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Feature] 삼성미술관 Leeum 개관 10주년

교감

Beyond and Between

交感

올해는 삼성미술관 Leeum(이하 리움)이 개관한 지 10주년 되는 해다. 2004년 10월 13일 공식 개관하면서 대중에게 얼굴을 선보인 리움의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습은 어떠할까? 개관 당시 리움은 세계적인 건축가 3명이 참여해 각기 다른 특색을 지닌 미술관 건축으로 먼저 이목을 끌었다. 또한 당시 아시아 국가에서는 처음으로 서울에서 열린 ‘제20회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총회’ 기간 CIMAM(ICOM의 현대미술분과위원회) 총회가 리움에서 열리면서 전 세계 박물관·미술관 관계자의 주목을 받았다. 이후 수준 높은 고미술과 현대미술을 아우르는 소장품을 기반으로 한 상설전과 기획전시를 지속적으로 선보였다. 이처럼 리움은 개관 이후 현재까지 명실공히 한국을 대표하는 사립미술관으로서 그 명성과 권위를 굳건히 지켜왔다.
리움의 시원은 1965년 삼성문화재단 창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삼성문화재단은 1982년 경기도 용인에 호암미술관을 건립해 삼성그룹 창업자 호암 이병철 회장이 30년 넘게 수집해 온 한국미술품을 정리했고, 이후 서울 서소문에 호암갤러리와 로댕갤러리(현 플라토)를 운영하면서 국내외 미술품 전시를 끊임없이 개최해왔다. 이와 같이 국보급 고미술품과 세계적 수준의 근현대미술이 총망라된 삼성문화재단의 컬렉션이 2004년부터 한남동 리움에서 한데 모여 오늘에 이른 것이다.
리움 개관 10주년을 기념하는 <교감(交感, Beyond and Between)전>이 8월 19일부터
12월 21일까지 리움 전관에서 열리고 있다. 이를 계기로 《월간미술》은 리움 10주년의 의미와 미래를 조망하는 특집 기사를 마련했다. 먼저 이번호에서는 리움 전관에서 펼쳐지는 <교감전>을 집중 조명한다. 과거와 현재, 동양과 서양, 그리고 장르를 넘나들며 관객과 소통을 시도하는 <교감전>의 이모저모를 살펴본다.
사진・박홍순 조영하

시대교감 – Beyond time – 時代交感

“고미술 전시실 Museum1은 장르적인 특성과 시대를 반영한 4층 청자, 3층 백자・분청사기, 2층 고서화, 1층 불교 및 금속공예의 현재 구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현대미술과 교감할 수 있는 적절한 지점을 찾는다.”

DF2B4100

고려시대 청자가 전시된 4층 비디오실에서 작가 김수자의 영상작품 시리즈 <대지, 물, 불, 공기>(2009~2010> 중에서 <대지의 공기>가 상영된다.

DF2B4098

<청자양각운룡문매병> 고려 12세기 고려청자(보물 제1385호)와 고려의 비색을 소재로 한 바이런 김(Byron Kim)의 회화작품 <고려청자 유약 #1, #2> (캔버스에 유채 213×152.4cm(각) 1995~1996)이 함께 전시됐다.

_MG_2809

이수경 <달의 이면> 도자파편, 에폭시, 스테인리스 스틸, 동분, 금분, 24K 금박 135×135×135cm 2014
오른쪽 뒤에 <백자 달항아리>(국보 제309호)가 보인다. 이수경은 함경도 회령지역에서 만들어진 흑자와 옹기 파편을 이어 붙여 이 작품을 제작했다.

_MG_2963

겸재 정선의 걸작 <금강전도>(왼쪽)와 <인왕제색도>를 같은 공간에서 나란히 볼 수 있는 기회는 이번이 최초다. 세로 79.2cm
가로 138.2cm인 <인왕제색도>는 국보 제216호, 세로 130.7cm 가로 94.1cm 크기의 <금강전도>는 국보 제217호로 지정되어 있다.

DF2B4115

작가 서도호의 조각 <우리나라>가 함께 전시되어 있는 2층 고서화실 전시광경. 오른쪽에 보물 제1394호로 지정된 작자미상의 <경기감영도 12곡병> (135.8×442.2cm 조선 19세기)이 보인다

_MG_2938

작가 서도호의 부조작품 <우리나라> 청동 137×194.3×8cm 2014는 한반도 지도 형태 위에 서 있는 수많은 인물상을 통해 역사 속에 명멸한 개인의 존재와 정체성을 표현했다.

 

동서교감 – Beyond Space – 東西交感

“한국 근현대미술부터 동시대 세계 미술을 전시하고 있는 현대미술 상설실은 ‘동서교감’을 큰 틀로 하여 현대미술의 표현적 경향의 흐름, 예술의 근원적 요소에대한 탐구, 최근 확장적이고 혼성적인 미술의 특성을 담는 세 개의 전시로 구성된다.”

_MG_3269

이불 <심연> 폴리우레탄 주물, 아크릴 릭, 거울, 쌍방향 거울, 유리, LED 조명, 목재, 에나멜 페인트 370×360×330cm 2014

DF2B4158

왼쪽부터 윤형근 <청다> 캔버스에 유채 259×182cm 1976, 김환기 <하늘과 땅 24-IX-73 #320> 캔버스에 유채 263.5×2.6.5cm 1973, 하종현 <접합 75-1> 캔버스에 유채 1975

DF2B4154

왼쪽에 이응노 <인간> 한지에 먹 265×182cm 1988과 오른쪽에 알베르트 자코메티의 조각 <거대한 여인 Ⅲ> 청동 235×29.5×54cm 1960이 보인다

_MG_3305

바닥에 설치된 로니 혼 <열 개의 액체 사건>(표면 가공하지 않은 유리 주물 2010)과 벽에 걸린 아그네스 마틴 <무제#9> 캔버스에 아크릴, 연필 183×183cm 1980

DF2B4156

아래·루이즈 부르주아 <밀실 XI(초상)>(왼쪽)(177.8×109.2×109.2cm 2000)과 세실리 브라운 <무제> 캔버스에 유채 246.4×195.6cm 2012

DF2B4181

데미안 허스트 <피할 수 없는 진실> 유리, 강철, 비둘기, 해골, 포름알데히드 용액 222×176×74cm 2005
작가는 기독교에서 성령을 상징하는 흰 비둘기와 죽음을 의미하는 해골을 영구적인 보존을 가능케 하는 방부액 속에 설치함으로써, 종교나 과학이 결코 인간에게 영원한 생명을 약속하지 못함을 역설적으로 강조하며, 그것이 바로 피할 수 없는 진실임을 이야기하고 있다

관객교감 – Beyond Art and People – 觀客交感

“예술에서의 관람객의 역할은 점점 더 커져서 이제 예술 작품을 담는 그릇인 미술관의 중심은 사람이며 사람과의 소통이
무엇보다 우선하는 가치가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획전시실은 두 개의 상설전시실의 주제, 즉 시대와 지역을 초월한
교감을 포괄하면서, 관객의 능동적 참여가 중요시되는 작품들로 구성했다.”

리움_Panorama2

아이웨이웨이 <나무> 2009~2010 중국 남부지방에서 수집한 고목을 절단하고 재조합한 이 작품은 중국 역사의 비극적 이면을 은유함과 동시에 예술과 인류의 영속성을 상징한다.

DF2B4227
이세경 <카페트 위의 머리카락> 2014
리움 로비에서 기획전시실로 이어지는 경사면 바닥 전체를 뒤덮은 카페트에 수놓아진 문양은 머리카락을 강력 접착제로 붙여서 만든 것이다. 때론 불결하고 불쾌하게 보일 수 있는 머리카락을 의도적으로 점잖은 미술관 공간 속으로 끌어 들인 작가는 예술과 삶의 의미에 질문을 던진다.

_MG_3208

에르네스토 네토 <심비오인테스튜브타임-향기는 향꽃의 자궁집에서 피어난다> 합판, 폴리아미드 망, 강황, 정향, 커민, 프리아미드 천, 발포고무 2010

DF2B4226

오른쪽·재닛 카디프 & 조지 뷰어스 밀러 <F# 단조 실험> 2013
관람객이 72개의 스피커가 설치된 테이블에 가까이 다가가 주변을 거닐면 신비로운 선율이 흘러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