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ly art
magazine

latest magazines

magazine

Monthly art magazine
May, 2018

2018 May 05.01 – 05.31

Contents

특집

집중분석! 미술진흥 중장기계획 2018~2022

지난 4월 2일. 문화체육관광부는 ‘미술로 행복한 삶’을 구현하기 위한 ‘미술진흥 중장기계획(2018~2022)’을 발표했다. 4대 추진전략, 16개 핵심과제로 이뤄진 이번 중장기계획은 향후 5년간의 정책구상을 담고 있다. 4대 추진전략의 키워드는 ‘창작’, ‘향유’, ‘시장’, ‘기반’으로 각 키워드당 4개의 핵심과제와 이하 총 44개의 세부과제로 구성됐다. ‘정당한 보상체계 마련과 미술계 일자리 창출’, ‘지역으로의 전시콘텐츠 확산과 공공미술 활성화’, ‘미술은행 기능 확대와 투명하고 공정한 시장 육성’, ‘법과 제도 등 미래를 위한 미술기반 마련’이라는 추진전략을 받아든 미술계는 어떠한 입장일까? 중장기계획 전문(全文)을 정리해 싣는다. 또한 이에 대한 정책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본다. 현재 우리 미술을 바라보는 정부의 시각과 일선 현장에서 뛰는 미술인들의 시각차가 어디에서 기원하는지 살펴보기 바란다. 이를 통해 우리 미술계가 처한 현실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모든 이를 만족시키는 정책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면 ‘갑론을박’을 거쳐 합리적 결론에 도달하여 다수에게 최대한의 혜택을 주어야 한다. 그리고 과거를 참고하여 현재를 개선하고,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정책은 현실과 이상 사이의 외줄타기와 같다. 미술정책이라는 줄타기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이의 의견을 수렴하고 적용 이후 개선의 유연성도 갖춰야 한다. 미술이 고민해야 할 지점이 바로 여기에 있다.

⠀⠀⠀⠀⠀⠀⠀⠀⠀⠀⠀⠀⠀⠀⠀⠀⠀⠀⠀⠀⠀⠀⠀⠀⠀⠀⠀

성과 목표치가 아니라 새로운 정책과 전망을 제시했어야 했다 | 박신의
우리 미술은 어디로부터 와서 어디에 있으며 어디를 향하는가? | 심상용
미술시장 측면에서 본 정부의 미술진흥 중장기계획 | 서진수

⠀⠀⠀⠀⠀⠀⠀⠀⠀⠀⠀⠀⠀⠀⠀⠀⠀⠀⠀⠀⠀⠀⠀⠀⠀⠀⠀⠀⠀⠀⠀⠀⠀⠀⠀⠀⠀⠀⠀⠀⠀⠀⠀⠀⠀⠀⠀⠀⠀⠀⠀⠀⠀⠀⠀⠀⠀⠀⠀⠀⠀⠀⠀⠀⠀⠀⠀⠀⠀⠀

목차

편제 32

편집장 브리핑 52

모니터 광장 54

칼럼 56
공공성의 분할: 〈아트 바젤 홍콩〉과 겹겹의 대화들 | 김남인

기자의 시각 58

사이트앤이슈 64 《월간미술》 誌齡 400號(1976~ )

핫피플 70 | 기사보기 
주진오
예술로 역사를 직시한다 | 박유리

핫 아트 스페이스 72

특집 76
집중분석 미술진흥 중장기계획 2018~2022
성과 목표치가 아니라 새로운 정책과 전망을 제시했어야 했다 | 박신의
우리 미술은 어디로부터 와서 어디에 있으며 어디를 향하는가? | 심상용
미술시장 측면에서 본 정부의 미술진흥 중장기계획 | 서진수

스페셜 아티스트 96 | 기사보기
김호득 상상과 환영을 빨아들이는 공간 | 박영택

작가 리뷰 104 , 110
박영근 나에게 일어나는 사건 현장 | 이선영
최영걸 동ㆍ서양화를 넘어선 ‘세밀화’의 경이로운 세계 | 김현주

전시와 테마 116
〈제주4 · 3 70주년〉 이야기해 그리고 다시 살아나 | 김종휘

화제의 전시 124 | 기사보기
〈제2회 광주화루 10인의 작가전〉 한국화의 정체성과 젊은 모색 | 김상철

해외 리포트 130 | 기사보기
〈New Museum Triennial 2018〉프레카리아트 계급의 저항과 프로파간다 | 서상숙

크리틱 138 
베트남에서 베를린까지ㆍ4인4색 동행ㆍ유령팔ㆍ송영숙ㆍ하태임ㆍ이흥복

큐레이터스 보이스 147
〈the graduation〉 | 윤혜진

리뷰 148

프리뷰 152

전시표 162

송현민의 audience odyssey 6 166
모차르트와 베토벤의 음악이 지금까지 살아남은 이유 | 송현민

유선경의 곁을 보는 시선들 7 170
애쓰지 않겠다 | 유선경

아트북 172 | 기사보기

아트저널 174

독자선물 178

표지
최영걸 〈성하산수(盛夏山水)〉(부분) 화선지에 수묵담채 190×105cm 2014
설악산 천불동 계곡의 풍경을 전통 산수화의 시점으로 재구성한 작품.
이렇듯 작가는 문인화 전통과 서양식 추상화를 결합한 자신만의 고유한 “동양화의 현대화 작업” 방식을 창조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