의 ‘삶’을 그려내는 작가다.

작품 앞에서 촬영한 바이런 킴 작가.

그는 한국인 부모를 두었지만, 미국에서 태어난 재미교포다. 평생 미국에서 살았으며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한다. 1993년에 (<제유법>)시리즈를 휘트니 비엔날레에 출품하면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워싱턴 국립 미술관, 샌디에고 현대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 등에서 그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2017년에는 구겐하임 재단 펠로우십(Fellowship)의 순수미술 부문 수상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올해엔 광주 비엔날레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런 그가 7년 만에 한국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국제갤러리에서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에서 (<일요일 회화>) 연작과 (<무제 (…를 위하여)>) 시리즈를 선보인다. 그를 만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이번 전시가 모두 ‘하늘’을 그린 작품들이다. ‘하늘’을 그리는 특별한 이유를 설명해줄 수 있나.

국제갤러리에서 전시중인 바이런 킴 (<일요일회화>) 연작들.

“ 하늘은 모든 사람이 친숙해 하는 대상이다. 지구에 사는 사람이라면 ‘하늘’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거다. 하지만 막상 하늘에 대해 자세히 아는 사람도 별로 없다. 우리들 곁에 항상 존재하지만, 왜 파란색인지, 어디에서 끝나는지 등 하늘의 ‘본질’에 대해서 우리는 잘 모른다. 나는 하늘의 이런 모든 성질이 너무나 놀랍다. 굉장히 흥미롭다. 하늘은 개개인의 작은 ‘일상’을 담고 있는 동시에 ‘무한성’을 지닌다. 나는 극민한 것과 무한한 것을 연결하는 작업을 한다. 하늘이 이를 잘 드러내는 것 같다. 사소하고 일상적인 것들로 이루어진 게 삶이지 않나. 나는 내 삶 속의 일상적인 장면을 표착함으로써 인간의 ‘삶’을 표현하고자 한다. 그림 위에 쓰는 글도 특별함을 내세우지 않은 사소한 글이다. 이런 글들은 결코 성의 없음이 아니라, 개인적이고 사소한 것들을 적어 커다란 의미의 ‘삶’을 표현하고자 함이다.”

 

17년간 매주 일요일에 그림을 그려왔다. 매주 작업을 하는 게 쉽지 않았을 것 같다. 꾸준히 진행하는 데에 어려움은 없었나?

국제갤러리에서 진행중인 바이런킴 전시 전경.

” 대부분 일요일에 그리지만, 꼭 그날에 그리는 건 아니다. 해외에 가는 경우나 매우 바쁠 땐 다른 날에 그릴 때도 있다. 하지만 일주일에 하나씩 그리려고 노력한다. (<일요일 회화>) 는 그 아이디어 자체에 의미가 있다. ‘Sunday painting (일요일 회화)’이라고 하면 아마추어다운 경향이 짙다. 나는 이 말이 가지고 있는 가벼움, 사소함, 아마추어다움을 기저에 두고 그림을 그리고 싶다. 무슨 말이냐면, 최대한 있는 그대로 소박한 모습을 담고 싶다. ‘Nothing special (특별함 없이)’. 그림 위에 쓰는 글도 일부러 아무것도 쓰지 않은 것처럼 보이도록 시도한다. 사람들이 읽든 안 읽든 상관 없다. 나의 사소하고 개인적인 노트이기 때문이다. 알아듣지 못해도 된다. 모든 사람들의 일상은 이렇게 사소한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특별하지 않다. 나는 소박하고 꾸미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표현함으로써 전체적인 삶을 보여주고자 한다.”

 

국제갤러리 3관에서 선보이는 (<무제 (…를 위하여)>)시리즈는 도시의 밤하늘을 그린 작품들이다. 낮 하늘이 아닌 밤하늘을 그린 데에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하다. 덧붙여, 기억에 의존해서 그린다고 했는데 어떤 기억을 떠올리며 그리는지 궁금하다.

국제갤러리에 전시중인 (<무제 (…를 위하여)>) 연작

“ (<무제 (…를 위하여)>) 연작의 하늘은 도시의 밤하늘이다. 시골같이 뻥 뚫린 넓은 하늘이 아니다. 빌딩에서 나오는 수많은 불빛의 영향을 받은 좁은 하늘이다. 그럼에도 도시의 밤하늘은 사람들의 흔적을 담아 아름다운 빛을 낸다. 나는 인간의 흔적이 밤하늘에 스며드는 것을 느꼈다. 부제는 지인들의 이름으로 개인적이고 친밀한 의미를 담았다.
밤하늘을 보던 그 순간, 어떤 장소와 시간이었는지 기록해 두진 않는다. 하지만 특정한 순간의 밤하늘을 ‘기억’해서 그린다. 대부분 전날이나 그 전 주에 보았던 밤의 하늘이다. 기억에 남은 시각적인 장면을 떠올리며 ‘회화’로 표현한다. 사진을 보지 않고 기억에 의존해서 그리는 게 더 낭만적이지 않나.

지금 진행하는 연작 시리즈 외에 구상 중인 다른 시리즈가 있나? 앞으로 작업 계획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다.

“ 두 가지 작업을 구상 중이다. 하나는 ‘Bruise(멍)’ 시리즈로 이미 진행중이며 다른 하나는 앞으로 해볼 계획이다. 아직 구현하지 않은 두 번째 계획은 개인적으로 매우 다채로운 작품을 해보고 싶다. 나는 멜랑콜리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그에 반해 밝은 그림을 그리고자 한다. 선데이 페인팅은 매우 잔잔한 그림이다. 그래서인지 다음 작품은 밝고 원색적인 그림을 그리고 싶은 마음이 강하다. 덧붙여, 설명이 필요하지 않은 그림을 그리고 싶다. 미국 작가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는 이런 말을 했다. “What you see is what you see, 당신이 보는 게 당신이 보는 것이다” 빨강과 노란색을 사용했을 때 그것에 의미를 두지 않고 빨간색과 노란색 그대로 볼 수 있는 그림을 그리고 싶다.”

멍 시리즈 그림을 본 적 있다. 400 인종의 피부색을 그린 <제유법>과 유사한 점이 있다고 생각했다. 멍 시리즈는 (<제유법>) 시리즈의 연장선인가?

BYRON KIM, , 2016,
Glue, oil and pigment on canvas, 165.1 x 134.6 cm. Image Courtesy of James Cohan Gallery.

BYRON KIM, , 2016, Dyed canvas, 62 1/4 x 48 in. Image Courtesy of James Cohan Gallery.

“ 아니다. (<제유법>) 시리즈와는 관련 없이 시작했다. 멍 시리즈는 미국 시인 칼 필립(Carl Phillips)의 시에서 영감을 받았다. 시 내용은 이렇다. 이른 아침, 창문에 빛이 새어 들어와 시인은 잠에서 깬다. 그는 옆에서 자는 애인의 몸에 든 멍을 본다. 시인은 그 멍의 색깔이 시간에 따라 변할 것을 연상하는데 여기서 그가 쓴 표현이 정말 아름답다. 멍 색깔이 시간이 흘러 피부에서 떠오른다. 색은 황색에서 보라색, 그리고 푸른색으로 변해간다. 시인은 그러다가 색을 연상하는 데에 한계를 느껴 잘 보이는 쪽 눈을 가리고 잘 안 보이는 쪽 눈을 사용하여 창밖에 떨어지는 낙엽들을 바라본다. 짧은 시였지만 나는 이 시가 정말 말도 안 되게 아름답다고 느꼈다. 덕분에 시를 읽은 후, ‘멍’의 색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았다. 멍이 가지고 있는 폭력적인 성질을 떠나 그저 멍의 ‘색감’에 매료되었다. 어떻게 보면 이 색들은 밤하늘의 색과도 비슷했다. 밤하늘을 그릴 때 가끔 멍이 가진 색깔들을 연상하기도 했다.

즉, 멍이 가진 실제적 상징성을 생각하지 않고 오로지 색감에 초점을 맞추어 작업했다. 많은 사람은 내 초기작업을 떠올리며 그 연장선으로 ‘피부’를 그렸다고 생각한다. 특히 현재 사회에 전쟁, 테러 등 폭력적인 사건들이 빈번해서인지 나의 작업이 사회를 반영한다고 해석하는 듯하다. 그러나 내가 막상 이 작업을 시작한 것은 5년 전에 읽은 짤막한 시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렇게 해석되는 것이 나쁘지 않다. 내 작업에 더 관심을 가져주는 거니깐 나는 오히려 긍정적이다.”



 김민경  (monthlyartmedia@gmail.com) 
 
© (주)월간미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Exhibition]그녀들은 최선을 다했다

 

박영숙 사진전 <두고 왔을 리가 없다>

여성의 초상은 종종 어떤 ‘대상’으로 대체된다. 1930년대 도로시아 랭의 다큐멘터리 프로젝트 중 가장 유명한 <이주민 어머니>는 대공황 속에서 갈 곳 잃은 농민들의 처연한 상황을 극적으로 드러냈고, 애니 레보비츠가 찍은 <롤링스톤지> 표지 속 존 레논의 키스를 받는 오노 요코는 한 예술가의 영원한 뮤즈 그 자체를 보여줬다. 여성 포트레이트 사진의 역사와 특징을 일일히 나열하지 않더라도 박영숙 작가가 1981년에 찍었다는 인물들을 본다면, 뭔가 조금은 다른 점을 눈치챌 수 있을지 모르겠다. 누군가의 아내, 누군가의 연인, 누군가의 엄마, 어떤 집안의 며느리가 아닌, 자신의 직함을 달고 있는 여성들이 카메라 앞에 서 있다. “내가 난데, 무슨 수식어가 필요하지?” 30년도 더 된 사진 속, 40세의 그들이 그렇게 말하고 있었다.

by SOJIN LEE

39살, 문득 돌아본 삶의 기로에서

전시의 시작점에 쓰여진 작가 노트에서 박영숙 작가는 36명의 포트레이트를 찍게 된 연유를 간략히 밝혔다. “1979년 여름, 나는 인물 사진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39살의 나는 유방암이라는 판정에 두 다리가 휘청거려 주저앉을 것 같았다. 이 작업은 마흔이라는 나이 앞에서 지난 39년을 뒤돌아 보는 기회이기도 했다. 난 뭔가 그럴듯한, 누구나 알 수 있는 그런 내가 되려고 그간 달려왔던 것이었다. 그런 나 자신에게 ‘너도 별 것 아니구나’ 싶었다… 내 삶이 여기 까지 였구나 싶어 슬펐다. ‘철없이 꿈만 많던 내가 벌써 마흔이라니’하며 나이 마흔의 나를 처음 만났던 것 같다. 내 주변의 친구들을 떠올렸다. 그들은 모두 뭔가 꿈을 이루어 누구누구라는 수식어가 붙여진 인물들이 되어 있었다.”

무사히 퇴원 수속을 밟은 박영숙은 누워 있는 동안에도 오락가락 떠올랐던 친구들을 찍기 시작했다. 그가 부러웠던 친구들은 시인, 소설가, 작곡가, 성악가, 연극배우 등 각자의 위치에서 자신의 길을 걷던 이들이었다. 작품 제목도 ‘최욱경, 화가’ 식으로 이름과 직업만 밝혀 놓았다. 심플하다. 화가는 화가대로 작업실에서, 농구선수는 선수대로 코트장에서 포즈를 취했을 뿐 그 이상의 과장이나 수사는 없다. 오직 찍는 사람의 지긋한 응시만 있을 뿐. 인물들이 이토록 자연스럽고 당당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편한 친구였기 때문이기도 하다. 박영숙은 ‘그들을 기록하는 일이 내 의무일 수 있겠구나’ 생각했다고 했다. 덕분에 2018년의 우리는 한가지 사실을 알게 됐다. 1981년에 이런 멋진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을.

변화무쌍한 세월을 살아낸 언니들의 이야기

오늘날의 멋진 언니들은 어디 있을까. 20층에서 열리는 <36인의 포트레이트>를 보고 나서 19층으로 내려가면, 전시의 2막이 펼쳐진다. 박영숙은 자신보다 연배 높은 80~90대의 여성 7명의 삶을 경청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그들이 살아온 세월 안에는 한치 앞도 가늠할 수 없는 인생 속 지팡이가 있지 않을까. 극단장 이병복, 판소리 명창 최승희, 故 김수영 시인의 아내 김현경, 화가이자 패션디자이너인 김비함, 기업인의 아내 박경애, 안동할매청국장집을 운영하는 이상주, 갤러리 대표 이은주가 그 주인공으로 각각 마련된 7개의 방마다 사진과 인터뷰 영상이 설치되어 있다. 그들의 인생이 연극 무대가 된 듯 각 방을 나누는 파티션마다 화려한 벨벳 커튼이 드리워져 있다.

박영숙은 그들의 공간을 찾아가 조곤조곤 인터뷰하고 사진을 찍었다. 처음에는 한사코 거절했지만 세월은 어느 순간 속사포처럼 쏟아진다. 삶 속에서 맺은 가족과의 관계, 자신의 길을 걷게 된 계기, 누군가와의 인연 그리고 한맺힌 사연이 그들의 육성에 의해 전해지는 경험은 특별하다. 인터뷰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보통 20세기 초반생으로, 한국 사회의 급격한 변화를 몸소 겪은 세대다. 여성이라서 했던 일들, 여성이라서 하지 말하야 했던 일들의 선택지 속에서 자신이 믿는 것은 굳게 지켜온 여성들이며 또 그럼에도 두고 온 것들, 못한 일들에 대한 미련을 툭 던져 놓을 수 있는 어른들이기도 하다. 7명 모두 다 다른 인생을 살았다. 하지만 공통점은 하나 있다. 이 변화무쌍한 세월 속에서 최선을 다했다는 것이다. 누구나 나이를 먹고 늙어간다. 찬란한 삶의 기쁨도 세월을 타면 이별이라는 종착지에 달한다. 언니들의 삶은 그런 인생을 사는 우리의 어깨를 툭툭 두드려주는 묵직한 위로다. M.A

가치 개념이 많이 바뀌어 가는 변화무쌍한 세월들을 다 감당해 내었다. 그녀들은 최선을 다했다. 그렇게 그녀들의 삶은 매우 찬란했고, 현란했다. 그래서 오늘 여기 이곳에 서있을 수 있다. 어느 하나도 포기하지 않았고, 주어진 소명을 다 감당하고, 모두 극복하였기에 여기에 서있는 것이 감동이다. 같은 시대를 서로 다른 형편으로 서로 다르게 살아낸 그녀들의 삶이 그래서 소중하다. 그렇게 일곱 명의 여인들이 모여 서로 어우러지니 서로가 빛난다.

-박영숙 작가 노트 중-

* 박영숙은 1975년 사진 작업으로 참여하게 된 단체전을 시작으로 다양한 전시에 참여하였고, 여성미술연구회에 가입해 사진가로서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해왔다. 또한 1997년에는 여성작가협회를 발족하기도 했다. 이후〈마녀, 〈우리 봇물을 트자〉그리고〈미친년 프로젝트〉등을 통해 그동안 흔히 다루어지지 않던 여성에 대한 이야기를 사진으로 꾸준히 작업해왔다.

 


박영숙 사진전

<두고 왔을 리가 없다>

2017년 12월 16일 ~ 2018년 2월 17일

한미사진미술관  바로가기


*전시의 주인공 중 한 분인 이병복 선생님이 작년 연말에 소천하셨다. 1세대 연극 무대미술가로 극단 자유를 이끌어온 연극계의 개척가 한 분의 인생을 깊이 추모한다.

Caption 

이병복, 극단 자유 대표 ⓒ박영숙 그 외 전시 전경

이소진 (sojin.chloe.lee@gmail.com)

사진  월간미술 미디어콘텐츠, 한미사진미술관 제공

Copyright © 월간미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Exhibition]자신을 비추는 일렁이는 수면 같은 전시, 리오넬 에스테브 <나르시스>

 리오넬 에스테브 : 나르시스

2018년 1월 24일 – 2018년 3월 10일

페로탕 갤러리 서울

https://www.perrotin.com


Lionel Estève, Untitled (Mirror), 2016, Porcelain, colored underglaze, crystallizations, platinum
70 x 70 cm / 27 9/16 x 27 9/16 © Estève / ADAGP, Paris 2017
Photo : Clair Dorn / Courtesy Perrotin

페로탕 갤러리 서울은 1월 24일부터 3월 10일까지 리오넬 에스테브(Lionel Esteve)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리오넬 에스테브는 프랑스에 위치한 국립 도자기 제작소 (Manufacture nationale de Sèvres) (이하 세브르) 장인들과 협력하여 만든 도자 작업들을 선보인다. 1740년에 설립된 세브르는 처음에는 왕립, 이후 황실, 마지막으로는 국립 기관의 주문에 양질의 제품을 공급해 왔다. 작가는 이곳의 장인들과 협업하여 도자기 명판을 세밀하게 가공하는 방식으로 지난 4년간 작품을 해왔으며 이번 전시를 통해 최신 작품들을 선보인다.

리오넬 에스테브는 프랑스 출신 현대 미술가다. 전통적 제작방법에서 벗어나 재료에 국한되지 않는 독특한 방식으로 작업을 한다. 철사, 실, 플라스틱, 돌, 종이, 도자기 등 다양한 재료로 유기적인 형태를 만들고 다채로운 색을 사용한다. 그의 작업은 평면, 조각, 설치를 모두 아우르며 공간에 대한 사유를 불러일으킨다. 다채로운 색감을 통해 인지의 영역을 넘나드는 그의 작품은 마치, 색감이 빠르게 혹은 천천히 움직이는 듯한 환영을 준다. 그가 주로 작업해 온 방향은 다양한 재료와 색감을 사용해 감각 인지를 확장시키는 방식이다.

Lionel Estève, Untitled (Mirror), 2015 (Detail), Porcelain, colored underglaze, crystallizations, platinum, 31 x 31 cm / 12 3/16 x 12 3/16 in
© Estève / ADAGP, Paris 2017
Photo : Clair Dorn / Courtesy Perrotin

리오넬 에스테브가 이번 페로탕 전시에서 선보이는 도자 작업들은 은은히 빛나는 액체 표면을 닮았다. 전체적으로 은색 플래티늄 도금을 씌운 작품 표면에는 동전 크기만 한 구멍들이 나 있다. 작은 동그라미 구멍들 사이로 다채로운 색감의 도자가 드러나는데, 그 모습이 마치 물 고인 웅덩이에 빗방울이 떨어지는 형상 같다. 리오넬 에스테브는 작품을 통해, 인간이 수면에 반사된 형태를 보며 자신의 모습을 고찰했던 순간들을 회상시킨다. 그는 이 작품들에 대해 “빗물이 고인 웅덩이들, 폭우의 파편들, 심연의 투영이다. 즉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던 곳이다”라고 전했다. 리오넬 에스테브는 약 한 달 반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를 통해 인간과 자연이 갖는 감성적 관계를 이야기한다.

페로탕 갤러리 서울에서 열리는 리오넬 에스테브의 <나르시스>전시를 관람하며 스스로를 향한 질문을 던져보는 건 어떨까.

⠀⠀⠀⠀⠀⠀⠀⠀⠀⠀⠀⠀⠀⠀⠀⠀⠀⠀⠀⠀⠀⠀⠀⠀⠀⠀⠀⠀⠀⠀⠀⠀⠀⠀⠀⠀⠀⠀⠀⠀⠀⠀⠀⠀⠀⠀⠀⠀⠀⠀⠀⠀⠀⠀⠀⠀⠀⠀⠀⠀⠀⠀⠀⠀⠀⠀⠀⠀⠀⠀⠀⠀⠀⠀⠀⠀⠀⠀⠀⠀⠀⠀⠀⠀⠀⠀⠀⠀⠀⠀⠀⠀⠀⠀⠀⠀⠀⠀

사진제공 : 페로탕 갤러리

⠀⠀⠀⠀⠀⠀⠀⠀⠀⠀⠀⠀⠀⠀⠀⠀⠀⠀⠀⠀⠀⠀⠀⠀⠀⠀⠀⠀⠀⠀⠀⠀⠀⠀⠀⠀⠀⠀⠀⠀⠀⠀⠀⠀⠀⠀⠀⠀⠀⠀⠀⠀⠀⠀⠀⠀⠀⠀⠀⠀⠀⠀⠀⠀⠀⠀⠀⠀⠀⠀⠀⠀⠀⠀⠀⠀⠀⠀⠀⠀⠀⠀⠀⠀⠀⠀⠀⠀⠀⠀⠀⠀⠀⠀⠀⠀⠀⠀

김민경  (monthlyartmedia@gmail.com)
© (주)월간미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ortfolio I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