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IPEI BIENNIAL 2023

잠식당하지 않을 작은 세상을 위해

WORLD REPORT | TAIPEI

타이베이비엔날레 2023이 열리는 타이베이시립미술관 Courtesy of Taipei Fine Arts Museum

2023년 11월 18일 타이베이비엔날레가 개막했다. 올해로 13번째를 맞은 타이베이비엔날레의 주제는 ‘작은 세상(Small World)’이다. 프레야 추(Freya Chou), 림 샤디드(Reem Shadid), 브라이언 쿠안 우드(Brian Kuan Wood) 3인이 큐레이팅한 이번 비엔날레는 50여 개국에서 58명의 작가가 참여했으며, 한국 작가로는 김범과 양유연이 참여했다. 타이베이 시립미술관(TFAM) 단일 전시관 지하1층부터 2층까지의 전층에서 이뤄지는 비엔날레는 장소를 확장하지 않고, 미술 밖 장르를 전시장으로 불러와 현대미술에서의 예술의 확장과 고민을 함께 담았다. ‘작은 세상’이라는 제목에 담긴, 팬데믹을 겪으며 깨달은 크지만 작고 작지만 큰 세계에 관한 예술의 목소리를 들어보자. 전시는 3월 24일까지.

잠식당하지 않을 작은 세상을 위해

정소영 | 본지기자

2019년 발생해 3년여간 창궐한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동시에 유례없는 공황과 공포를 경험했다. 한 지역에서 시작된 질병은 전 세계로 퍼져 엄청난 수의 사상자를 냈다. 크지만 작은 세계, 언제부터 시작됐는지 모를 슬로건 ‘지구촌 시대’를 몸소 경험한 시절이었다. 한편으론 나라별로 다른 통제와 대응방식에 혼돈스러웠고 다른 의미에서 나라별로 분절된 ‘작은 세상’을 경험하게 했다. 무엇보다 이번 전시 주제인 작은 세상은 팬데믹 이전에는 미처 깨닫지 못한, 더 큰 세계 속 인류가 살아가는 작은 세상을 의미한다. 전시 서문에는 비엔날레 주제이자 제목 <작은 세상>에 대해, 인도 북부 잘란다르 지역에서 공기오염으로 인해 보이지 않던 히말라야의 산등성이가 팬데믹 확산 방지를 위한 통제와 봉쇄 조치 후 드러나게 된 데서 착안했다고 설명한다. 온 세계가 멈추었을 때 비로소 원래의 자연이 보이는 아이러니는 강제적 멈춤으로 발견하게 된, 잊고 있었지만 존재했던 또 다른 세계였다. 이번 비엔날레는 그 양면의 세계를 예술로 표현한다.

미술관으로 들어온 음악
타이베이비엔날레 2023은 홍콩과 타이베이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큐레이터 프레야추와 레바논 베이루트 아트센터 관장 겸 큐레이터인 림 샤디드, 뉴욕을 베이스로 활동하는 『이 플럭스(e-flux)』저널 편집자이자 작가인 브라이언 우드의 공동기획으로 진행되었다. 다양한 국가와 배경을 가진 작가와 큐레이터의 만남은 비엔날레를 통해 예술 장르의 확장과 참여작가의 폭을 확대했으며, 동시대 사회에 대한 예술의 표현을 작품과 작품 간의 촘촘한 배치와 상호 연관성으로 보여준다. 이번 비엔날레가 이전과두드러지게 다른 점은 음악과 예술의 관계를 확장한 점이다. 비엔날레 전시공간 중 갤러리 일부를 음악실로 할애해 음악가와 작가, DJ를 초대하고 아티스트로서 그들의 이야기를 듣는 프로그램과 함께 공연이 진행된다. 음악과 예술의 관계를 표현한 음악실은 팔레스타인 건축가 엘리아스(Eliass)와 유세프(Yousef)가 설립한 AAU ANASTAS 스튜디오가 디자인을 맡았다. 일본과 미국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음악가이자 큐레이터 디제이 스니프(DJ sniff)는 2023년 12월 10일부터 16일까지 일주일간 음악실에서 영국 뉴캐슬 출신 마리암 레자이(Mariam Rezaei)와 캐나다 토론토 출신 슬로우피치사운드(SlowPitchSound), 대만 타이중 출신 DJ 렉스 첸(Rex Chen)과 함께 아티스트 토크콘서트를 진행했다. 기자가 참여한 15일 아티스트 토크에서는 각각의 턴테이블리스트가 즉흥적으로 쌓아 올리는 음과 기계적 실험, 신체적 테크닉으로 변주되는 기교를 통한 개인적 실험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수 있었다. ‘일렉트로 어쿠스틱’을 디제잉의 근본적인 특성으로 보는 턴테이블리스트는 다른 음악과 마찬가지로 악기를 대변하는 턴테이블에 디제잉의 신체적 특징과 연습 방식, 연주 방식의 변주를 통해 작곡하고 연주한다. 기존 클래식 음악의 맥락과 구별되는 점을 기계 악기로 설명하는 이들의 연주 방식은 기술시대에서의 예술과 흡사하다. 전통 방식에서 물질로서의 매체와 신체성, 작가의 창작이 결합해 탄생한 작품에서 아방가르드로서의 기술 그 자체로서의 창작과 창작방식에서의 신체성을 변화시킨 예술을 동시에 마주하게 한다. 음악실 밖 전시장에 설치된 디제이 스니프 설치 작품 <Transformer>와 니키타 게일 (Nikita Gale)의 <Private dancer>가 이를 잘 대변한다.

1988년의 플래시 포머(Flash Former)와 2002년 출시된RANE 엠파스(Empath) 디제잉 믹서를 개조한 <Transformer>는 그 자체로 음악과 비주얼 아트의 경계를 설명한다. 흡사 영화 <트랜스포머>의 범블비를 연상시키는 이 작품은 1974년 디제이로 활동한 그랜드마스터 플래시가 시도한 턴테이블리즘 기술 중 하나인 ‘트랜스포머 스크래치(Transformer Scratch)’ 디제잉 방식과 이름에서 착안했다. 믹스 플레이를 통한 비트 매칭으로 노래의 비트와 템포를 조절하는 기본적인 디제잉 방식에서 신체를 활용해 손톱으로 긁어내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크래치’ 기술은 입력한 버튼음을 피아노와 같이 빠른 연주를 통해 조합하는 컨트롤러를 활용한 디제잉 방식으로의 발전 시초라 할수 있다. 턴테이블리즘의 역사인 동시에 소음과 구별되는 소리의 미학을 구현한 ‘트랜스포머 스크래치’의 재현은 미술관에 설치 작품으로 놓임으로써 동시대에서 논의하는 기술과 신체, 전통매체와 신매체 간의 조화와 발전 양상을 디제잉의 역사를 통해 소환한다. 35년 전 만들어진 턴테이블 기계에 새겨져 있는 ‘Made in Taiwan’의 문구를 통해 새로운 음악과 미술의 만남을 희망하는 작품은 비엔날레 주제이자 제목인 ‘작은 세상’의 함몰이 아닌, 확장과 긍정을 표현한다. 바로 옆 니키타 게일의 작품 <Private dancer)는 또 다른 면에서 기술을 통한 세계의 확장을 표현한다.

무대 위 슈퍼스타의 핀 조명을 연상시키는 〈Private dancer)는 콘서트에서 느낄 수 있는 인간의 욕망과 노동, 산업 전반에 대한 개념에 의문을 제기한다. 분리된 전시 공간의 가운데에 놓인 극장용 조명트러스 더미를 중심으로, 1984년 가수 티나 터너(Tina Turner)가 발표한 <Private dancer>의 사운드트랙에 맞춰 조명이 춤추듯 무빙하는 무대에는 인간의 신체 형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무대와 조명, 음악의 빠른 전개로 극적인 효과를 주지만 인간의 흔적이 삭제된 작품은 한편으로 허무함을 나타낸다.

작은 세상
보는 것의 반대는 보지 않는 것이다. 이번 비엔날레는 보지 않는 능동태가 아닌 볼 수 없는 무지의 상태이자 수동형 인간의 태도를 작품을 통해 지적한다. 존재했지만 인식하지 않았기에 볼 수 없는 것. 인간의 선택적 시각은 많은 것에 적용된다.

아서 오(Arthur Ou)는 뉴욕을 기반으로 하는 대만 출신 예술가로 공학을 전공한 사진작가이다. 그의 <Viewfinder> (2020~)는 팬데믹 기간에 찍은 사진 시리즈로 이미지를 형성하게 하는 빛과 기계, 화학적 상호작용을 사진으로 표현한다. 망원경을 통해 보게 되는 원래의 빛과 시간을 초월한 시각정보에 대한 경이로움은 인간의 시각적 한계 너머 존재하는 생명체에 대한 많은 질문과 인간 본질에 대해 상기하게 한다. 작가의 어린 딸의 손끝에 얹어진 작은 운석 조각은 그 자체로 작은 세상이자 지구 너머 또 다른 행성의 더 큰 세상을 직·간접적으로 설명한다.

『초예술토머슨(Hyperart Thomasson)』 저자 아카세가와 겐페이(Genpei Akasegawa)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쓸모를 잃었으나 사라지지 못하고 존재하는 무용의 장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토머슨’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그가 생전 기록한 사진 작품 4만여 점 중 미발표된 사진의 일부가 이번 비엔날레에 처음 소개됐다. 토머슨은 한때 미국 메이저리그 선수였던 개리 토머슨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일본 리그로 이적 후 성적 저조로 더이상 촉망받지 못하는 선수가 되어버린 그의 사연을 이름으로 복기한다. 그리고 관심에서 사라져 없어질 운명에 대해 고찰하고 사진으로 기록하며, 실질적 가치보다는 이해관계 속에서 배제된 쓸모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박미나와 Sasa[44] 〈라이프 세이버〉(사진 가운데) 벽에 접착식 비닐 300×260cm 2014(2023)

니키타 게일 〈PRIVATE DANCER〉 조명 트러스, LED 조명 가변 설치 2020 Courtesy of the Artist and Taipei Fine Arts Museum

Music Room 프로그램 〈ex-DJ〉 타이베이비엔날레 2023 전경 Image courtesy of Taipei Fine Arts Museum

아카세가와 겐페이의 토머슨 〈Untitled〉 시리즈 타이베이비엔날레 2023 전시 전경 2023 사진: 정소영

이번 비엔날레 큐레이터 중 한 명인 프레야추는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가장 인상 깊은 작품 중 하나이자 비엔날레 주제를 잘 설명하는 작품으로 나딤 아바스(Nadim Abbas)의 <Pilgrim in the Microworld>를 꼽았다. 3명의 큐레이터로부터 대만의 지리적, 정치적 특수성이 반영된 작품을 제작해달라는 바람을 들은 나딤은 대만의 글로벌 반도체 기업 TSMC를 둘러싼 중국과 미국 간 갈등과 무역거래의 특수성을 발견하고 TSMC의 마이크로 칩을 작업으로 옮겼다. 대만 국민들은 TSMC를 단순한 기업이 아닌 ‘호국신산(山)’이라 여기며, 한때 국영 기업이자 지금은 민영기업인 TSMC의 행보 자체를 국가의 경제를 부흥하는 행위로 여긴다. 이런 TSMC 본사를 직접 방문한 작가는 반도체 생산과정에서의 경험을 조형작업과 퍼포먼스에 반영했다. 작품 규모에 변화를 시도하는 작가의 기존 방향성과도 일치하는 작품 <Pilgrim in the Microworld>는 현대 일상에서 나노 칩의 역할을 대형 조형물로 치환한다. 2층과 연결된 계단을 통해 1층 전체 작품을 조망할 때 비로소 보이는 칩의 온전한 형태는 ‘작은 세상’ 곧 ‘나노칩’의 제한 없는 발전 가능성을 시각적으로 펼쳐 보인다.

나딤의 작품 바로 옆 벽면에는 폴 비릴리오(Paul Virilio)의 <Bunker Archaeology>가 관람객을 맞는다. 폴비릴리오는 기술과 전쟁이 현대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철학자다. 그가 발행한 『벙커 고고학(Bunker Archaeology)』(1975)에 수록된 1958~1965년 촬영 벙커 사진중 27점을 이번 비엔날레에 전시했다. 비릴리오는 나치가 세우고 전쟁 후 버려진 벙커에서 우주선을 연상시키는 기하학적 건축 형태와 함께 전쟁이라는 폭력성에 반대되는 보호의 역할을 하는 존재의 이중성을 발견했다. 전쟁이 끝나고 존재 이유가 사라지자 우범지대로 변한 현상을 통해 벙커를 둘러싼 역사와 정치, 갈등을 설명한다. 비엔날레 측은 이런 비릴리오의 사진을 철과 흙으로 제작된 담벽의 형태를 한 나딤의 작품과 병치함으로써 전시가 말하고자 하는 하나의 목소리 ‘작은세상’의 파멸적 형태와 범우주적 형태의 확장성을 표현했다.

비엔날레를 둘러싼 대만 예술
트라우마, 신체와 자연, 문명을 포괄하는 다양한 주제 아래 소그룹간의 대화를 시도한 이번 비엔날레에 관해 타이베이 타임스는 “20년간 서유럽 스타 큐레이터의 전시회에서 대만식 미술작품처럼 느껴지는 비엔날레”라 평가했다. 그동안 중국의 베이징이나 상하이, 홍콩과 같은 대형 도시에 가려진 대만의 예술신 기자가 직접 이 기회에 돌아봤다.

위 《작은 세상》 타이베이비엔날레 2023 전시 전경 사진: 정소영
아래 나딤 아바스 〈Pilgrim in the Microworld〉(부분) 모래 구조와 혼합 미디어, 강판, 염색 물감 가변 크기 2023
Courtesy of the Artist and Taipei Fine Arts Museum

폴 비빌리오 〈Bunker Archaeology〉 잉크젯 프린트 가변 크기 1958~1965
Courtesy of Sophie Virilio and Taipei Fine Arts Museum

TKG+
타이베이비엔날레 2023에도 참여한 작가 천칭위안(Chen Ching-Yuan)이 속한 갤러리이자 전시공간 TKG+ Project를 운영하고 있는 대만의 대표 갤러리 TKG+는 전신인 티나 켕 갤러리(Tina Keng Gallery)의 대표 티나 켕의 딸인 셸리우(Shelly Wu)가 2009년 설립한 2세대 갤러리이자 전시공간이다. 동남아시아 전역의 다양한 매체와 작가를 소개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는 TKG+와 TKG+ Project에서는 각 공간에서 3명의 아티스트의 개인전을 진행했다.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TKG+ 1층에서는 저우위정(Chou Yu-Cheng)의 전시 <Paper Folding>가 진행됐다. 타이베이 예술상 2012년 수상자이기도 한 저우위정은 다양한 매체와 장소를 활용한 작업을 진행해 왔다. 하지만 팬데믹으로 통제된 시간 속에서 그는 최근 몇 년간 그라데이션 페인팅을 통해 다양한 색의 기술을 실험했다. 이번 전시 작품 역시 그 실험의 일환으로 외부의 시선을 내부로 집중한 미니멀리즘 미학과 종이 자체의 불안정하고 훼손되기 쉬운 특징을 활용해 물감의 기술적 실험과 작가의 내적 심상을 작품으로 표현했다. TKG+ 지하1층에서는 우젠젠(Jam Wu)의 전시 <Shadow Puppeteer> 가 진행되었다. 손전등으로 비추는 그림자 연극이 상영되는 전시장은 각각의 스크린을 통해 그림자 연극이 연결되고 분절되며 연극의 장막을 통해 인간의 신체성을 부각시킨다. 별도의 계단으로 이동하는 2층에는 TKG+ Project 전시 공간이 있다. TKG의 후원으로 운영되는 전시공간은 실험적인 예술을 펼치는 공간으로 이번에는 인도 뭄바이 출신 아몰 K. 파틸(Amol K. Patil)의 <Lines Between the City>를 소개했다. 개념적 퍼포먼스와 비디오 설치 아티스트인 파틸은 뭄바이의 도시화로 인한 자연환경 문제, 문화적 전통과 정치, 종교와 같은 사회와 일상적 환경의 연결성을 작품으로 표현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전시장을 가로지르는 긴 선의 설치물로 공간을 분리해 인도의 계급과 노동조건에 대한 장벽을 표현했다.

Traserhill Artist Village
사원이 자리잡은 곳에 위치한 ‘예술마을(Traserhill Artist Village)’은 타이베이 정부가 도시계획에서 보호하기 위해 지정한 작가 레지던시 마을이다. 산과 물줄기를 따라 지어진 1960~1970년대 무허가 건축물을 철거할 때 환경운동가와 예술가들이 보존운동을 벌여 지켜낸 예술가 마을은 공모를 통해 선발된 전 세계 작가들이 모이는 창작 레지던시 공간이자 식당과 갤러리가 존재하는 작은 마을이다. 비엔날레 기간인 2023년 12월 2일부터 27일까지 예술가 마을 곳곳의 갤러리와 레지던시 공간에서는 작은 행성에서의 거대한 자연과 인간의 존재관계를 작가의 시선으로 재정립하고 탐구하는 전시 <우리와 자연사이自然之間)》가 진행됐다. 전시에는 레지던시 입주작가인 필리핀의 제트 일라간(Jett Ilagan), 폴란드의 마르신 리체크(Marcin Ryczek), 일본의 아다치 아유미, 나카모토 히로후미, 스기하라 노부유키, 나카무라 아야카, 홍콩의 애비 얀-이리(Abby Yan-Yee Lee)가 참여했다.

애비 얀 – 이리는 다른 도시 간 일상의 유사점과 체계를 관찰한다. 이번 전시에도 레지던시 참여를 통해 느낀 대만과 홍콩의 유사성, 작가가 타 지역을 여행하면서 느낀 지역사회의 유사성을 회화를 통해 풀어냈다.

노부유키와 아야카는 예술가 마을 레지던시에서 아프리카의 대왕달팽이를 발견하게 된 경험을 작품으로 표현했다. 서식지가 아닌 곳에서 활동하게 된 대왕달팽이의 껍데기를 수집해 조형으로 만든 작품은 타이베이 예술가 마을의 물을 따라 흐르는 역사와 함께 다른 나라와의 연결성을 작품으로 표현했다. 지금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프레야추는 팬데믹 이후 예술의 방향성에 대한 질문에 “이번 비엔날레가 어떤 대답이나 명확한 해설을 전하려고 한 것은 아니다. 다만 이번 비엔날레는 현상에 대한 예술의 반영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각자의 방식대로 현상을 파악하고, 새로운 방향성 또는 이미 존재했던 방식에 대한 재고와 확인이 사회와의 관계에 반영되기를 지향한다.”고 전했다. 이미 우리는 팬데믹을 통해 기존에 완벽하리라 믿었던 방식에 대한 허점과 불완전성을 확인했다. 그리고 사회와 환경, 인간과 인간관계, 기술 발전을 통한 미래와 그 너머 또 다른 세계로 인식과 시각을 확장하게 됐다. 이번 타이베이비엔날레와 대만 아트신은 일관되게 팬데믹을 계기로 변화된 세상의 새로움이 아닌, 이미 우리 주변과 내면에 존재했지만 깨닫지 못했거나 외면했던 환경과 사회에 관해 예술을 통해 각성해야 한다고 말한다. 현상에 대한 이해와 판단은 개인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이러한 예술을 통한 각성이야말로 또 다른 팬데믹 또는 전쟁과 같은 삶의 변수에 잠식당하지 않고 지금의 작은 세상을 온전히 지켜낼 수 있는 예술의 순기능이 아닐까.

우겐젠 <Shadow Puppeteer>  TKG+ 전시 전경 2023
사진: ANPIS FOTO Courtesy of TKG+

저우위정 〈Origami #39〉(사진 가운데) 종이에 아크릴릭 위에 린넨 220×200×4cm <Paper Foldin> TKG+ 전시 전경 2023
사진: Moooten Studio Courtesy of TKG+

예술가 마을 전경 2023

애비 얀-이 리 <Seeing on Workday and Bank Holiday>  Frontier Gallery 전시 전경 2023 사진: 정소영

© (주)월간미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