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획] 자유로운 학습의 기회를 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AMA + (Art Major Asian Plus Scholarship) 장학생 프로그램

자유로운 학습의 기회를 열다
국내에서 활동하는 예술가의 증가와 더불어 한국의 미술대학에서 수학하는 외국인 학생 수도 늘어나고 있다. 외국인 학생과의 교류는 학교의 국제적인 명성과 이미지를 높이는 방편이기도 해 각 대학에서는 다양한 교류 및 장학금 프로그램을 통해 외국인 학생을 보다 많이 유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월간미술》은 다수의 학교 프로그램 중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하는 AMA Plus 장학생 프로그램(Art Major Asian Plus Scholarship)을 통해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에 재학 중인 파키스탄 출신의 사디아(학부 1학년)와 방글라데시에서 온 불니마(전문사 3학기)를 만나 장학 프로그램에 지원한 동기와 학교생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AMA Plus .
인터넷으로 장학프로그램을 알아봤다는 불니마는 “방글라데시의 예술교육 프로그램은 한국에 비해 범위가 협소하고 매우 경쟁적인 구조다. 해외로 나가 좀 더 자유롭게 다양한 교육을 받고 싶었다”고 지원동기를 말했다. 방글라데시의 대학에서는 작업 기법과 기술 측면을 강조하고 극심한 경쟁구도 시스템으로 수업이 진행된다. 불니마는 “이에 반해 한국에서는 자신의 생각, 영감을 중요하게 여긴다. 리얼리즘식의 작법을 강조하고 반복하는 방글라데시 대학의 교육방식과 차이를 느낀다”고 했다. 방글라데시의 대학은 고득점을 얻은 소수의 학생만 논문에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는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교수의 미감에 맞출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한다. 파키스탄에서는 2학년이 되어야 구체적인 전공을 정하는 시스템으로 수업 일정이 짜여 있다. 이 때문에 사디아는 파인아트 전공만 조형예술과에 지원 할 수 있는 조항에 따라 2학년이 되어서 지원하게 되었다. 파키스탄의 예술교육도 방글라데시와 마찬가지로 리얼리즘을 중요시한다. 예컨대 풍경화를 그리기 위해 도심에서 멀리 떨어진 교외지역으로 가서 실경수채화 작업을 하는 과제는 가장 보편적인 수업 방식 중 하나라고 한다. 사디아와 불니마는 “컵을 그리라는 주제를 정해주면 우리나라(방글라데시, 파키스탄) 학생들은 모두 컵을 그린다. 같은 주제를 제시할 경우 한국 학생들의 캔버스에는 컵이 등장하지 않는다. 컵이라는 개념만을 가지고 전혀 다른 형상을 구현해낸다”며 학생의 사유와 사고가 강조되는 한국의 교육방식에 대해 설명했다.
한국에서 수업을 들으며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한결같이 ‘언어’를 꼽았다. AMA Plus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원하는 타 장학프로그램과 달리 입학 전에 단 3개월의 어학연수 과정이 주어진다. 프로그램 지원 시 한국어 능력에 대한 증빙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대다수 지원자의 한국어 수준은 걸음마 단계이거나 전혀 모르는 상태이다. 3개월의 어학연수를 마치고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수업 내용을 이해하지 못할 뿐 아니라 생활에서도 어려움을 느낀다.“팀별로 서로의 작업에 대해 논의 할 때 정말 곤란하다.
하지만 정작 나는 한국어로 말하는 그들의 의견을 이해하지 못하고 수용하지도 못해 아쉽다”라고 사디아는 말했다. 이미 11년간 수업을 들은 불니마는 “이제 수업시간에 진행되는 이야기를 이해는 할 수 있다. 하지만 내가 하고 싶은 말, 내 의견을 표현할 수준은 되지 못하는 정도”라고 했다. 유학생과 함께 수업을 듣는 한국 학생들의 원활한 수업진행을 위해 입학 전 어학연수 기간을 늘리면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나 어학을 제외하고 이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매우 높았다. 사디아는 학부과정을 마치면 전문사 과정에, 불니마는 전문사과정을 끝내면 박사과정에 지원할 생각을 갖고 있다.
임승현 기자

[section_title][/section_title]

Priview

<유니버셜스튜디오, 서울전> 6.17~8.10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은 2014년 미술관이 나아갈 방향을 포스트뮤지엄으로 설정하고 그동안 한국 미술계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작가와 주제를 선정 집중적으로 소개하는 기획전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2014세마골드 <노바디> (3.11~5.18)는 이러한 의도에 해외로 이민을 갔거나 장기거주하며 작업하는 중년의 한인 여성작가 3명을 소개한다. 그렇다면 상반되게 현재 국내로 이주했거나 장기거주하며 작업하는 외국인 작가들에게 한국은 어떤 모습으로 비칠까. 국내 거주 외국 작가를 소개하는 전시 이 서울시립미술관에서 6월 17일부터 8월 10일까지 열린다.
은 폴 카젠더, 올리버 그림, 사이먼 몰리, 탈루 L. N 등 한국에 잠시 머물다가 떠나는 외국인이 아니라 최소 1년 이상 한국에서 거주하며 작업하는 작가들이 참여하는 전시다. 한국에 장기적으로 거주하는 작가들의 경우 한국에 대한 자신만의 이해와 관점이 생기고 이것이 그들의 작업에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나타나게 된다.
전시 제목인 <유니버설 스튜디오(universal studio)>는 주지하다시피 미국의 영화 배급사이자 배급사에서 운영하는 테마파크와 동명이다. 전시를 담당하는 서울시립미술관 조아라 큐레이터에 따르면 “영화 테마파크로서 갖는 판타지, 유희적 이미지가 ‘문화적 판타지’로 연결된다고 생각해 전시제목으로 선정했다”고 한다. 외국인이 한국에 거주하며 갖게 되는 한국의 일상과 문화에 대한 ‘낭만화’와 이들과 이들의 작업을 바라보는 한국인들의 낭만적 시각이 ‘문화적 판타지’로서 압축해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 말하는 낭만적 시각은 긍정 혹은 부정적 시각 어느 하나에 치우치지 않는다. 참여하는 작가들은 비록 직접적으로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표현하지 않았더라도, 무의식적으로 그들 개개인의 한국 생활이 작업에 녹아들어있다고 판단된 작가들이다. 작가로서 그들의 보편적인 고민과 개인적인 삶의 스토리가 어떻게 작품에 구현될지 기대된다.
결국 이번 전시는 “외국인 거주자 비율이 비교적 낮은 한국에서 다른 직업이 아닌 예술활동을 하며 살아가는 외국 작가 개개의 삶과 시각을 시각예술작업을 통해 미시적으로 접근하여 관람객과 공유하고 그들이 본 한국문화, 그리고 그들을 보는 한국인의 문화에 대한 생각들을 자유롭게 풀어놓는 장을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임승현 기자

아래·올리버 그림(Oliver Griem) Multimedia installation; 3D print figures, moving light, light, sound scape 2013

올리버 그림(Oliver Griem) Multimedia installation; 3D print figures, moving light, light, sound scape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