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획] Artist in Residence
Guillaume Clermont 귀욤 클레몽
같은 모티프, 다른 장소
금천예술공장 레지던시에 참여하게 된 계기가 궁금하다 여자친구가 작년에 서울의 한 레지던시에 참여했다. 그녀가 이미 한국 사람들을 알았기 때문에 나도 함께 4월 25일부터 열리는 그룹전에 참여하게 되었고 또 금천 레지던시에 지원하게 되었다. 또한 3개월이라는 기간도 매력적이었다. 더 짧은 경우는 그곳에서 삶의 시행착오를 겪다가 끝나는 경우가 많다. 나는 그동안 캐나다,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등의 레지던시에 참여했다. 어떤 작업을 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레지던시는 작업 지원을 받고 다른 나라에서 새로운 예술적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전혀 새로운 언어권으로 왔다. 언어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데 생활이 어렵지 않은가 그점에 매력을 느끼기도 한다. 프랑스계 캐나다인인 내가 독일에 갔을 때 독일어를 한마디도 못했지만 알파벳이 같기 때문에 아주 기초적인 것은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모스크바에 갔을 때, 그리고 이곳(한국)에 왔을 때 내가 읽을 수 있는 것은 오직 숫자와 몇몇 간판의 영단어뿐이다. 내 작업은 같은 작업이 상황과 지역의 배경에 따라 어떻게 해석되고 분석되느냐에 중심을 두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에서의 작업이 더욱 기대되고 흥미롭다. 비록 서구화가 전 세계에 퍼져있다고 하더라도 서구적인 방식이 나라마다 다르게 흡수되고 반영되어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그 차이에 내 작업의 중심이 있다.
이동하는 장소에 따라 작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내 생각에 사고 전개방식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체류하는 국가가 바뀐다고 해도 사물을 바라보는 시각은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의 작업에 새로운 환경은 직접적인 변화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분명 영향을 미친다. 그것이 10년 뒤에 나타나든지 내가 한국을 떠나 다른 국가에 갔을 때 나타나든간에 영감은 갑자기 떠오르게 마련이다.
작업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마르세유의 도서관에서 루브르박물관에 소장된 16세기 네덜란드 해골 그림을 보게 되었다. 그 그림은 나를 사로잡았다. 나는 동일한 크기의 캔버스에 그 해골을 그리고 조금씩 변형을 가한다. 위에 색을 덧칠하거나, 바탕을 다르게 만든다. 회화 작업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후 이 작품을 내가 작업한 나라의 길거리 어딘가에 버린다. 잘 그린 그림을 갤러리에, 못그린 그림을 길거리에 버리는 방식이 아니라 똑같은 완성도의 그림을 길거리에 버리는 것이다. 이를 발견한 사람들은 나의 그림을 사진으로 찍기도 하는데 나는 그것을 인터넷을 통해 수집한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 작업이 완성된다. 결국 나의 작업은 내가 이동하는 지역 곳곳에 위치하게 된다. 서울에서도 같은 작업을 할 계획이다. ●
바요타귀욤 클레몽(왼쪽)은 1983년 캐나다 몬트리올 출생이다. 캐나다 퀘벡 라발대에서 학부를 졸업하고 몬트리올 UQAM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미술잡지 《E IL TOPO》의 에디터로도 활동하고 있다. www.guillaumeclermont.org
Hanna Hildebrand 한나 힐데브란트
지역주민과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레지던스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계기가 궁금하다 이전에 덴마크, 독일 등지의 레지던시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내 작업은 상대방과의 상호작용, 여러 사람과의 콜라보레이션에 입각한 분석과 기록의 과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 레지던스 프로그램은 이러한 작업을 하는 작가에게 좋은 기회이고 새로운 거주지는 작업에 최적의 장소이다. 주변의 다양한 작업을 하는 작가들, 지역사회와 주민들과의 자연스러운 협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금천 레지던시는 한국에 관심이 있는 독일인 친구의 소개로 지원하게 되었다. 물론 이전부터 독일에서 학교를 다니며 주변의 한국인 학생, 작가들을 알고 지내왔기에 한국이 낯설지는 않다.
여러 국가를 돌아다니며 작업을 했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가 학교를 졸업한 이후 끊임없이 거주지를 옮기며 노마딕한 삶을 살고 있다. 새로운 환경을 향한 갈망과 이주는 나뿐 아니라 현대미술작가들에게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성향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내 작업의 기반은 탐험이자 탐구이다. 전혀 다른 환경은 창작에 활기를 불어넣고 인간에 대해 새로운 고찰을 하는 시작점이 된다. 내가 속해있던 문화와는 거리가 먼 생활 방식, 사고방식을 가진 사회에 대한 조사가 내 작업의 기본이기에 지속적인 이동은 작업의 필수적이다.
환경이 바뀔 때마다 작업의 방향이 변하는 편인가 난 작업 방식을 반복하지 않는다. 내가 유일하게 반복하는 방식이 있다면 끊임없이 새로운 방식으로 작업을 하는 것이다. 이것이 내가 계속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이유일 수도 있다. 그러나 많은 작업은 참여미술의 형태를 띤다. 내가 조정한 틀 안에서 관람객 혹은 작업 참여자들이 퍼포먼스를 하는 셈이다. 이러한 참여자의 기여는 내 작품의 실질적인 구성요소가 된다. 관람자는 나의 예술적 행위에 대해 분명하게 인식 못하겠지만 난 작가로서 다양한 태도와 변수들 사이에서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서울에서 하려는 예정된 작업이 있는가 서울에 온 지 얼마 안 되었지만 이미 몇몇 여성을 만났다. 나는 상대방의 경험과 일상적인 삶을 나눈다. 이 지역 주민들을 만나 특정 오브제를 두고 서로 그 물체에 대해 의견을 나눌 생각이다. 물론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지만 인터뷰를 진행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언어가 통하지 않아도 오브제를 사이에 두고 타인과 소통하고 느낌을 공유할 수 있다. 시각적 관계를 맺기를 취하려 한다. 나는 언어를 넘어서는 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이 있다. ●
한나 힐데브란트(가운데)는 1978년 이탈리아 코도에서 태어났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슈타델슐레에서 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7회의 개인전을 열었고 세르비아 멕시코 미국 등 세계 각국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Baj ta 바요타
이주와 이동의 역사
한국의 인상과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지원동기가 궁금하다 친구 중 하나가 난지스튜디오에 참여했다. 그 친구의 추천으로 지원하게 되었다. 이국적인 지역으로 가서 작업해보고 싶은 마음이 늘 있었다. 유럽이나 미국은 나에게 이국적이라는 느낌을 주지 않는다.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은 매우 다르게 느껴져 방문해 보고 싶었다. 헝가리에 비해 한국은 굉장히 큰 나라다. 수치적으로 서울의 인구가 헝가리 전체 인구의 약 2배이며 경제적으로도 훨씬 발전했다. 서울에 오니 그 규모가 그대로 느껴졌다.
당신의 작업에 대한 소개를 부탁한다 난 루마니아의 트란실베니아 사람이다. 내 프로젝트의 시작은 트란실베니아의 전통적인 쥐덫에서 찾을 수 있다. 아주 단순한 구조로 못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나무로 만든 격자구조의 형태인데 자연스러운 연결과 먹이를 탐할 때 움직여 쥐를 잡는 이러한 전통방식은 나로 하여금 움직임에 대해 생각해보게 했다. 유럽 사람들의 삶은 이주와 이동의 역사다. 현대에 와서 이동은 훨씬 보편적인 행위이다. 한국 역시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특히 많은 트란실베니아인들은 역사적으로 헝가리 및 다른 국가로 이동했다. 요즘은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동을 주제로 작업하고 있지만 정작 작품이 무거워 운반이 쉽지 않을 것 같다 무거운 설치 위주로 작업하다보니 막상 작품의 운반이 어려웠다. 그래서 좀 더 기술적이고 실용적인 작업으로작품 이동이 편리하도록 시도한 적도 있었다. 팝업북처럼 접었다가 펼 치면 작업이 보이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예술이 꼭 이동해야만 하는가에 대한 고민도 한다. 이곳(금천예술공장)에서 하는 작업도 크기문제로 일정 정도 두고 떠나야 할 것이다. 이 또한 내 실질적인 작업의 일부이고 고민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 있는 동안 계획한 작업이 있는가 작업을 할 때 플라스틱같은 비자연스러운 재료를 피하려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자연 재료인 나무를 주로 사용한다. 한국의 전통적인 재료를 찾아 사용해보고 싶다. 지금 생각으로는 대나무로 작업을 해보고 싶다. 소나무는 헝가리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는 소재이기 때문에 대나무가 나에게는 더 지역성이 강하다. ●
바요타(오른쪽)는 1982년 루마니아에서 태어났다. 루마니아 티미쇼아라 아카데미, 헝가리 부다페스트 헝가리안 아카데미에서 파인아트를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헝가리, 슬로바키아 등에서 15회의 개인전을 열었다. www.bajota.com
Adam Thompson 아담 톰슨
최적의 창작환경
한국에 오게 된 계기가 궁금하다 처음 서울을 방문한 건 2007년 런던의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수학한 한국인 친구가 기획한 그룹전에 참여하기 위해서였다. 이듬해 한 독일갤러리가 KIAF에 참여하면서 나의 작품을 소개했는데 한국에 나를 알리는 좋은 기회였다. 서울의 여러 레지던시에 지원 하였고 운좋게도 2011년 창동 창작 스튜디오, 2012년에는 금천예술공장 레지던시에 참여할 수 있었다.
참여했던 레지던시에서 어떤 후원을 받았는가 창동창작스튜디오는 작업실, 각종 생활편의시설과 일정정도의 생활비를 지원했다. 항공권의 경우 개인적으로 유네스코 장학금을 받아 해결했다. 금천예술공장은 비슷한 금전적 지원과 더불어 지역 커뮤니티와 함께 작업할 기회를 제공했다. 결국 두 곳 모두 원하는 가능한 대부분의 것을 충족시켜 주었다. 유럽에서도 몇몇 레지던시에 참여한 적이 있지만 다른 소관이므로 한국의 방식과 비교하기는 힘들다.
국경이 무너졌다고 하지만 외국에서 작업하려면 여전히 힘든 점이 있을 것 같다 예술가는 어느 때보다 더 노마딕한 삶을 살 수 있다. 비자문제가 걸림돌이 될 수 있지만 이는 비단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그리고 나의 경우는 다른 기관을 통해 지원을 받아 아시아와 유럽을 규칙적으로 오갈 수 있다.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 작가들에게 다양한 기회가 있다. 그 후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런던과 한국을 오가며 전시하고 교육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한국에서 활동하면서 한국의 미술기관이나 작가들과 어떤 경로로 관계를 맺는가 한국의 친구들 대부분은 런던에서 공부한 작가여서 국제 미술계 정보를 함께 공유하곤 했다. 서울에서 작업했지만 한국의 갤러리와 일을 해보거나 전시를 한 적은 거의 없다. 개인적으로 한국은 작업하기에 최적의 장소인 건 맞지만 꼭 전시를 해야만 한다는 부담감은 갖지 않으려 한다.
한국에 체류 후 작업에 직·간접적으로 변한 점이 있는가 한국에 체류하면서 내 작업의 과정은 변하지 않았지만 다루는 재료/자료(materials)와 이를 교감하고 소통하는 방법에서는 변화를 자아냈다. 나는 한국에서 수많은 재료/자료를 취합하여 작업이 다소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유럽으로 돌아와 리서치 작업을 한다. ●
Romy Achituv 로미 아키투브
비자갱신을 위한 무의미한 여행
한국에 오게 된 계기와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찾은 경로가 궁금하다 처음 한국을 방문한 것은 2000년 미디어 시티 서울에 참여하기 위해서였다. 그 후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이화여대의 뉴미디어 과목 방문교수로, 2009년부터 2013년까지는 홍익대의 WCU 리서치 교수로 머물렀다. 내 계약기간 만료일이 다가옴에 따라 적당한 스튜디오와 거주방법을 찾다가 이곳 학생들과 동료, 친구들을 통해 레지던시를 알게 되었다.
한국에서 계속 작업하고 싶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내년에 열리는 전시에 초대를 받았다. 이 전시에서 내가 하고자 하는 작업은 규모가 커서 지역적으로 제작을 요한다. 내 작업의 매체와 장비는 배로 운반하기 어려워 한국에 더 머무르게 되었다. 이러한 기회와 내가 가진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서 한국에 적어도 1년은 더 머물 생각이다. 그렇지만 레지던시 기간이 끝나고 스튜디오와 거주방법을 찾지 못하면 떠나야만 한다.
경계가 허물어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이동과 거주의 제약이 따르는 것 같다당신의 경우는 어떠한가 대학의 계약이 끝나고 레지던시가 만료되자 나는 3개월 관광비자를 갱신하기 위해서 한국을 떠나야만 했다. 지금은 7월을 시작으로 2개의 레지던시에 연속해서 참여하게 되어 한국에 8개월간 머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불필요한 비용을 지불해가며 3개월에 한 번씩 비자를 갱신하기 위해 해외에 다녀와야 하는 것은 여전하기에 화가 나는 부분이다.
예술가의 비자 및 거주 문제의 개선방법은 무엇이 있겠는가 우선 본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한국에서 비자연장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거주를 연장하는 선택권을 주는 것이 매우 유효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 종합적인 해결책은 좀 더 긴 기간 동안 지속하여 거주하는 것을 허락하는 예술가를 위한 비자를 따로 만드는 것이다. 또 한 가지는 레지던시 프로그램이 국내 예술가들에게 제공하는 것과 동등하게 외국인 예술가에게도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장기 레지던시 기회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해외작가로 활동하면서 미술관 갤러리 등 한국 미술 기관들로부터 차별적 시선이나 불편한 점을 느낀 경험이 있는가 외국인으로서 느낀 차별은 없었다. 다만 많은 한국 동료작가가 경험하듯 나 또한 예술가에 대한 이중잣대를 느꼈다. 이는 세계적인 미술계 현상과 크게 다르지 않은 점이다. 한국 미술계 내부의 기관들도 그들이 필요할 때만 예술가와 관계를 맺으려고 하고 얻을 것이 없으면 무시하는 사례를 봤다. 일반적으로 미술계에서는 어떠한 관용도 느끼기 어려운데 한국도 여기서 자유로울 수 없는 것 같다. ●
[section_title][/section_title]
금천예술공장 국제교류 프로그램
예술가와 기획인력, 민간영역의 국제화 통로
1990년대 후반 광주시립미술관의 ‘팔각정창작스튜디오’(1995)와 ‘쌈지스튜디오’(1998)를 필두로 한국에도 레지던시 스튜디오가 발흥하기 시작했다. 이후 2000년대 후반 중앙정부와 광역시도 문화재단을 중심으로 이른바 ‘2세대 레지던시’가 설립돼 국공립 레지던시 스튜디오가 20여 개에 달하고 지속 확장세에 있다. 여기서 서울문화재단이 운영하는 11개 창작공간 중 금천예술공장은 설립단계부터 ‘국제 레지던시 스튜디오’를 표방하며 출발하였다.
2009년 출범한 서울시 창작공간사업의 좌표에서 ‘국제교류’의 미션을 부여받은 금천예술공장은 해외교류사업 원년인 2010년 이후 5년차에 이르렀다. 올해부터 에이팩스아트(Apexart, 뉴욕), 거트루드 컨템포러리(Gertrude Contemporary, 멜버른), ISCP(International Studio&Curatorial Program, 뉴욕), 관두미술관(Kuandu Museum of Arts, 타이베이) 등 해외기관과 1:1 예술가교환 프로그램을 시행 중이다. 참여작가는 1개월에서 3개월간 해당 해외기관에 거주하며 창작활동 혹은 창작과 일부러 거리를 두고 설계된 도시 체험 프로그램을 경험하게 된다.
교류 2년차인 2011년부터 이 프로그램은 작가교환-거주 및 체류비 지원의 기초적 교류방식을 넘어 당해의 특정주제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작가를 각 기관에서 선발하여 금천예술공장의 국내 작가들과 3개월간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왔다.
각 기관에서 선발된 예술가들은 매해 11월 금천예술공장에서 기획하는 <커뮤니티&리서치 프로젝트>를 위해 서울에서 벌어지는 사회적 이슈 또는 미학적 소재를 현장 ‘리포터’의 핍진(乏盡)함 또는 ‘액티비스트(activist)’의 태도로 작업해왔다.
국제교류사업에 넓게는 입주예술가 국제공모, 국제심포지엄까지 포함된다. 이들 해외예술가와 전문가의 유입을 통해 동일 공간에 함께 작업하는 국내예술가를 국제화하고 해당 센터가 입지한 지역을 국제화하며, 기획인력을 국제화하고 무엇보다도 레지던시 스튜디오로 우수 예술가 유입을 견인한다. 문화예술계 국제교류사업은 국제동향에 무척 예민한데, 근래 스페인의 경제난으로 3년간 교류 중이던 마드리드의 앙가(Hangar)는 재정난으로 교류가 단절되었으며, 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요코하마에 위치한 ‘BankArt1929’는 지원자가 한명도 없는 사태를 맞이한 바 있다. 남북관계가 경색되는 시점엔 국제공모로 선발된 해외예술가들이 입국을 꺼리는 경우도 발생한다.
대부분 4인 전후의 기획행정인력을 보유한 영세한 창작스튜디오에서 국제업무는 ‘인력의 국제화’라는 긍정적 측면의 한편으로 국가별로 조금씩 다른 해외비자 발급 문제의 해결, 단기 여행비자를 통해 입국하는 예술가들에게 경제활동이 불허되는 데 따른 창작지원비 등의 어려움을 실무자에게 안겨준다. 그러나 해외예술가의 초청과 장기체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바, 국제 레지던시 스튜디오를 통해 유입된 해외예술가들이 국내 사립미술관과 대안공간 전시에 참여하면서 ‘초청 및 체류비용’의 부담 없이 국제 프로젝트를 가능케 하는 인프라를 현재의 창작스튜디오가 제공하고 있다.
김희영ㆍ 금천예술공장 총괄매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