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리뷰] 김성윤_athlete
contents 2014.2. review | 김성윤_athlete |
이제 첫 번째 시리즈 작업 <athele>를 선보인 김성윤은 젊은 작가군 중 보기 드문 아카데믹 화가의 유형을 보여준다. 고전주의풍 초상화를 보는 듯한 리얼한 표현은 자칫 자신만의 그리기 기법에 승부를 거는 작가라는 인상을 줄 수 있고, 초기 올림픽 선수들이라는 주제는 몇몇 작가에게 유행하는 ‘리스트를 채우기 위한’ 주제 선정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김성윤 작업이 흥미로운 지점은 그리기 기법과 주제 선정 배후에 분명하게 자리한 회화에 대한 고민의 깊이에 있다. 김성윤은 작업의 근간을 잡기 위해 회화의 가능성이라는 오래된 질문을 고민했다. 이 질문에는 한 작가의 작업의 맥락을 이뤄가는 동력에 관한 것과 회화의 장 전체와 관련된 비평적인 성격이 포함되어 있었다. 독창성에 비롯한 스타일의 확립에는 관심이 없어 보이는데, 미래의 작업의 가능성을 구속하는 폐쇄적인 회로가 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독창성이라는 테제를 ‘조합하기’라는 룰로 치환한 작가는 별개의 카테고리에 담겨 묻혀있는 사건들과 작풍을 소환해 조합하여 그릴 수 있는 확장된 회화의 세계를 연다. 이번 개인전에서 선보인 <athele>시리즈는 존 싱어 사전트라는 19세기 초상화 작가와 초기 올림픽 선수들이라는 두 가지 다른 계열의 사건을 취합해 구성한 장면들이다. 사전트는 새로운 회화를 실험하던 동시대 작가들과는 다르게 순전한 초상화 작가로만 남은 작가이다. 외부 코드들과의 무리 없는 조합을 위해 회화사에 부각되지 않은 익명의 기법을 선택한 작가는 사전트의 생애 시기와 초기 올림픽의 시기가 맞아떨어진다는 데 착안해 사라진 운동종목의 선수들을 그렸다. 모델 섭외와 의상 및 소품 제작, 촬영을 거쳐 얻은 사진을 보고 그리는 방식이 뒤따랐는데, 이는 충실하게 사전트답게 그리기 위한 과정이었다. 자기 자신을 사전트에 용해시킴으로써 그의 회화가 도달하는 곳은 과거의 사건들에 대한 새로운 기시감의 세계이자, 회화로 여는 가능성의 공간이다. 한편 사전트 식 기법과 초기 올림픽 선수라는 주제의 결합은 필연적이지 않아 보이는데, 바로 그 독립성에 의미가 있다. 이는 아카이브의 논리와도 유사하다. 푸코는 아카이브를 말해질 수 있는 것의 법칙, 말들의 출현을 지배하는 체계라고 정의하면서, 말들이 상이한 도식들로 그룹화되고, 복수적인 관계에 따라 서로를 구성하도록 기능한다고 했다. 김성윤은 그려질 수 있는 것들을 소환하는 조합의 시스템을 구축했고, 앞으로 서로 이질적으로 보이는 기법과 주제의 출현을 반기면서 다양한 시리즈를 구축해갈 것이다. 그가 앞으로 매 시리즈 작업을 통해 어떻게 이 조합의 물꼬를 터 나갈지, 아직은 두고 봐야 할 것이다. 이것이 김성윤의 다음 번 시리즈 작업을 기대하는 이유다. |
우아름・미술이 |
김성윤 <Skijoring, Jonathan Bennette>(사진 오른쪽) 캔버스에 유채 250×212cm 2013
<Cycle Polo, Kenneth Drenen>(사진 왼쪽) 캔버스에 유채 240×146cm 2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