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사람, 사람, 가까운 사람> 갤러리 소소 전시 전경

SIGHT & ISSUE

강석호 노충현 서동욱
<먼 사람, 사람, 가까운 사람>

2021.8.7 – 1.19 갤러리 소소

나와 당신의 거리

우리의 존재는 매번 잘못 호명된다. 우리의 이름도, 직업도, 외모조차도 나를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호가 될 수 없다. 세상에 완벽한 이해라는 것이 존재할까? 사르트르의 말대로 타인은 지옥이건만, 인간은 자신의 실존을 인정받기 위해 타인을 필요로 한다. 그리하여 자신과 타인에 대한 우리의 오해는 뫼비우스의 띠처럼 끝없이 반복된다.

작가의 업은 이 끊임없는 오해 속에서 그 누구도 명확히 정의 내릴 수 없는 본질에 닿으려는 행위다. 노충현, 서동욱, 강석호 작가는 나와 세상이 서로를 오해할 때마다 엉켜버리는 삶의 실타래를 풀고 적절하게 매듭짓는 작업을 해왔다. 세 사람은 2018년 수애뇨339에서 3인전 〈다이알로그〉를 함께 한 뒤 3년 후 갤러리 소소에서 다시 만났다. 여러 명의 작가를 하나의 문장이나 주제로 엮어낼 때는 언제나 어쩔 수 없는 틈새가 벌어지곤 한다. 누군가는 지나치게 주목받고 누군가는 억지로 끼워 맞춰진 듯 겉돈다. 그룹전이 가진 성격 자체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갤러리 소소의〈먼 사람, 사람, 가까운 사람〉이 안정적인 균형감을 보여주는 이유는 비교적 명확하다. 먼 사람, 사람, 가까운 사람이라는 직설적인 제목처럼, 이 전시에는 자신과 대상의 거리를 설정하여 삶의 결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읽어내는 작가들의 서사가 공통적으로 담겨 있기 때문이다.

노충현 작가는 ‘먼 사람’을 그린다. 대상과의 거리를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카메라 렌즈를 통해 그의 일상은 화면으로 옮겨졌다. 명확한 선과 형태 없이 빛의 뭉텅이들이 부유하는 듯한 풍경에는 눈송이가 얼음으로 굳어버린 것 같은 질감이 있다. 이 차갑고 쓸쓸한 풍경에 작가는 자신의 상처를 덧씌웠다. 풍경의 한 귀퉁이에서 사람들은 하늘과 물의 빛깔에 침식된 것처럼 보일 듯 말듯 형태만이 남아 있다. 인간들의 사사로운 감정은 개별적으로 읽히지 않고, 다만 누구도 보듬을 수 없는 상처가 풍경 속에 묻혀 있을 뿐이다.

서동욱 작가는 ‘사람’을 그린다. 기쁨이나 슬픔 같은 명확한 감정이 아닌 중립적인 표정에서 섬세한 감정이 읽힌다. 영화의 한 장면에 멈춰 선 것 같은 화면 속의 시공간은 작가의 영상 작업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우리가 사람을 진정으로 이해할 수 없듯이 작가는 과장된 표정이나 행위로 누군가의 성격을 특정하는 대신 그 사람의 고유한 분위기만을 남겼다.

강석호 작가는 전시를 한 달여 앞두고 급작스러운 사고로 유명을 달리했다. 황망함과 안타까움을 딛고, 유족과 동료 작가들은 전시를 예정대로 진행했다. 강석호 작가의 그림은 작업실에 걸려 있던 모습 그대로 재현되었다. 인물을 확대하여 부분만을 그리는 그는 세 사람 중 가장 세밀한 인체 묘사를 보여주지만, 인물은 표정과 행동으로 유추할 수 있는 인물이 아닌 색채와 형태로서 존재한다. 이번 작업들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배꼽들이다. 배꼽은 인간이 세상과 조우했음을 알려주는 증표 같은 것이다. 타의에 의해 생명을 부여받은 채 앞으로의 인생을 살아가야 하는 비애가 가득 담긴, 길고 둥글납작하고 안쓰러운 인간의 운명이 고여 있는 배꼽들.

그와 사람의 거리는 가장 가깝지만, 가장 멀다.

이들은 가깝고도 먼 나와 당신의 거리, 그리고 이해와 오해 사이에서 끊임없이 줄다리기하는 나와 세상의 거리를 가늠하고 있다. 우리는 어떤 마음으로, 얼마만큼의 거리를 둔 채 살아가야 할까.

강석호 〈무제(Untitled)〉
캔버스에 유채 43×45cm 2021

서동욱 〈여름  -  아침Ⅱ〉
캔버스에 유채 116.7×91cm 2021

노충현 〈밤눈(snow in the night)〉
캔버스에 유채 91×91cm 2021

故 강석호 작가의 작업실을 재현한 전시 공간

《월간미술》 2021 10월호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월간미술》 2021년 10월호 SIGHT&ISSUE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획· 진행 염하연 기자
© (주)월간미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