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TIC 배윤환 서식지
3.1~29 두산갤러리 서울
유은순 | 미학
두산갤러리에서 열린 배윤환의 다섯 번째 개인전 〈서식지〉는 작가 자신이 처한 다양한 현실적 상황과 내적이고 외적인 갈등, 창작에 대한 고민 등을 주제로 한 드로잉, 회화, 영상작업을 선보인 전시였다. ‘서식지’는 특정 생물이 살아가는 생태적, 환경적 조건을 뜻한다. ‘주거지’가 집을 짓고 터를 다듬어 인간이 살기 좋은 상태로 환경을 적극적으로 바꾼다는 함의를 가지는 반면, ‘서식지’는 계절, 날씨, 천재지변 등 환경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적응하려 한다는 의미가 강하다.
배윤환의 ‘작업하기’ 방식이 이와 비슷하다. 작가는 그때그때 작업실 환경에 맞춰 작품의 스케일이나 재료를 달리하고, 주어진 전시 환경에 따라 작품을 다르게 연출한다. 이와 동시에 언제나 서식지의 환경을 극복하며 살아가는 생물처럼 작품으로서의 이미지와 상상으로서의 이야기, 작가노트 등의 불일치에서 불거지는 글과 이미지의 갈등, 현실에 안주하고자 하는 마음과 현실과 타협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충돌에서 끊임없는 (작품 제작의) 에너지를 만들어내고 있다.
작가에게 글과 이미지의 불화는 언제나 주요한 작품 동기가 되었다. 〈그리즐리 서식지〉와 〈퓨마 서식지〉에는 각각 그들의 서식지임을 나타내는 팻말이 있지만 내팽개쳐 있고 각각에는 그리즐리가 없으며 퓨마가 없다. 대신 각각에는 퓨마가 있고 관광객이 있다. 퓨마에겐 글 자체가 이미지일 뿐이고 관광객에게 그곳은 단지 관광지(라고 착각한 서식지)일 뿐이다. 작품은 작품 제목(글)과 이미지 자체로 불일치를 보여주며 작품 내부의 상황으로도 글과 이미지의 불일치를 보여준다.
현실에 안주하고자 하는 마음과 현실과 타협하지 않겠다는 의지에 관한 작품은 〈부리게임〉, 〈뿔과 붓〉 등 캔버스 회화이다. 작가는 과거 〈내가 본 게 고양이야?〉(2014)에서 캔버스 천 한 롤에 자유 연상되는 이미지를 채워 넣는 열정을 보여줬지만, 이번엔 재단된 캔버스에 정제된 에너지를 붓는다. 요컨대 캔버스에 안착된 서식지는 내용 측면과 형식 측면에서 서로 갈등 중인 셈이다.
이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애니메이션 작업 〈자화상〉(2017)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박제사, 박제된 동물, 의뢰인은 모두 작가 자신의 변형이다. 미술가로서 작가(박제사)는 끊임없이 자신(의뢰인)과 대화하며, 이를 중간 종결인 작품(박제동물)으로 남기고, 충분할 수도 불충분할 수도 있는 메시지(박제사는 박제동물에 의뢰인의 이야기를 담는 재주가 있지만, 박제동물에 담긴 이야기는 동물로부터 새어나와 자음과 모음으로 흩어진다)를 던지며 또다시 다른 작품(또 다른 박제동물)으로 미끄러진다. 마지막 장면의 비질은 결국 처음의 비질과 이어지는데, 이를 통해 작가 자신이 작업하는 방식과, 그 순환을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2015년 개인전 〈능구렁이같이 들개같이〉에서 선보인 동명의 애니메이션이 현대미술 환경을 거대한 공장시스템으로 은유하고 자신을 공장주, 능구렁이와 들개에 비유하면서 현대미술을 풍자적으로 표현했다면, 〈자화상〉에선 작가의 내적 갈등이 보다 심화된 것으로 보인다. 〈능구렁이같이 들개같이〉에서는 자막이 영상 외부에 위치해 있었지만 〈자화상〉에서는 자막이 이미지를 휘둘러버릴 정도로 작품과 일체가 되어 있고 이미지는 비선형적으로 흐른다. 이는 글과 이미지에 대한 작가의 고민뿐만 아니라, ‘작업하기’에 대한 작가의 근원적인 고민을 포함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서식지〉의 작품 전체가 작가 자신의 ‘자화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언제나 양 극단 사이의 위험에 처해 있다. 언어냐 이미지이냐의 문제가 작품 내적 갈등의 두 축이라면, 캔버스냐 실험이냐는 작품 외적 갈등의 축이다. 작가가 이러한 두 극단 사이에서 작품을 계속 해나가는 한 현실과 꿈, 생계와 예술, 글과 이미지 사이에서 끊임없는 줄타기를 해야 할 것이다.
위 배윤환 〈퓨마 서식지〉(사진 왼쪽) 종이에 목탄 202×400cm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