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7월 제318호

특별기획 064

세계제일 한국문화유산
어제 없는 오늘은 있을 수 없다. 과거를 보면 미래가 보인다. 이런 의미에서 ‘전통’과 ‘한국적’이란
테마는 문화예술계의 오랜 숙제이다 화두이다. 우리 민족문화유산의 우수성과 독창성 그리고
정체성을 제대로 알고 그 가치를 북돋우는 일, 그것은 우리의 미래를 밝히는 일일 것이다.
《월간미술》은 지난해 6월부터 10월까지 5회에 걸쳐 ‘세계제일 한국미술문화 20’이라는 제목의
연재기사를 선보인 바 있다. 그 기사는 우리 전통 미술문화의 우수성을 재조명하는 기회였다.
이번에는 한국의 자연유산과 문화유산을 아우르는 국가유산을 소개한다. ‘세계제일 한국의
문화유산’이란 제목처럼 이번 기획은 특정 유물을 집중 소개하는 방식의 한국미 탐구가 아니다.
자연환경과 정신(사상)을 포함한 유․무형의 문화유산 사례를 통해서 우리 민족의 문화적 긍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분야 최고 권위자에게 자문을 구해서 최종 6개 분야를 선정했다. 이번
특집기획이 우리 자연․문화유산의 우수성과 독창성을 다시 한번 되새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한국의 세계제일 국가유산_안휘준
세계가 인정한 무형문화유산, 국악_박소현
자연명승과 역사문화명승_김학범
창덕궁 후원에 담긴 유교적 이상세계_김도경
종합예술적 가치를 지닌 조선왕릉_장경희
역사의 타임캡슐_신병주
하늘 땅 그리고 인간의 과학_박성래

작가
작가리뷰
함진·극소(極小) 조각의 폭과 높이_강수미 128
박승모·흰 그림자, 환(幻)의 조각_김종길 134
이상남·회화적 설치의 가능성_이수균 140

해외미술
해외 리포트 제54회 베니스비엔날레
자기반성의 기로에 선 베니스비엔날레_신보슬 122
월드토픽<글렌 라이건展>
읽기와 보기, 그리고 쓰시_서상숙 122

전시
화제의 전시 〈이것이 미국미술이다-휘트니미술관展〉
풍요로운 이상을 꿈꾸는 미국적 풍경_김진아 146
전시리뷰 154
데페이즈망·이기칠·김기수·정서영·공시네·한국의 그림
전시프리뷰 162

학술·자료
컬럼
한국 미술관 관장의 현주소와 문제점_윤범모 046
작업의 비밀 2
유현미·경계를 넘나드는 아티스트_이슬비 050

인물·정보·기타
영문요약 028
에디토리얼 045

핫피플
박병선_이슬비 048

현장
2011 태화강 국제설치미술제_이슬비 052
아트저널 170
모니터 광장 181
독자선물 182
편집후기 184

2011년 6월 제317호

특별기획 074

뮤지엄28 베스트컬렉션
오늘도 다빈치의 〈모나리자〉를 보려는 관람객 행렬이 루브르 전시장 복도에 길게 늘어져 있다.
관람객은 오랜 시간 기다림에 지치면서도 “〈모나리자〉가 루브르고 루브르가 〈모나리자〉” 라고
말한다. 이처럼 미술관의 소장품은 그 미술관을 설명하되, 그 미술관의 정체성을 드러낸다. 또한
작품을 소장한 미술관은 그것에 대한 독보적이고 배타적인 권리를 가지면서 관리의 책임도 져야
한다. 공개된 통계에 잡힌 한국의 국공립미술관 및 사립미술관 소장품은 국공립 35여 개 관의
20000여 점, 사립 100여 개 관 95000여 점에 달한다. 결코 적지 않은 이러한 외형적 규모에도 우리
미술관의 소장품문화는 결코 후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월간미술》 의 이번 특집의 고민은 바로
이 지점에서 출발한다. 우선 우리 나라 미술관의 소장정책에 대한 철학과 원칙을 국내외 현황과
비교해 살펴보고, 그 원칙 수립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화보를 통해 우리 미술관이 소장한
대표 컬렉션을 소개한다. 아직 우리 나라에서는 활발하지 못한 또 하나의 소장방법인 기증과 기탁
문제도 들여다보았다. 이와 더불어 현장의 목소리를 통해 소장품 관리 실태와 문제점, 개선 방향도
생각해본다. 자! 이제 우리 미술관의 수장고가 여러분에게 열린다.

작가
작가리뷰
황인기·디지털 감성으로 표출된 전통의 사유 _ 오세원 120
강애란·가상체험을 통한 깊은 성찰 _ 장민한 124
김승영·새로운 바벨 _ 이은주 128
최수앙·소리없는 비명 또는 인간의 조건 _ 김노암 132
정종해·바람같이 허허롭고 풀같이 순한 필묵 _ 강관식 136
마주보기 12 이환권 & 천성명
즐거운 조각 행복한 인생 _ 이준희 170

해외미술
해외 리포트 윌리엄 켄트리지
나는 세상 모두를 치유하고 싶다 _ 안희경 126

전시
전시초점 〈근대 일본이 본 서양展〉
서양문물이 근대 일본화법에 끼친 변화 _ 이중희 146
화제의 전시 〈Space Study展〉
공간에 대한 해석의 다양성 _ 김성원 146
전시리뷰 152
정재철·김학제·최원준·백승우·홍유영
정주영·be mobile in immobility·권오상
전시프리뷰 162

학술·자료
작가의 취향 2
정연두·엘비스 프레슬리는 내 가슴에 _ 이강진 054

인물·정보·기타
영문요약 028
에디토리얼 049

핫피플
조세현 _ 이슬비 050
아이작 줄리언 _ 이슬비 052

현장
〈클리오 박스展〉 _ 이강진 056
〈대구미술관 개관展〉 _ 이준희 058
〈테라코타, 그 원시적 미래展〉 _ 임창섭 060
포토에세이 176
아트저널 178
모니터 광장 189
독자선물 190
편집후기 192

2011년 5월 제316호

특별기획 090

포토샵으로 세상을 그리다
기억하는가. 2008년 5월호 《월간미술》 특집 제목은 ‘사진, 현대미술의 리더가 되다’였다. 당시 기사는
카메라 셔터 스피드만큼이나 빠르게 변하는 현대 사진예술의 현황을 진단했었다. 3년이 지난 지금,
사진예술의 변모과정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속도 또한 조금도 늦춰지지 않았다. 그렇다면 그
변화는 어디를 향하는가? 누구도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다. 다만 ‘포토샵’이 그 변화과정에 중요한
방향타 구실을 하고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1990년 미국 어도비사(社)에서 처음 출시한 그래픽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인 ‘포토샵’은 버전 업을 계속하며 이미지 편집을 뜻하는 고유명사로
자리매김했다. 사진가뿐 아니라 화가와 조각가 등 순수미술분야 작가에게도 포토샵은 이미지를
자유자재로 요리하는 요술방망이로 여겨진다. 또한 포토샵을 활용하는 이들 작가의 또 다른 공통점은
작품의 결과물이 디지털 프린트 방식으로 출력된다는 점이다. 이처럼 포토샵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맞물려 시각이미지 창작환경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 이에 《월간미술》은 포토샵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새로운 이미지를 생산하는 동시대 작가의 다양한 모습을 소개한다.

작가
스페셜 작가
코디 최․문화의 접점에서 나타나는 모방 또는 창조 _ 이선영 116
작가리뷰
유휴열․상생하는 전통과 모더니즘 _ 조은정 136
정수진․사물과 회화를 보는 시선의 차이_ 정연심 140

해외미술
해외 리포트 아네트 메사제
그녀의 발랄한 상상이 주는 따끔한 진실 _ 안희경 126

전시
전시초점 〈눈을 속이다展〉
디지털 시대의 회화적 재현 _ 서성록 144
전시리뷰 160
Featuring Cinema․도윤희․고산금․추상하라․Type : wall
성낙희․인터뷰․이득영
전시프리뷰 152

학술․자료
작가의 취향 1
구본창․전방위 이미지채집가 _ 이강진 066
작업의 비밀 1
고명근․꿈의 건축물을 만드는 작가 _ 이슬비 068
팝아트와 서브컬쳐 2
1960년대 미국서부 팝아트에 등장하는 폭주족 문화 _ 고동연 170
아트, 아트를 초대하다 6
탈(脫)신화적 조형언어 _ 송효섭 176

인물․정보․기타
영문요약 028
에디토리얼 065

현장
옌스 호프만․창조자로서의 큐레이터 _ 이슬비 070
2011창원아시아미술제
〈셀프카메라:근대적 자아 자리 바꿔보기展〉 _ 황석권 072
〈월트 디즈니 특별展〉 _ 공주형 074

아트저널 178
모니터 광장 189
독자선물 190
편집후기 192

2011년 4월 제315호

특별기획070

시각문화로 보는 한국 근현대사
가까운 과거는 현재와 맞닿아 있다. 따라서 모더니티의 해석이란 과거를 의미있게 현대화하는
작업이라 하겠다. 지난 과거를 입체적으로 조망하는 것, 그것은 역사를 거울로 삼아 오늘의 모습을
살피는 것이며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일이다.
20세기 한국의 역사를 시각문화를 통해 되집어보는 전시가 열리고 있다. 3월 17일부터 6월 5일까지
삼성미술관 Leeum에서 열리는 <코리안 랩소디-역사와 기억의 몽타주전>이 그것이다. 이 전시의
특성은 연대기적인 연출을 지양하고 몽타주 방법론에 따라 이미지를 병치하거나 대립적으로 구성한
데있다. 이는 비교와 충돌, 동일성과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역사를 ‘개념’이 아난 하나의 ‘이지미’로
읽어내기 위한 시도로 해석된다. 《월간미술》은 이번 전시를 계기로 20세기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각이미지로 살펴보는 기획을 마련했다. 전시 출품작을 중심으로 꾸민 화보와 한국 근현대의
시대정신과 사각문화의 변천을 다양한 시각에서 재해석한 텍스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근대인의
표상으로 각인된 시인 이상과 무용가 최승희, 한국 최초의 행위미술 작가로 발굴된 강국진의 삶과
예술을 조망하고, 마지막으로 ‘기억’과 ‘사진’을 키워드로 삼아 근대와 역사의 의미를 흥미롭게
해석한 글을 소개한다.

작가
작가리뷰
김영원ㆍ인체조각을 넘어 ‘조각의 현존’을
향해 나아간 실험_김원방 104
오경환ㆍ평생 별을 그린 ‘우주확’_윤범모 108
이헌정ㆍ열린 소통의 공간을 빚어내려는
연금술사의 실험_하선규112
이상선ㆍ숙명의 벽아래서 자유를 그리다_이진명 116
이상국ㆍ대상에 대한 깊은 통찰과 투쟁_윤진섭 120
민병헌ㆍ삶의 환경을 사진언어로_박주석 124
김하영ㆍ세상을 향햐 착한 펀치를 날리다_임근혜 128

전시
전시리뷰 138
서용선ㆍ윤명로ㆍ임승천ㆍ이선민ㆍText/Video/Female
이재삼ㆍ헨켈 이노아트 프로젝트ㆍ금혜원
전시프리뷰 148

학술ㆍ자료
한국의 미
조선 후기 회화의 새로운 발견_박은순 132
논단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렸던 2010년 중국미술시장_자오 리 156
팝아트와 서브컬쳐1
영국의 인디펜던트 그룹다 1950년대 공상과학 영화 팬덤_고동연 162

인물ㆍ정보ㆍ기타
영문요약 028
에디토리얼 053
현장
다쓰오 미야지마

아트저널169
모니터 광장 181
독자선물 182
편집후기 184

2011년 3월 제314호

특별기획070

기업과 예술의 아름다운 랑데뷰
최근 감성경영․창조경영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문화예술은 기업의 지원대상에 그치지 않고 기업과
서로 상생관계를 이루는 파트너로서 그 관계가 변화하고 있다. 경기침체임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이 꾸준히 늘고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작년부터 한국메세나협회에서도 기업과
예술단체의 1기업 1예술단체의 결연을 통해 기업에게는 창조적인 문화, 예술단체는 안정된
창작활동을 보장받는 파트너십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각 기업들은 미술분야에 있어서 예술상과
레지던스지원, 전시기획 및 전시후원을 통해 메세나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에 《월간미술》은
미술분야에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적극적인 지원을 꾸준히 늘려온 기업들을 소개한다. 더불어 사옥
내 마련한 전시공간을 통해 미술지원활동을 새롭게 시작하는 기업들의 활동사항을 살펴본다.

작가
마주보기11 서은애&홍인숙
표면보다 깊은 그림의 메시지 _ 이준희 148
작가리뷰
문성식․기억으로 포착한 풍경의 초상 _ 이은주 098
문봉선․매화되기, 매화는 어떻게 격(格)일 수 있는가 _ 고충환 102

전시
전시와 테마 〈나는 미래다展〉
성적주의 조각을 위한 처방전 _ 김종길 140
전시리뷰 124
손정은․안창홍․이교준 장승택․가짜전시․여상희
눈 위에 핀 꽃
전시프리뷰132

해외미술
월드 리포트 〈조지 콘도展〉
냉정하고 직설적인 인간 내면의 초상화 _ 서상숙 106
〈카르스텐 횔러展〉
미술, 유희의 도구인가? 실험이 목적인가? _ 신원정 112
월드토픽 〈Direct Art展〉
기성 사회에 대한 저항의 몸부림 _ 박진아 118

학술.자료
전설이 되어버린 전시9
〈0.10:최후의 미래주의 회화展〉&〈제1회 러시아미술展〉
대중의 취향에 따귀를 때려라 _ 윤희경 156

인물.정보.기타
영문요약 028
에디토리얼 057

핫피플
울리 지그 _ 이슬비 058

현장
H BOX _ 이슬비 060

아트저널 164
모니터 광장 173
독자선물 174
편집후기 176

2011년 2월 제313호

특별기획

일본망가, 칸칸이 숨은 의미를 찾아라
일본의 대표적인 팝아티스트로 평가받는 무라카미 다카시는 최근 프랑스 문화의 상징이자 자존심인
베르사유 궁의 문을 열어졎혔다. 전시 개막식 때 만난 무라카미 다카시는 “당신과 베르사유궁의 첫
만남은?”이라는 《월간미술》의 질문에 “<베르사유의 장미>, 나의 십대시절, 일본열도를 뒤흔들어
놓았던 만화책이다. 아마 일본인의 20%이상은 이 만화를 통해 네르사유를 받아들일 것이다”라고
말했다. 우리에겐 이른바 ‘하위문화’ 내지 ‘어린이 오락’으로 치부되던 만화. 이웃 일본에서는 좀
다른가보다. 한 작가의 시각을 넓혔고, 인생을 바꾸었다. 현재 서울 아트선재센터에서는 일본만화의
현재를 조망하는 전시<망가:일본만화의 새로운 표현>(2010.12.4~2.13)이 열리고 있다. 이를 계기로
《월간미술》은 일본만화 특집을 내보낸다. 우선 일본만화 생태계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가깝지만
정말 너무나 먼 일본만화의 표현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것이 세계와 어떻게 조우했는지
살펴보는 원고를 싣는다. 또한 최근 세워진 만화도서관을 소개하고, 일본만화를 한국에 소개하는
첨병 역할을 하는 전문서점 점장도 만나봤다. 아트선재센터 전시를 기획한 이들의 기획으도가 담긴
생생한 목소리도 빼놓지 않았다. 《월간미술》이 일본만화를 소개하는 첫 특별기획이다. 지면 칸칸이
흐흐는 일본만화의 현재 모습이 독자 여러분께 전해지길 바란다.

작가
작가리뷰
구자현·절제된 감흥이 흐르는 공간 _ 김영호 120
박화영·쿠바로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_ 전승보 126

전시
전시초점 〈SeMA 2010展〉
장편(掌篇)의 이미지 목록 _ 강수미 132
전시리뷰138
이종목·권정호·나현·권부문
김용관·강현욱·1970∼80년대 한국의 역사적 개념미술-팔방미인
전시프리뷰 146

해외미술
월드 리포트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내가 바뀌어야, 세상이 내게서 이로움을 얻는다 _ 안희경106

학술·자료
논단
민족미술사학 비판과 전환의 모색 _ 최열 040
한국의 미
영원한 꾀보의 힘찬 도약 _ 천진기 156

인물ㆍ정보ㆍ기타
영문요약 028
에디토리얼 039
핫피플
제54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출품작가 이용백 & 커미셔너 윤재갑 044
현장
30년 전부터 겨울을 기다렸던 사람들 _ 황석권 058
마을이 미술을 만났을 때 _ 서성록 060
디지털 시대, 소셜 미디어가 만드는 예술의 공론장 _ 서진석 ·류병학 066

포토에세이 50 _ 김동욱 162
아트저널 164
모니터 광장 173
독자선물 174
편집후기 176

2011년 1월 제312호

특별기획 062

2011년 지금, 세계미술의 현장
2010년 말부터 2011년 초에 이르기까지 대규모 기획전 및 주요 작가 회고전이 해외 주요 전시공간에서
개최된다. 미술관과 기관이 야심차게 준비해온 주요 기획전과 프로젝트가 연말과 연초에 걸친 이 시기에 대거
공개되기 마련이다. 《월간미술》은 영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미국, 일본, 중국에서 개막한 핵심적인
전시와 프로젝트의 현장을 전한다. 각국에서 개최되는 전시를 살펴보고, 전시 기획자의 인터뷰를 일부 소개한
다. 또한 명망있는 미술관 관장과 비엔날레 총감독에게 각국의 2010년 미술계 분위기와 주요 전시, 비엔날레
에 대한 평가와 2011년에 대한 전망, 그리고 한국 작가들에 대한 평가 등을 들어본다.

작가
작가리뷰

김인숙·관찰자의 시선으로 현대사회를 응시하다 _ 손영실 128
김희자·진동하는 날것들 _ 조은정 132
마주보기 10
김봄 & 박영길 _ 이준희 136
성우제의 뉴욕의 이방인 9
추상으로 포착한 미국 혼합 문화의 현실 _ 성우제 158

전시
화제의 전시
〈폴 샬레프展〉·흙, 그 고귀한 침묵의 세계 _ 이재언 120
〈MR.展〉·일본의 사회적 본질을 그린다 _ 이경민 124
전시초점 〈크리스천 마클레이展〉
시각과 청각을 아우르는 예술 _ 박영욱 114
전시리뷰 144
made in POPLAND·김덕기·곽훈·박현수
김태헌·표영실·김들내·박진아
전시프리뷰 152

해외미술
월드 리포트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존재의 흔적으로 부재를 설명하다 _ 안희경 106

학술·자료
전설이 되어버린 전시 8 〈포스트 휴먼展〉
새로운 인체예술의 최전선 _ 고동연 162
논단 2010 비엔날레 리뷰
비엔날레는 무엇을 말했고, 어떤 질문을 받는가 _ 유진상 170

인물·정보·기타
영문요약 028
에디토리얼 047
현장
2010년 미술시장 결산: 회복과 미술시장의 재편 _ 서진수 048

포토에세이 49 _ 김동욱 176
아트저널 178
모니터 광장 189
독자선물 190
편집후기 192

2010년 12월 제311호

특별기획 088

미술, 영화의 한계에 도전하다
최근 들어 미술을 전공한 작가들이 본격적으로 메가폰을 들기 시작했다. 이들의 작업은 이전의
영상작업보다 훨씬 영화에 가까워졌으며, 심지어 영화로 인정받아 영화제에 출품되기도 한다.
이처럼 동시대 작가들이 영화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이들은 영상 매체에 익숙한
세대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영화적 언어에 매혹되었다고 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쉽게 단정 짓기에는 뭔가 부족한 점이 있다. 오늘날 작가들은 단순히 영화의 가능성에 매혹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영화적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고, 자신의 작업에서 영화적 요소를 적극적
으로 혹은 대안적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예술가가 연출할 수 있는 좀 더 넓은
의미의 시각언어에 대한 관심이다. 이번 기획은 영화를 바라보는 작가들의 다양한 시선을
포착하고, 영화의 한계에 도전하는 미술의 확장된 지평에 주목하고자 한다.

작가
스페셜 아티스트
최재은·숲은 언제부터 여기에 있었는가 _ 유진상 118
작가리뷰
이길우·구멍들, 그리고 이중 이미지와 다중적인 의미 _ 고충환 136
윤정선·고요한 산책자의 시선 _ 박영택 142
최인수·시간의 과정을 기억하는 조각 _ 김정락 148

전시
화제의 전시
〈육태진展〉
육태진에 대한 살아있는 자들의 대화 _ 김원방 허구영 154
전시초점
〈토마스 스트루스: 한국 2007∼2010展〉
테크놀로지와 욕망, 권력구조에 대한 시선 _ 이경민 162
전시리뷰 170
한국드로잉 30년: 1970∼2000·윤주경·윤병락·함명수·장환
차소림·이은실·김동욱·김건주·리버풀-서울 도시교환
전시프리뷰 180

해외미술
월드 리포트 〈무라카미 다카시展〉
17세기 베르시유궁에 21세기 몽환의 꽃이 피다 _ 안희경 126

인물·정보·기타
영문요약 028
에디토리얼 061

현장
데일 치훌리·유리조각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_ 이강진 072
〈개빈 터크展〉 나는 작가이면서 관객이다 _ 이강진 074
〈강명희展〉 聖俗一如, 사찰과 추상회화가 맺은 인연 _ 이준희 076
〈조각난 풍경展〉 조각난 풍경 맞추기 _ 이슬비 078
2010 신생 전시공간 17 _ 이강진 080

포토에세이 48 _ 김동욱 188
아트저널 190
모니터 광장 205
독자선물 206
편집후기 208

2010년 11월 제310호

특별기획 102

700년만의 해후, 고려불화
고려불화는 우리나라 고미술을 대표하는 뛰어난 문화유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그 진가와 가치를 잘 모르는 게 사실이다. 현존하는 작품 수가 불과 160여 점 밖에 되지 않는 이유도
있지만 그나마 국내 소장은 10여 점 남짓이고 대부분 타국에 남아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고려불화에 대한 연구실적도 미비한 편이다.
이런 가운데 고려불화의 찬란한 아름다움을 직접 목격하고 감상할 수 있는 귀한 전시가 열리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용산으로 이전 개관한 5주년을 기념해 마련한 특별전 〈고려불화대전〉(10.12∼
11.21)이 그것이다. ‘700년만의 해후’. 이 땅을 떠나 뿔뿔이 흩어져 있던 고려불화가 한자리에 모
였다. 그동안 접하기 힘들었던 외국 소장처의 고려불화를 한데 모은 이 전시는 앞으로 두 번 다시 보
기 힘든 전시가 될지도 모른다.
이번 기회에 《월간미술》은 고려불화에 대한 관심을 되새기자는 의미에서 특집기사를 마련했다. 고
려불화의 대표작을 화보로 소개하면서 그림 속에 담긴 의미와 표현양식을 살펴본다. 더불어 고려불
화가 국내에 남아있지 않게 된 이유와 그 문제점도 짚어본다.

작가
작가리뷰
김태호·이미지에서 ‘몸’으로 _ 윤진섭 166
박윤영·박윤영의 파란 장미 프로젝트 _ 류한승 170
마주보기 9 심정리&심정은
바른생활 자매의 모범예술 _ 이준희 192
성우제의 뉴욕의 이방인 8 황은정
현실적인, 너무나 현실적인 꿈의 세계 198

전시
전시초점 〈2010 대구사진비엔날레〉
대구사진비엔날레를 되돌아보다 _ 이수균 132
전시리뷰 174
배형경·장영혜중공업·고낙범·김소라·조성묵
방병상·백지희·삼각지미술 예찬·성유진
전시프리뷰 184

해외미술
월드 리포트
〈헤링본 착유실展〉 미술공간의 대안적 모델을 찾아가는 베를린 _ 신원정 142
〈타이베이비엔날레 2010〉 TB10: 비엔날레에 대한 질문들 _ 유진상 150
〈박은선展〉 열린 공간을 향한 무한 이중주 _ 알베르토 피즈 158

학술·자료
논단
아우름과 배후시론 – 정창섭의 ‘물아합일’ 해제 _ 김복영 202

인물·정보·기타
영문요약 028
에디토리얼 079
현장
〈행복한 그릇展〉 기명절지로 본 한국 현대미술의 현장 _ 고충환 092
〈강진 Celadon Art Project 2010〉 강진 청자, 현대미술을 만나다 _ 황석권 094
〈사라 모리스展〉 표면은 단지 표면에 그치지 않는다 _ 이경민 096
〈데이비드 린치展〉 데이비드 린치 인 한남동 _ 이강진 100

아트저널 208
모니터 광장 221
독자선물 222
편집후기 224

2010년 10월 제309호

특별기획 084

코리아 비엔날레 트라이앵글+α
2010년 대한민국의 가을은 대규모 미술축제와 함께 찾아왔다. 서울을 비롯해 영호남을 대표하는
도시 광주와 부산에서 앞 다투어 비엔날레가 개막한 것이다. 이뿐 아니다. 수도권 인천과 안양에서
도 특색 있는 미술행사가 열리고 있다. 아시아를 대표하는 비엔날레로 입지를 굳힌〈2010 광주비엔
날레〉와 바다의 도시 부산에서 열리는〈2010 부산비엔날레〉그리고 새로운 밀레니엄의 시작을 계
기로출범해 미디어아트 전문 미술제로 차별화와 특성화를 확립한〈미디어 시티 서울 2010〉은 이
른바비엔날레 트라이앵글을 이루고 있다. 또한 올해로 세 번째인〈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는 지역
공공예술 사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고 있는
〈인천국제디지털아트페스티벌 2010〉은 디지털 환경에서 진화하고 있는 21세기 미술의 미래를 보
여준다. 《월간미술》은 각 도시의 비엔날레 현장을 발로 뛰며 현지 취재했다. 생생한 화보와 심층
있는 분석기사를 통해 비엔날레의 이모저모를 소개한다.

테마기획
세계 제일 한국 미술문화 20 194

작가
작가리뷰
이일호·조각의 길을 묻다 _ 박영택 162

전시
전시와 테마 〈100년 전의 기억, 대한제국展〉
대한제국기 황실 초상 _ 권행가 186
전시리뷰 168
배영환·마르코스 노박·김세중·강홍구·진기종
임동식·문혜자·민재영·정동석·김성연
전시프리뷰 178

해외미술
월드 리포트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0〉
국제미술이벤트, 그 미학적 강박관념들 _ 이용우 154

인물·정보·기타
영문요약 028
에디토리얼 065
현장
제15회 월간미술대상 수상자 발표 066
〈Off the Wall展〉 건축도자로 재탄생한 현대미술 _ 이강진 082
포토에세이 47 _ 윤정미 208

아트저널 210
모니터 광장 221
독자선물 222
편집후기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