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PEOPLE

박남희

제3회 제주비엔날레 예술감독

박남희는 1970년 태어났다. 홍익대에서 예술학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미술학(미술비평)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시기획자로 활동하며, 〈강화별곡〉(2008, 전등사, 서울대우석홀, 신세계백화점, 부평역사박물관), 〈액체달〉(2010, 금천예술공장), 〈별별수저〉(2015, 서울시립 남서울생활미술관), 〈산지천, 복개를 걷어내고〉(2021, 산지천갤러리) 등을 기획했다. 2013년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공동 전시감독을 맡았으며,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본부장을 지내며 〈감각과 지식사이〉(2018), 〈해킹푸드〉(2019), 국제전자예술심포지엄 〈영원한 빛〉(2019)을 열었다. 현재 홍익대 영상커뮤니케이션 대학원 초빙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우주적인 호흡이
눈에 스미도록

1, 2회에 불거진 ‘불협화음’으로 폐지냐 재편이냐를 두고 열띤 논의가 일었던 제주비엔날레가 올해 하반기 3회 전시 개막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 3월 선임된 박남희 예술감독은 “이제 새롭게 준비하는 제주비엔날레는 제주의 정체성을 담고, 예술 담론의 터전을 만들어내는 비엔날레의 순기능 수행을 목표해야 한다”며, 제주의 자연적, 역사적, 신화적, 문화적 지층 위를 〈걷고 호흡하기 _ 자연공명(自然共鳴)의 습(習)〉이라는 제목으로 거닐고자 한다. 박 예술감독은 먼저 사람들이 제주로 떠나는 이유를 생각했다고 했다. “제주에는 일상을 벗어나 자연을 즐기는 사람들뿐 아니라 요가를 하는 이들처럼 자연 속에서 순례하며 수행하고, 쉼을 얻고자 하는 여행자들이 온다. 그러니까 제주는 인간이 자연에서 호흡하며 자신을 회복하는 곳이다. 이러한 자연 속에서 치유하는 생명의 힘은 ‘천혜의 조건’ 및 역사와 싸우고 화해하며 두터워진 괸당문화, 즉 공동체의 정신적이고 윤리적인 가치로부터 나왔을 것이라 본다.” 제주뿐만 아니라 아시아의 공동체 문화가 인간 및 동식물이 어우러지는 범우주적 세계관에 기반하고 있음을 말하며, 그는 ‘율려(律呂)’ 정신으로 비엔날레의 내용을 설명했다. 율려는 자연의 본질, 우주의 질서, 동아시아 예술의 체계와 구조를 나타낸다.

박 예술감독은, 허균이 저술한 《한정록》의 일부와 함께 이번 비엔날레의 세부 주제를 소개했다. 세부 주제 세 가지는 제주가 설문대할망의 숨결로 시작되었다는 신화적 배경을 담은 ‘밀밀 密密히, 들숨과 날숨’, 제주의 지형과 인생의 고비를 암시하는 ‘면면 綿綿히, 오르막과 내리막’, 오르내리며 숨을 쉼으로써 우주와 생명이 존재적으로 호응하는 ‘유유 幽幽히, 발과 땅’으로 이어진다. “허균은 호흡에 대해 서술하면서 ‘이것이 늙은이를 젊게 하는 약’이라는 말을 썼는데, 이는 호흡의 생명성, 자연의 일부로서 숨을 잘 고르는 일의 중요성을 말한다. 또한 호흡은 ‘서로 호흡을 맞춰가듯’ 조화로운 삶의 태도와 세계관을 의미한다.” 박남희는 이에 더해, ‘습(習)’을 윤리(ethics)로 설명했다. 배우는 일은 매일매일 걷는 일처럼, 자연친화적인 공동체의 정신이 몸에 익어 체화된 윤리를 뜻한다. 그가 기획한 전시 〈산지천, 복개를 걷어내고〉가 인간 편의를 위한 개발이 초래한 자연과 인간 공동체의 아픔과 회복에 관해 얘기했듯, 예술로 자연과 인간의 공존방안에 꾸준히 관심을 기울여온 그는 “자연의 숨소리나 신체의 호흡은 직관과 비약으로 진리에 도달하는 동양적 세계관”으로 오히려 우리의 삶과 자연 공동체에 스민 드러나지 않는 현상에 관해 본질적으로 성찰하고 추적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한편, 박 예술감독은 장소성과 인류학적인 전시 주제의 결합을 도모한 2013년 청주공예비엔날레 공동감독 재직 당시를 회상했다. 해당 비엔날레의 기획전 〈운명적 만남 Mother & Child〉는 (구)청주 연초제조창의 공간 800평에 참여 작가 25명과 2개의 컬렉션을 담고, 인간이 쌓아온 제작기술과 환경적 요건으로부터 비롯되지만 결국 그 역사를 뛰어넘는 창조를 해내야하는 공예가의 숙명을 보듬고, 생존하며, 서로를 숭고한 대상으로 인식하는 엄마와 아이의 관계에 빗대어 공예의 예술성을 극대화했다는 평을 받았다. 그가 꾸려온 이제까지의 전시처럼, 이번 제주비엔날레의 장소와 개별 작품의 맥락도 긴밀하게 연결될 것이라는 기대를 모은다.

7개월가량 남은 이번 제주비엔날레는 본 전시관인 제주도립미술관을 중심으로 제주 전역에 산재한 미술 공간에서 펼쳐질 예정이다. 그는 현재까지 ‘생명과 자연, 정동’을 말해왔던 작가 45명을 초청하고 김창열미술관, 서귀포 국제평화센터, 이중섭미술관, 아트스페이스 씨 등과 “관객이 적어도 제주에 3일간 머물며” 숨을 돌릴 수 있는 비엔날레를 열고자 논의하고 있다. 미디어 작품도 관객이 ‘호흡과 걷기’로 물리적인 이동과 시야의 확장을 이룰 수 있는 것처럼, “환경에 최대한 유해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 공간에서 저 공간 너머를 볼 수 있도록” 활용할 계획이다. 실상, 박 감독이 택한 비엔날레의 서사는 복잡하고 화려하기보다 주제에 몰입하여 일견 미술관 전시처럼 느껴지는 친숙한 구성으로 짜여있다. 그 몸집보다 더 ‘야심찬’ 실험을 하다가 절뚝이는 여느 비엔날레가 아니라, 작품 사이를 제대로 걸어볼 수 있는 길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제3회 제주비엔날레는 11월 11부터 내년 2월 5까지 열린다.

조현아기자
사진 박홍순
© (주)월간미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자세히 보기

기사의 자세한 내용은 《월간미술》 2022년 4월호 월간미술  HOT PEOPLE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