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의 직조

신세계 본점 THE HERITAGE 5F 하우스오브신세계 헤리티지
9.26~11.30

 Editors’ Picks

벼는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한국인의 삶과 문화를 지탱해 온 근본이었다. 쌀은 밥이 되고 떡과 술이 되어 일상을 채웠고, 볏짚은 지붕을 덮고 살림살이를 이루며 공동체를 지탱했다. 이번 전시는 ‘벼’가 이어온 문화적 층위를 다시 불러낸다. 쌀과 짚이 남긴 삶의 기억에서 출발해 장인과 작가의 손길로 이어지는 제작의 과정, 한 해의 풍요를 나누는 선물의 장으로 구성된다. 협동조합 느린손과 명장 김준환, 짚공예가 황정화는 사라져가던 짚풀 공예를 오늘의 생활과 감각 속에 되살린다. 김태연과 이준아, 316LAB은 비닐 쌀 포대나 봉제 없는 니트 구조, 실험적 소재를 통해 ‘직조’라는 행위를 동시대 언어로 확장한다. 칠량옹기(정윤석·정영균)는 지역 가마의 전통을 오늘의 공간 속으로 끌어오고, 김정옥의 분청도자는 흙과 불의 시간성을 쌀과 짚의 세계와 나란히 놓는다.

쌀을 다시 바라보는 일은 한국적 삶을 지탱해 온 직조 방식을 재발견하는 일이다. 이번 전시는 먹거리와 재료를 넘어, 삶을 엮어 온 방식 자체를 예술의 언어로 되묻는다.

© (주)월간미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