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4월 제291호

특별기획 080

젊은 작가 핫 트렌드 2009
젊은 작가들의 트렌드를 읽는다는 것은, 그들의 관심사와 특징을 알고, 또 우리 미술계의 향방을 미리 살펴보는 한
방법일 것이다. 사실 트렌드라는 것은 한 시대에 있어 어떤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과 그것을 풀어내는 방법에 다름
아니다. 이에 《월간미술》은 4가지 트렌드로 구분해 우리시대 젊은 작가들의 새로운 시각과 감성을 알아본다. 작가
리스트는 미술관, 화랑, 대안공간 전시기획자들의 추천을 받아 작성했음을 밝힌다. 아울러 국내외 젊은 작가들의
미술계 데뷔방식 시스템을 점검해본다. 과거 어느 때보다 젊은 작가들에 대한 지원과 관심이 집중돼 호시절이라는
이도 많지만 해마다 배출되는 작가 지망생 수를 생각하면 그들의 고군분투는 한층 더 치열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월간미술》과 함께 젊은 작가들의 통통 튀는 새로운 감각을 살펴본다.

빨리 더 빨리, 젊은 작가의 변신은 ‘무죄’가 아닌 ‘필수’다 _ 류한승 097
젊은 작가를 둘러싼 몇 가지 현실 _ 강성은 100

테마 기획
미술관이 백화점을 만났을 때 156
백화점은 살아 숨쉬는 미술관이다 _ 류병학
백화점 : 세속의 만신전, 시체들의 영구회귀 _ 김상우

작가
스페셜 작가 권오상
표면은 조각을 어떻게 바꾸는가? _ 유진상 112
벽안에 비친 우리작가 3
이우환·경이로운 여백을 향한 부단한 여정 _ 로버트 C. 모건 130
작가리뷰
송명진·평면 위에서의 낚시질 _ 우혜수 134
정은유·입체와 풍경, 존재론적 메타포 _ 고충환 138
성동훈·돈키호테를 꿈꾸는 조각가 _ 박영택 142

해외미술
월드토픽 침↑폼
‘뉴 타입 스트리트 게릴라 아티스트’가 난관을 돌파하는 법 _ 최재혁 124

전시
전시초점 〈수퍼하이웨이 첫 휴게소展〉
백남준을 향한 끝없는 여행의 출발 _ 신보슬 074
전시리뷰 146
강홍구·천경우·차규선·이종구·홍지연·성낙희
전시프리뷰 152

인물·정보·기타
영문요약 028
에디토리얼 059

핫피플
배순훈 _ 황석권 060
후쿠다케 소이치로 _ 이건수 062

현장
재불 원로화가 이성자 타계 _ 이지은 정영목 064

아트저널 164
독자선물 174
편집후기 176

2009년 3월 제290호

특별기획 066

그림책 혹은 책그림 이야기
그림은 문자보다 훨씬 오래된 인간의 표현수단이다. 문자의 발명에 앞서서 그림은 의사소통을 위한 중요한 도구이자 인간
본연의 표현욕구를 분출하는 통로였던 것이다. 그런가 하면 ‘책’은 인간의 지식과 정보를 문자로 기록한 인류 역사의
저장창고다. 이와 같은 그림과 책의 만남은 시대를 가로지르며 각별한 의미를 지녀왔다. 이것은 인간의 이성과 감성의
결합이며, 동시에 인문사상과 예술정신이 조화를 이룬 아름다운 결정체이다. 최근 국내외 일러스트레이터의 그림책
원화를 소개하는 대규모 전시가 열려 어느때 보다 그림책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발맞춰
《월간미술》은 그림과 책이 어우러진 ‘그림책’이라는 멋진 세계로의 여행을 권한다. 그동안 그림책을 유아나 어린이가
보는 책이라고 치부했던 선입관을 이번 기회에 말끔히 지우고, 그림책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작가
작가리뷰 전광영
국제적 스타일의 추구자 _ 후미오 난조 106
시간과 공간의 집적 _ 에릭 샤이너 114

젊은 작가
이민정
회화의 지층에 묻혀있는 감각 _ 이준희 136

박은하·선민아·정미란
풋풋함이 젊은 작가의 요건? _ 황석권 138

오재우
사회를 향해 발언하는 세련된 방법 _ 황석권 142

해외미술
월드토픽 수보드 굽타
글로벌 시대의 문화적 정체성과 전형 _ 이숙경 116

전시
화제의 전시 〈클림트 황금빛 비밀展〉
클림트가 초대하는 감각의 제국 _ 이현애 058
전시리뷰 124
무브 온 아시아 2009·정종미·이은실·김건주
최수앙·임영선·방병상·서동욱
전시프리뷰 132

학술·자료
논단
아트스타의 상황과 진화 _ 심상용 144

인물·정보·기타
영문요약 028
에디토리얼 047

핫피플
표미선 _ 황석권 048
마이클 고반 _ 심정원 050

아트저널 156
독자선물 166
편집후기 168 .

2009년 2월 제289호

특별기획 072

한국의 시각문화를 리드하는 잡지들
“미술 분야 에서는《월간미술》이 68.0%로 1위를 차지 했고 《미술세계》《아트인컬쳐》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말, 주간지
《시사저널》이 지령 1000호를 기념해 조사한 ‘한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매체’라는 제목의 기사 중 일부다. 이처럼
《월간미술》이 미술분야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옹ㄹ해로 창간 34년째를 맞은 《월간미술》은 이런 평가에 자만하거나
안주하지 않고, 전통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미술문화 발전을 위한 발걸음을 묵묵히 계속해나갈 것이다. 현재 국내에는
《월간미술》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저마다 특성을 지닌 전문지들이 발간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전문지의 미래는 그리
밝지만은 않다. 최근 불어닥친 경제한파로 인한 광고 감소와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고정
독자층의 붕괴 등 온갖 어려움 속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또한 불특정 다수 독자의 요구와 관심에
부응하기 위한 ‘전문지’의 운명은, 때론 말그대로 ‘잡지’로 치부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책을 만드는 사람들의 열정은
한국문화의 지층을 두껍게 하는 소중한 토양임은 두말할 나위 없다. 《월간미술》은 한국의 잡지문화를 점검해보는 기획을
마련했다. 이는 잡지라른 언론매체의 속성과 운명을 스스로 되돌아보는 동시에 독자에게 한 발짝 더 다가서기 위한 작은
노력이다. 이를 위해 영화건축패션디자인만화사진 등 미술 이외의 분야에서 대표적이고 권위 있는 잡지사 편집장을
취재했다. 이들은 분야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시각문화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들의 고민과 생각을 통해 한국의
잡지와 나아가 시각문화 전반을 총체적으로 점검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테마기획
近代를 보는 4가지 視線 116
근대 ‘미술’의 탄생 _ 홍선표
전시공간과 新 시스템 _ 류지연
근대예술가의 등장 _ 김이순
근대 컬렉터와 미술시장 _ 권행가

작가
스페셜 작가 2
박선기·회화적 조각, 시점의 교란과 재구성 _ 최태만 098
해외 한인작가 12
한수자·기표로서의 원, 의미로서의 원 _ 진휘연 138
작가리뷰
강석호·균등 속의 차이, 평범 속의 비범 _ 안경화 148
벽안에 비친 한국작가 2
이원형·디오니소스적 긴장 _ 로버트 C. 모건 144

해외미술
World Topic 파리의 미래주의전
미래파와 입체파의 조형적 대화 _ 한의정 110

전시
전시 초점 〈젊은모색 2008전〉
아유 언 아티스트? _ 박영택 056
전시리뷰 152
이머징 9·괴짜들 군웅할거-한국 그룹사운드
1960∼1980·윤광조·나현
전시프리뷰 158

학술·자료
한국의 미 통일신라 조각전
영원한 생명, 장엄한 울림 _ 허형욱 130

인물·정보·기타
영문요약 028
에디토리얼 043

사이트 앤 이슈
미리보는 2009년 주요전시 _ 류동현 046
남농 허건전_김소영 054
핫피플 유희영_황석권 044
포토에세이 39 _ 윤진영 162

아트저널 164
독자선물 174
편집후기 176

2009년 1월 제288호

특별기획 054

세계 미술계의 최신 동향과 전망
2009년 기축년 새해가 밝았다. 2008년 무자년 미술계는 이른바 롤러코스터를 탄 듯 부침이 거셌다. 짝수해의 특성상
광주비엔날레와 부산비엔날레 등 국내 메이저 비엔날레가 며칠 간격으로 포문을 열었고, 일본, 중국, 대만, 싱가포르
등지에서도 비엔날레가 동시다발적으로 열려 바야흐로 아시아 비엔날레의 전성기를 구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미술축제에도 불구하고 지난 몇 년간 반짝였던 미술시장의 열기는 하반기에 접어들면서 급격한 냉각기로 빠져들었다.
이와 함께 많은 사건이 미술계를 휘감았다. 숭례문 화재, 국립현대미술관과 관련된 문제들, 기관장 해임 문제를 비롯해
연말에는 미술품 양도세 통과라는 메가톤급 사건이 미술계를 강타했다. 해외 미술계도 하반기 금융위기의 여파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세계 미술시장은 세계경제의 침체에 동반 하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월간미술》이
2008년을 결산하고 2009년을 긴급 전망해 본다. 이를 위해 미국, 영국, 중국, 독일, 프랑스, 일본 미술계를 입체적으로
취재하고 각국 미술계 인사를 인터뷰했다. 이와 함께 국내 미술계의 이슈를 결산하고 새해 미술시장의 흐름도 살펴본다.
상투적이지만 ‘위기가 기회’라는 말이 있다. 작금의 위기 상황을 좀더 냉정하게 분석하고 미래의 방향성을 모색한다면,
미술계 체질을 개선해 지금보다 몇 단계 올라설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테마기획
러시아 현대미술 096
푸틴시대의 미술 _ 이진숙
젊은 러시안의 기수 칸딘스키 프라이즈 _ 안톤 벨로프
러시아미술의 힘은 어디서 오는가 _ 서진석

작가
스페셜 작가
홍경택ㆍ그림자 없는 그림의 세계 _ 강수미 084
해외 한인작가
샌정ㆍ시적 지표에 담긴 회화의 감미로움 _ 이숙경 118
작가리뷰
문형민ㆍ말과 말사이에 놓인 ‘벙어리’ _ 이대범 124
구자영ㆍ텍스트의 우주, 그리고 생태계 _ 이원곤 128
박홍순ㆍ새로운 다큐멘터리의 유토피아 _ 이경률 132

해외미술
월드토픽
터너프라이즈 2008 _ 이숙경 112

전시
전시 초점 〈SIPF〉
인간가족에서 인간풍경으로 _ 이수균 048
화제의
전시
〈욘복: 피클 속 핸드백 두 개〉
이성과 판타지의 절묘한 줄타기 _ 김성원 136
전시리뷰 140
정원방문기ㆍ39조2항ㆍ김태순ㆍ최병민ㆍ도윤희
오형근ㆍ조기주ㆍ변연미ㆍ조인호ㆍ허윤희
전시프리뷰 150

인물ㆍ정보ㆍ기타
영문요약 028
에디토리얼 035

사이트 앤 이슈
댄 그레이엄 _ 조수진 036

포토에세이 38 _ 윤진영 154
아트저널 156
독자선물 166
편집후기 168

2008년 12월 제287호

특별기획096
韓國의 肖像畵

“세상에서 가장 쉬운 것은 귀신을 그리는 일이요, 가장 어려운 것은 사람을 그리는 일이다”라는 말이 있다. 이는 잘잘못을
가릴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귀신그림에 비해 사람의 초상은 무엇보다도 ‘전신(傳神)’을 중요하게 여기기에 그리기가 만
만치 않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전신’은 초상화를 그릴 때 외모뿐 아니라 그 인물의 내재된 정신까지 사생해낸다는 의미
다. 그런가 하면 초상화를 보는 일 또한 그 자체로서 모순적 상황에 빠지기도 한다. 내가 보는 것이 그림인지, 아니면 이미
지가 환기하는 특정인물을 지각적으로 인지하는 것인지 혼란스럽기 때문이다. 《월간미술》은 우리시대 우리 얼굴을 간직한 초
상화의 세계를 살펴보는 특집기획을 마련했다. 삼국시대 이후 조선시대와 근현대를 거치며 면면이 이어온 한국 초상화의
역사와 그 가치를 되짚어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초상화 연구의 최고 권위자인 조선미 교수가 선정한 한국의 초상화 걸작
10選을 소개하고, 초상화의 황금기라 할 조선시대 초상화의 이모저모를 살펴본다. 그리고 근현대로 이어진 초상화의 흐름과
변모과정, 정부에서 지정한 표준영정 현황, 작가 인터뷰, 서양의 초상화를 제대로 감상하기 위한 텍스트로 본 기사를 구성했다.

작가
126 작가리뷰
        이불ㆍ살아서 돌아온 자들의 그림자 _ 유진상
        이용백ㆍ미디어아트의 미래를 투영하다 _ 반이정
        윤석남ㆍ윤석남의 보살핌의 미학 _ 윤난지
        김영원ㆍ인간 내면의 진중한 울림 _ 김미진
        박병춘ㆍ실제를 투영하는 관념적 풍경 _ 김백균

전시
076 화제의 전시
        제임스 터렐전 _ 정무정
        사진의 힘전 _ 최봉림
084 전시초점 대구사진비엔날레 2008 _ 류병학
160 전시와 테마
        미술정기간행물 1921∼2008전 _ 최열
        간송미술관 서화대전 _ 홍선표
146 전시리뷰
        동대문운동장ㆍ세계 속의 한국현대미술2-파리
        오수환ㆍ심문섭ㆍ전영근ㆍ박혜수ㆍ방명주
        이정민ㆍ이헌정ㆍ이명호ㆍ한진수ㆍ정연두
156 전시프리뷰

학술ㆍ자료
170 한국의 미
        붉은 단풍의 호방한 붓놀림 _ 민길홍
        인물·정보·기타
028 영문요약
054 독자편지
056 아트러버 15 홍기석 _ 심정원
058 이색박물관 12 쉼 박물관 _ 이준희
060 사이트 앤 이슈
       〈아트 인 대구 2008전〉 _ 황석권
      〈우리들의 눈전〉 _ 황석권
        태백산맥 문학관 개관 _ 이준희
     〈프랑스 국립 퐁피두센터 특별전〉 _ 류동현
174 아트저널 뉴스ㆍ지역ㆍ피플ㆍ노티스ㆍ아트북
190 독자선물
192 넥스트이슈

2008년 11월 제286호

특별기획
92 현대 디자인의 유토피아 바우하우스

현대사회의 외피(外皮)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오늘날 사람들의
일상을 담아내는 생활문화는 어떻게 디자인되었을까. 이러한 질문
의 답은 바우하우스에서 찾을 수 있다. 1919년부터 1933년까지 바이
마르, 데사우, 베를린으로 이전하며 새로운 유토피아를 꿈꾼 독일 조
형미술학교 바우하우스는 새 시대에 맞는 생활방식을 제시하고 실
천한 미술학교인 동시에 ‘혁명’과 ‘혁신’의 또 다른 이름이었다.
바우하우스는 그동안 유명세와 인지도에 비해 그 실체에 다가가기 힘
들었다. 이번 금호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유토피아-이상에서 현
실로전〉(9.25∼12.28)은 새로운 주거형태를 제시한 슈투트가르트
바이센호프 주거단지, 현대 부엌 디자인의 효시인 프랑크푸르트 부
엌과 바우하우스를 거쳐간 수많은 디자이너의 다양한 작품들을 직접
한꺼번에 볼 수 있는 드문 기회다. 《월간미술》은 현지 취재를 통해
당시 그들이 꿈꾼 ‘유토피아’가 무엇이었는지 알아보고, 현재 우리
에게 필요한 생활문화와 디자인에 대한 답을 구해본다.

해외미술
120 월드토픽 프리즈 아트페어2008
        금융위기 시대 아트페어의 새로운 역학구도_ 이숙경
126 월드리포트
        라틴아메리카 미술의 오늘 _ 윤진섭 김종근 최열

작가
134 작가리뷰
        이왈종·생명있는 것들의 희열 _ 박영택
        강운구·독립적 시선의 정치학 _ 김승곤
        전준·대지에 생명을 파종하다 _ 최태만
        정경연·장갑, 존재론적 메타포 _ 고충환
        이기봉·서사와 담론을 왕래하다 _ 진휘연
        조환·영롱한 이슬을 꿈꾸다 _ 서성록
        故박현기·박현기의 ‘비디오 모뉴먼트’ _ 이원곤

전시
082 전시초점 플랫폼 서울 2008 _ 류동현
086 화제의 전시〈B-Side전〉 _ 강수미
164 전시리뷰
        언니가 돌아왔다·현실과 허구의 경계읽기
        김정욱·박준범·홍지윤·박승모·김상길·황창하
170 전시프리뷰 / 학술·자료
176 한국 현대미술 진단 2
        좌담·아시아 미술의 빅이벤트를 말한다 _ 강수미 서진석 심상용 유진상

인물·정보·기타
028 영문요약
093 에디토리얼
094 독자광장
096 제13회 월간미술대상 수상자 발표
100 아트러버 13 이성낙 _ 심정원
102 핫피플 정준모
104 사이트 앤 이슈
        갤러리 현대 강남점 개관 _ 성하영
        가나아트 개관 25주년 _ 심정원
        ShContemporary&KIAF _ 유진상
210 아트저널 뉴스·지역·피플·노티스·아트북
222 독자선물
224 편집후기

2008년 10월 제285호

특별기획
118 2008 아시아 비엔날레의 향연

올 가을 아시아 각 국은 비엔날레의 열기로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9월 5일 개막한 광주비엔날레를 신호탄으로 다음날 부
산비엔날레가, 12일엔 서울에서 제5회 서울국제미디어아트 비엔날레가 시작됐고, 중국에선 9월 9일부터 상하이비엔날
레가 팡파르를 울렸다. 이 뿐 아니다. 9월 11일엔 싱가포르비엔날레가 시작됐고, 이어서 13일 일본 요코하마에서는 3년
만에 트리엔날레가 개막했다. 그야말로 아시아 비엔날레의 홍수요, 전성시대인 것이다. 《월간미술》은 국내에서 열리는
비엔날레뿐 아니라 아시아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펼쳐진 비엔날레의 현장을 현지 취재했다. 《월간미술》과 함께 아시
아 비엔날레 르네상스의 현장을 답사해 보자.

120 광주·2008광주비엔날레, 두드린 후 건넌 돌다리 _ 최태만
        전시회의 전시회, 그 다양성과 美 _ 이치하라 겐타로
142 부산·비정형과 방출 혹은 다양한 오해의 자유 _ 이숙경
       아시아 4대 비엔날레의 한 축을 위한 방향성 _ 하계훈
160 서울·우리시대의 예술은 디지털인가? _ 레진 드배티
170 요코하마·시간의 틈 속에서 소통되는 예술 _ 류동현
182 상하이·질주하는 이주자들의 도시 속 자화상 _ 유진상
190 싱가포르·세상의 기이함을 시각예술로 승화시킨 비엔날레 _ 오선영

전시
198 전시리뷰
       포인트·이영배 정현·임민욱·정소영
       문경원·김남표·배영환·Y.Y Shim·안필연
206 전시프리뷰

인물·정보·기타
028 영문요약
093 에디토리얼
094 독자광장
096 제13회 월간미술대상 수상자 발표
100 아트러버 13 이성낙 _ 심정원
102 핫피플 정준모
104 사이트 앤 이슈
       갤러리 현대 강남점 개관 _ 성하영
       가나아트 개관 25주년 _ 심정원
       ShContemporary&KIAF _ 유진상
210 아트저널 뉴스·지역·피플·노티스·아트북
222 독자선물
224 편집후기

2008년 9월 제284호

특별기획
104 대한민국 감정

‘완벽한 미술품 감정(鑑定)은 없다’라는 경구가 지적하듯, 미술품 감정은 완벽할 수 없는 운명을 거부하고 완벽을 수렴해
야 하는 치열한 모순과 의심의 과정이다. 게다가 최근 일련의 사건에서 목도할 수 있듯이 감정 후에는 무거운 책임도 따른
다. 그래도 감정에 임하는 이들의 감정과 관련한 발언은 큰 파장을 남기게 마련이다. 그러한 파장을 우리는 심심찮게 접하
고 있지 않은가? 민감한 시기에 《월간미술》은 감정을 주제로 한 특집을 준비하면서 특히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과정
에 대부분의 지면을 할애했다. 우선 우리 감정계의 제반 상황과 개선점에 대해 ‘위작범의 시선’이라는 독특한 형식으로 고
백한다. 그리고 현재 감정계에서 활동하는 이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하는 인터뷰를 담았다. 여기에는 작품의 진위를 판
단하는 안목감정, 과학적 분석가는 물론, 작품의 가치를 경제적 단위로 환산하는 가치감정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시선을
담아내려 했다. 또한 감정을 사회 이슈화하는 언론의 태도와 현재 대중적 관심사로 떠오른 방송을 통한 감정에 대한 내용
도 다뤘다. 또 외국 감정체계를 반면교사(反面敎師) 삼아 우리 감정계가 개선하고 발전적 방향으로 삼을 수 있는 면을 고
찰해본다. 마지막으로 본지를 통해 이슈화되고 소개되었던 국내외 위작관련 시비 사례를 정리했다.

스페셜 리포트
094 미리보는 광주 & 부산 비엔날레 _ 이준희

작가
136 작가 리뷰
        이문주ㆍ낭만적 다큐멘터리의 풍경화 _ 권영진
        이강우ㆍ독립적 시선의 정치학 _ 박평종
        김기라ㆍ비판, 그리고 작가적 해결책을 보여주다 _ 김인선

해외미술
126 월드 리포트
        프랑스ㆍ영국ㆍ미국ㆍ독일ㆍ일본ㆍ중국

전시
148 전시와 테마 고우영 만화:네버 엔딩 스토리전
        명랑모험에서 진득한 재담까지 아우른 ‘고우영만화’의 세계 _ 김낙호
        故 고우영 화백, 그를 기억하는 세가지 에피소드_ 이정문
160 전시 초점 척 클로스전
        환영에서 구조로 _ 안소연
166 화제의 전시 확장된 감각전
        확장된 한국 미디어아트의 비전 모색 _ 유진상
172 전시리뷰
        Digital Playground2008 & thisAbility vs.
        DisabilityㆍMapping the Future of Artㆍ
        Photo on PhotographㆍA Midsummer Night’s Dreamㆍ
        임만혁ㆍ사사ㆍ릴릴ㆍ조습ㆍ심점환ㆍ옥현숙
180 전시프리뷰

인물ㆍ정보ㆍ기타
028 영문요약
075 에디토리얼
076 독자광장
078 아트러버 12 최항순 _ 심정원
080 이색박물관 11 63스카이아트뮤지엄 _ 남선우
082 사이트 앤 이슈
        30주년 맞은 관훈갤러리 _ 하계훈
        2008창원아시아미술제 _ 이준희
        하반기 미술시장 전망과 KIAF 2008 미리보기 _ 성하영
184 아트저널
        뉴스ㆍ지역ㆍ피플ㆍ노티스ㆍ아트북
198 독자선물
200 넥스트 이슈

2008년 8월 제283호

특별기획
092 진화하는 예술공장, 아트 레지던스 프로그램

일정 기간 작가에게 작업공간과 작품 제작을 지원하는 창작지원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 프로그램’
(이하 아트 레지던스 프로그램). 지난 1997년 문예진흥원이 후원한 강화미술창작실과 논산미술창작실 이후 국내 아트 레
지던스 프로그램은 외형적으로 크게 성장했다. 국립기관이 운영하는 창작스튜디오부터 사립미술관이나 상업화랑까지
레지던스 프로그램을 활발히 운영 중이다. 《월간미술》은 지난 2003년 궤도에 오르기 시작한 국내 아트 레지던스 프로그
램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제 10여 년의 역사를 축적한 국내 레지던스 프로그램은 또 다른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단순
한 창작 스튜디오의 운영 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도입해 작가들의 창작 의욕을 고취시키고 있는 것이다. 《월간미술》
이 새로운 도약을 꾀하고 있는 국내 아트 레지던스 프로그램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해본다. 국내 레지던스 프로그램이 참
고할 만한 해외 아트 레지던스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현장의 생생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들어보는 자리도 마련했다. 쑥쑥
커나가는 예술공장, 아트 레지던스 프로그램의 세상 속으로 들어가 보자.

테마기획
190 아듀! 세운상가
        세운상가, 장대(長大)의 비극 _ 박길룡
        세운상가, 허망함의 갤러리 _ 성기완

작가
116 YAA
      이재훈ㆍ선무ㆍ조소연ㆍ전소정ㆍ전윤조
        하용주ㆍ김태연ㆍ박재영
142 작가 리뷰
        유봉상ㆍ지평선에 기댄 이유 _ 손성진
        박찬경ㆍ믿음의 테크놀러지 _ 강수미
        김인태ㆍ자연과 인공의 접합 _ 이선영
        고명근ㆍ이것이 사진가의 시선이다 _ 황록주
196 작가의 고향을 찾아서 5 이만수
        땅을 닮은 사람, 사람을 닮은 그림 _ 이준희

해외미술
128 월드 토픽 에이야-리사 아틸라
        만화경으로 보는 고통의 순간들 _ 한의정
134 월드 리포트
        영국ㆍ미국ㆍ독일ㆍ일본ㆍ프랑스ㆍ이탈리아ㆍ중국

전시
174 화제의 전시 픽사 20주년전
        PIXAR, 상상과 물질의 경계를 넘나들다 _ 김형수
178 전시와 테마 매그넘 코리아전
        기록 사진의 전설, 매그넘이 포착한 한국의 오늘 _ 손영실
184 전시 초점 빌 비올라
        시간의 매체로서의 비디오아트 _ 김지훈
158 전시리뷰
        반응하는 눈ㆍSound Art 201ㆍ금중기
        권순왕ㆍ이진원ㆍ이관우ㆍ김시내ㆍ김봉태
        양아치ㆍ백성준ㆍ남화연 전소정ㆍ손민아
166 전시프리뷰

인물ㆍ정보ㆍ기타
028 영문요약
071 에디토리얼
072 아트 스퀘어 _ 최윤아
074 핫피플 유진상 ASYAAF 총감독 _ 류동현
076 아트러버 11 윤영주 _ 심정원
078 이색박물관 10 인문학박물관 _ 남선우
080 사이트 앤 이슈
        창원 더시티7 _ 성하영
        루벤스, 바로크 걸작展 _ 류동현
        마크 퀸展 _ 류동현
        온 카와라展 _ 성하영
202 아트저널 뉴스ㆍ지역ㆍ피플ㆍ노티스ㆍ아트북
214 독자선물
216 넥스트 이슈

2008년 7월 제282호

특별기획
078 현대미술과 상품의 협업

지난해 10월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MOCA)에서 팝아티스트 무라카미 다카시의 대규모 회고전이 열렸다. 이 전시가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킨 이유는 전시와 함께 루이비통 스토어가 미술관에 문을 열었다는 데 있었다. 미술관의 상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MOCA의 디렉터인 제레미 스트릭의 평가는 이를 무색케 했다. “무라카미에게 루이비통을
위한 럭셔리 제품디자인은 대량으로 생산되는 저가의 상품디자인과 함께 자신의 작품세계를 구성하는 축이다. 루이비통
이 우리의 초청을 받아들여 이번 전시에 참여하게 된 것을 무척 기쁘게 생각한다.”그는 순수미술과 대중문화, 산업을 혼
합하는 작가의 철학과 작품세계를 높이 평가한 것이다. 이러한 현대미술과 브랜드의 결합은 무라카미와 루이비통만의 일
이 아니다. 유행처럼 번져나가는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은 아티스트에게는 자신의 작업을 대중에게 알리고 가까
이 다가가는 통로이자 새로운 창조활동이 되고 있다. 물론 브랜드들도 아트웍(art work)이라는 프리미엄을 장점으로 이
용하고 있다. 이에 《월간미술》은 미술관을 뛰쳐나와 일상에서 상품으로 대중과 만나는 현대미술을 알아보는 여러 사례를
살펴보았다. 패션을 중심으로 한 일상용품, 광고 등 여러 분야에서 현대미술이 어떻게 응용되고 있는지, 상품으로서 현대
미술의 매력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현대미술과 브랜드가 결합해 만들어진 상품과 자신의 작업에 상품개념을 도
입한 작가들의 작업을 화보로 싣는다. 작품과 상품의 경계를 허물고 대중과 소통하는 현대미술가들의 여러 갈래 작업을
통해 현대미술의 즐거움을 느끼길 바란다.

작가
148 작가리뷰
        최인선·평면성을 통한 존재론적 인식 _ 이은주
        조덕현·두 여인의 삶이 우리의 인식을 바꾸는 방법 _ 폰투스 키엔더
154 해외 한인 작가 10 한명옥
        시간을 담아내는 낮은 자의 수행 _ 김애령

해외미술
118 월드 토픽 사이트 샌타페이 비엔날레
        예술적 협업에 대한 새로운 실험의 場 _ 류동현
128 월드 토픽 요코오 타다노리
        모험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_ 엄광현
134 월드 리포트
        영국 미국 독일 스위스 프랑스 일본 중국

전시
160 전시리뷰
        이미지 반전·오늘의 미술-미술의표정
        한계륜·홍원석·이수경·송준호·임동식
        잭슨홍·박성민·박형근·정명국·리사 루이터
168 전시프리뷰

학술·자료
176 한국 현대미술 진단 1
      기획전 부재의 시대, 돌파구는 없나?
        좌담 _ 박천남 반이정 백지숙 최금수

인물·정보·기타
028 영문요약
055 에디토리얼
056 아트 스퀘어 _ 릴릴
058 아트 컬럼 _ 서진수
060 아트러버 10 김영환 _ 심정원
062 이색박물관 9 테디베어뮤지엄 _ 남선우
064 사이트 앤 이슈
        돌아와요 부산항에展 _ 황석권
        문화유전인자展 _ 이준희
184 아트저널 뉴스·지역·피플·노티스·아트북
198 독자선물
200 넥스트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