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PEOPLE 표미선 재단법인 서울예술재단 이사장

작가에게는 창작의 동기부여를, 후원자에게는 자부심을

6년을 짊어진 한국화랑협회 회장직을 내려놓았다. 그간의 부담과 고단함을 달랠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을까? 그러나 표미선 표갤러리 대표는 바로 ‘(재)서울예술재단’을 설립하고 곧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문화예술 창작자와 수요자(후원자)들의 구체화된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 새로운 문화/예술시장의 플랫폼을 형성한다”는 것을 재단 설립의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는 표 이사장을 성곡미술관 바로 옆 ‘서울예술재단 PLUS’에서 만났다.
“제가 화랑을 34년간 운영했습니다. 그간의 성과와 미술계 현황을 돌아보니 글로벌한 시대에 전시 이외 뭔가 다른 미술 움직임을 만들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표 이사장이 구상하는 예술재단 운영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서울예술재단의 첫 번째 행사인 ‘포트폴리오 박람회’를 통해 신진작가군을 선발한 뒤, 그들을 후원할 후원자들을 온·오프라인을 통해 모집한다. 이들은 월 일정금액을 후원금 명목으로 내게 된다. 이 후원금을 바탕으로 서울예술재단 소속 작가의 작품을 후원자가 원할 경우 작품을 대여한다는 것이다. 작가에게는 후원금의 50%를 창작활동비용으로 지급하고 나머지 50%는 작품 훼손에 대비하는 보험료와 기타 창고 운영이나, 재단 운영비 등으로 사용하게 된다. 물론 후원자가 구매를 원할 경우 재단은 작가와 후원자를 매개하는 플랫폼 역할도 하게 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단지 의욕이나 소명의식만 앞서서 되는 것이 아니다. 재단 운영의 법률적 뒷받침과 작품 훼손에 대비한 보험 가입 등이 담보되어야 한다.
“우선 매월 소액(1만 원)을 후원할 수 있는 후원자를 모집할 겁니다. 현재 1만 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만, 궁극적으로 많은 국민이 참여하게 할 겁니다. 그들에게 “당신이 패트런이예요, 당신이 메디치예요”라는 의식을 심어줘 예술 후원자로서 자부심을 갖게 하고 싶어요. 그런데 운영 계획에 있어서 봉착한 큰 문제는 바로 작품의 관리를 보장할 수 있는 보험 문제였어요. 바로 이점을 해결한 것이 큰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표 이사장은 재단 설립을 준비하면서 이상하리만큼 주변의 도움과 성원이 답지했다고 전했다. 국내 유수 법률회사는 공익 부서를 통해 재단 정관을 작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보험회사는 작품 대여의 발목을 잡았던 보험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제시했다고. 물론 표 이사장 사재도 만만치 않게 들어갔다. 10억 원의 재단 출연금은 그간 개인 컬렉션으로 소장했던 작품을 시장에 내놓아 마련했다.
만반의 준비를 마치고 이제 4월 7일 재단 운영의 공식돌입과 함께 ‘포트폴리오 박람회’를 열 예정이다. 심사위원단의 포트폴리오 리뷰를 거쳐 평면과 입체 분야 각 1명을 최우수상 수상자로 선정해 각각 1000만 원을 수여하고, 우수상 총 20명을 선정해 국내외 전시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작품 공모에 참여할 ‘新진작가’는 포트폴리오를 출품할 수 있다. “처음부터 그 수를 다 채울 수는 없겠지만 해마다 행사를 열어 500명 작가 참여를 목표로 하고 있어요. 후원자는 물론 기업화랑, 화랑, 미술관 등도 그들의 작품을 보고 빌려갈 수 있습니다.” 표 이사장은 특히 ‘커뮤니케이션’을 강조했다. 그 중심점은 ‘서울예술재단 PLUS’가 될 것이다. 표 이사장은 “여기에서 후원자는 작가의 작품과 자료를 열람하고 작가는 후원자를 직접 만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한 “이러한 소통은 신진기획자, 비평가에게도 열려있다”고 문호를 대대적으로 열 것임을 천명했다.
화랑협회 운영에서 쌓은 노하우가 재단 운영에도 분명 녹아들 것이다. “화랑 대표로서 할 수 없었던 일을 재단을 운영하면서 맘껏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표 이사장의 이 말에는 제대로 해내겠다는 의욕이 가득 차 있었다. 표 이사장의 이 실험이 어떻게 진행될지, 새로운 대안을 마련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황석권 수석기자

표 미 선 Pyo Misun
1949년 태어났다. 영남대 응용미술과를 졸업했다. 1981년 표갤러리를 개관하고 현재까지 대표직을 맡고 있다. 한국화랑협회 재무이사(1989), 국제담당이사(1991), 부회장(2003), 한국미술품 감정위원회 위원(2006~2008), 그리고 한국화랑협회 회장(2009~2015) 등을 역임했다. 또한 베이징(2005)과 L.A.(2008)에 표갤러리 분관을 열었다. 현재 강남문화재단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IMG_6150

서울예술재단 사무소로 쓰일 ‘서울예술재단 PLUS’ 전경. 사무공간 외에 작가와 후원자를 매개하고 작품을 직접 만나는 전시 공간으로도 사용될 예정이다

 

HOT PEOPLE 김달진 김달진미술연구소 소장

 

걸어다니는 미술자료 전문가 홍지동에 정착하다

 

김달진미술연구소와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이 홍지동에 새 둥지를 틀었다. 개인주택을 사들여 개조해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단독 건물을 마련했다.
새 공간을 열기까지 많은 도움이 있었다. 특히 광장건축환경연구소 김원 소장의 재능기부는 큰 힘이 되었다. 정부 지원이 끊겨 작년 말부터 속앓이하던 문제를 해결한 셈이다. 김달진 관장은 “이제 이 공간을 어떻게 독립적으로 운영할지 걱정이다”면서도 안도와 기쁨의 웃음을 감추지 못했다.
자신의 이름을 내건 박물관 관장이자 미술연구의 소장인 그가 미술자료를 처음 수집한 것은 무려 45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학생 시절 각종 잡지와 화집에서 서양명화 이미지를 손수 오려 스크랩북을 제작하며 수집 역사가 시작됐다. 1972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한국현대미술 60년전>은 김 소장이 우리 근대미술로 눈을 돌리는 계기였다. 미술 수집벽은 그가 아카이브 전문가로서 자리매김하는 기틀이 되었다. 박물관 지하에는 김 소장의 수집인생을 엿볼 수 있는 자료와 고 이경성 국립현대미술관 관장이 기증한 자료가 나란히 전시되어 있다. 이처럼 지하 전시장은 현재의 공간을 세우기까지 김 관장의 수집인생을 보여주는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신사옥 이전 첫 전시는 주요 소장품 250여 점을 모은 〈아카이브 스토리 김달진과 미술자료〉(3.12~5.31)다. 연구소는 작년 국립현대미술관 자료실에 2만 권의 단행본을 포함, 미술자료를 기증한 바 있다. 그러나 단독 자료와 많은 희귀자료는 김달진미술박물관과 연구소에 소장돼 있다. 이번 전시는 근현대 희귀 도서, 전시 팸플릿과, 사진, 아카이브 자료와 박물관 컬렉션의 대표작만을 모아 보여준다. 전시와 별개로 한국미술정보센터는 예약제로 열람을 원하는 대중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김 소장의 수집벽은 현재진행형이다. 직접 구입하기도 하고 많은 이들로부터 자료를 기증받아 자료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임승현 기자

IMG_6171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및 김달진미술연구소 연혁

2001년 종로구 평창동에 김달진미술연구소 개소
2002년 월간 서울아트가이드 창간
미술정보포털 www.daljin.com 오픈
2007년 연구소 종로구 통의동 91-26 이전, 미술자료실 개관
2008년 연구소 종로구 통의동 129-2 이전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서울시 2종 전문박물관 등록(제81호)
박물관 개관전 〈미술 정기간행물 1921~2008〉(10.22~2009.1.31)
2009년 박물관·연구소 창성동으로 이전
제1회 아트북페스티벌 개최(9.18~20)
2010년 마포구 창전동 이전, 한국미술정보센터 개관
2013년 〈한국 미술단체 자료집 1945~1999〉발간 (문화체육관광부 지원)
2014년 국립현대미술관에 미술자료 2만여 권 기증
2015년 박물관·연구소 홍지동 사옥 개관

HOT PEOPLE 〈베니스비엔날레〉본전시에 참여하는 미디어 아티스트 3인방

김아영 <PH Express>
남화연

남화연 < Field Recording >

9

임흥순 < 비념 >

올해 56회를 맞는 <베니스비엔날레> 본전시에 한국 작가 3명이 참여한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권영빈)은 보도자료를 통해 “김아영, 남화연, 임흥순 작가가 <제56회 베니스비엔날레>의 본전시(총감독 오쿠이 엔위저)에 초청됐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그동안 <베니스비엔날레> 본전시에는 서도호(2001), 김소라, 김홍석, 장영혜, 주재환(2003), 구정아, 양혜규(2009)가 참가했다”며, “6년 만에 한국작가가 본전시에 참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베니스비엔날레> 본전시에는 ‘모든 세계의 미래(All the World’s Futures)’를 주제로 53개국 136명의 작가가 참여할 예정이다.
김아영(위)은 1979년생으로 국민대 시각디자인과와 런던 칼리지 오브 커뮤니케이션 사진학과, 첼시 칼리지 오브 아트 앤 디자인 파인아트학과(석사)를 졸업했다. 비디오, 사운드, 이미지, 텍스트와 내러티브 구조를 이용한 작업을 하고 있으며, 독일 베를린 퀸스틀러하우스 베타니엔, 영국 런던 로열 아카데미 오브 아트, 리움미술관 등에서 열린 전시에 참여했다. 2010년 브리티시 인스티튜션 어워드, 플래시 포워드-Emerging Photographers, 2008년 중앙미술대전 우수상 등을 수상했다. 이번 본전시에서는 김희라 작곡가와 함께 <제페트, 그 공중정원의 고래기름을 드립니다, 쉘 3(가제)>라는 설치·퍼포먼스 작업을 선보일 예정이다.
남화연(가운데)은 1979년생으로 코넬대와 한예종 전문사를 졸업했다. <Move: on the spot>(국립현대미술관, 2012), <드로잉을 위한 공간들>(하이트컬렉션, 2013) 등의 전시에 참여했고, 2009년에는 에르메스 미술상 후보에 올랐다. 이번 본전시에서는 17세기 네덜란드 황금 시대의 튤립포마니아(Tulipomania)를 바탕으로 제작한 <욕망의 식물학(The Botany of Desire)> 영상 작업을 선보일 예정이며 오는 4월 10일부터 아르코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한다.
임흥순은 1969년생으로 가천대(舊 경원대) 회화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광주비엔날레>(2002), <부산비엔날레>(2004), <미래는 지금이다-Future is now>(국립로마현대미술관, 2014), <역병의 해 일지>(아르코미술관, 2014) 등의 전시에 출품했다. 시네마디지털서울영화제 버터플라이상(2012), 성곡미술관 내일의 작가상(2014), 인천다큐멘터리리포트 ‘베스트트러프컷상’(2014)을 수상했다. 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 등에서 촬영한 <위로공단>이라는 영상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이번 <베니스비엔날레>는 5월 9일부터 11월 22일까지 진행되며 한국관 전시작가는 문경원 전준호(커미셔너 이숙경)가 선정된 바 있다.
황석권 수석기자

SIGHT & ISSUE Art|Basel Hong Kong|March|15-17|2015

〈아트바젤 홍콩〉의 변화와 한국미술의 붐

아시아 아트페어 시장은 <아트바젤홍콩(Art Basel Hong Kong)>과 각국의 토종 아트페어로 크게 나뉜다. 45년 역사의 <스위스 아트바젤>을 기반으로 한 <아트바젤 홍콩>은 6월에 열리는 스위스 바젤의 285개 화랑, 12월에 열리는 미국 마이애미의 267개 화랑과 강한 네트워크가 형성돼 있는 아트페어계의 실력자다. 한국의 <KIAF>, 싱가포르의 <Art Stage Singapore>, 대만의 <Art Taipei>, 중국의 <Art Beijing>, 일본의 <Art Fair Tokyo>, 인도의 <Art India> 등 아시아 각국을 대표하는 국제 아트페어와 격차는 크지만 경쟁상대다.
233개 화랑이 참가한 <아트바젤 홍콩 2015>는 마케팅과 홍보는 기본이고 스폰서팀과 VIP 및 고객 담당팀을 별도로 운영하는 경영 중심의 아트페어이다. 메인 전시인 <갤러리(Galleries)>, 큐레이팅 프로젝트 형식인 <인사이트(Insights)>, 신진 아티스트의 쇼케이스인 <디스커버리(Discoveries)>로 나누어 참가 화랑을 경쟁시키는 식으로 심사를 강화한다. 2015년의 참가 화랑수는 233개로 2014년 245개보다 12개 줄었다.
2014년 가을 아시아 디렉터를 교체한 이후 2015년 페어는 VIP 프리뷰를 금요일과 토요일 첫 이틀에 집중시켜 VIP 위주의 판매 전략을 폈고, 일반고객 공개기간은 하루 줄인 일요일부터 3일간 진행하는 것으로 바꿨다. VIP 오픈 첫날부터 판매경쟁이 치열했다. 화이트 큐브는 2시간 만에 2억3400만 홍콩달러(340억 원)에 달하는 매출을 올렸고, 뉴욕의 굿맨갤러리, 가고시안갤러리 등도 1~2시간 만에 수십억 원어치를 팔았다. 대만의 티나 켕 갤러리는 자오우키의 <1980년> 3부작을 국제 컬렉터에게 미화 3000만 달러(337억 원)에 판매했다.
<아트바젤>은 전략적으로 기관 관계자를 대거 초청한다. 개인과 기업의 개별 수요 외에 공적 수요자인 미술관과 기관의 대표, 이사, 큐레이터, 재단 및 후원자들을 초청해 작품을 구입하게 한다. 2014년 스위스 바젤에 70개 기관의 관계자들이 초청되었고, 미국 마이애미에는 160개, 그리고 이번 홍콩페어에도 삼성 리움미술관을 비롯한 26개 기관의 관계자를 초청했다.
한국 갤러리는 총 9개가 참가했다. 국제갤러리/티나킴갤러리, PKM갤러리, 아라리오갤러리, 학고재갤러리, 원앤제이갤러리, 갤러리 스케이프가 메인 전시 격인 <갤러리>에 참가했고, <인사이트>에 리안갤러리, 갤러리 인, 갤러리 EM이 참가했다. 갤러리 특별전인 <인카운터> 코너에서도 국제갤러리의 이우환, 아라리오갤러리의 탈루 L.N, 리안갤러리의 DZINE, 원앤제이갤러리의 김태윤의 전시가 열렸다. 국제갤러리의 이우환 박서보 하종현 이불, PKM갤러리의 윤형근 코디최, 학고재갤러리의 정상화 이우환 백남준 등 출품한 한국 대표작가와 단색화 작가의 작품이 좋은 판매실적을 올렸고, 아라리오갤러리의 강형구 회화작품과 리안갤러리의 김승주 조각작품은 높은 인기도 만큼 세일이 잘 되었다.
메인 아트페어 옆 위성 아트페어인 <아트 센트럴>은 한국의 갤러리 현대와 카이스갤러리가 참여해 현대의 단색화와 카이스갤러리의 전속작가 작품의 판매실적이 좋았다. 경매회사 소더비의 한국 단색화와 일본 구타이로 꾸민 <아시아 아방가르드전>은 프라이빗 세일로 빅히트를 기록했으며, 크리스티의 소규모 경매도 활발했다. 한국의 K옥션은 홍콩에서의 첫 단독경매를 실시해 56점 출품에 50점 낙찰로 89.3%의 높은 낙찰률을 보였고, 71억 원에 달하는 판매고를 올렸다. 단색화 21점이 모두 추정가를 뛰어넘으며 낙찰경쟁이 치열했다. 김환기의 추상화 작품이 수수료 포함 8억3302만 원에 팔렸고, 이우환과 쿠사마 야요이 등의 작품도 낙찰되었다.
홍콩 미술시장은 서비스 산업과 금융산업을 바탕으로 성장한 자본력, 영국적 관습과 문화의 영향, 백만장자와 억만장자들의 미술품 소비와 투자, 매일 열리는 쇼와 컨벤션에 참가하는 이동인구, 홍콩정부의 낮은 세금과 관세 정책, 그리고 영업과 금융의 자유로 인해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홍콩에서 처음으로 단색화를 중심으로 한국 미술 붐이 일기 시작했다. 대우 받기 시작한 우리 미술의 기반 다지기와 포스트 단색화 전략을 구상하는 철저한 준비가 요구된다.
홍콩=서진수 강남대 경제학과 교수, 미술시장연구소 소장

갤러리 인 부스의 김명범의 설치작품 〈무제〉 2014

갤러리 인 부스의 김명범의 설치작품 〈무제〉 2014

 

HOT ART SPACE

김주현 (1)

김주현 개인전
갤러리 시몬 3.12~5.15

이번 개인전 제목은 <나선연구>로 명명됐다. 익히 알려졌듯 작가는 치밀한 계획을 바탕으로 점 선 면을 마치 기하학적 연구의 결과물처럼 보여준다. 이에 관람객은 마치 우주 혹은 물리학적인 공간을 연상하게 된다. 또한 이번 전시에는 작가가 작품을 완성하기까지의 과정이 담긴 다양한 모형과 드로잉 등이 함께 전시돼 있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아르코 (2)

한반도 오감도
아르코미술관 3.12~5.10

<제14회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황금사자상 수상 한국관 귀국전>인 이 전시는 제목 그대로 당시의 전시를 재현했다. 100년에 걸친 남북의 건축적 현상과 진화 과정에 대한 연구결과를 담은 이 전시는 이상의 시 <오감도>에서 타이틀을 따왔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서울미술관 (1)

노벨로 피노티 개인전
서울미술관 2.28~5.17
1966년과 1984년 <베니스비엔날레> 이탈리아관을 수놓았던 작가의 첫 한국전시다. 대리석과 청동을 소재로 한 1960년대 이후부터 지금까지의 대표작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미술관 전관과 더불어 야외에도 작품을 설치, 산책하듯 그의 작업세계를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아라리오2인 (2)

1981년 5월 27일
아라리오뮤지엄 in Space 3.4

한국 실험미술의 태두 김구림과 시인이자 《공간》편집장을 지낸 조정권 2인이 펼치는 퍼포먼스.
타이틀에 적시된 날짜에 행해졌던 퍼포먼스를 재현한 것으로 아라리오뮤지엄이 들어선 舊 공간사옥 내 소극장의 재개관에 맞춰 열렸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이미크뇌벨 (2)

이미 크뇌벨 개인전
리안갤러리 서울 3.5~4.18

‘알루미늄 회화’라는 독특한 영역을 구축한 작가의 근작 7점을 선보이는 전시. 전후 독일 추상조각을 대표한다는 평가를 받는 그는 대담한 형태와 원색을 구사해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넘나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