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想세계_낯선 정원

양평군립미술관 개관 12주년 기념

장소: 양평군립미술관

날짜: 2023.11.24.-2024.2.25.

❍ 전 시 명 :

❍ 전시기간 : 2023.11.24. – 2024.2.25.

❍ 장 소 : 양평군립미술관 전관

❍ 전시내용 : 자연(환경)에 대한 예술적 관점을 제시하는 작품 구성

❍ 작품장르 : 회화, 조각, 설치, 키네틱, 영상, 인터렉티브

❍ 작가 및 작품 수 : 28명, 70여 점

❍ 후 원 : 양평군청, 한강유역환경청, 국립양평치유의숲, 한국박물관협회,

사)한국예술단체총연합회, 사)한국미술협회, 양평미술협회

❍ 참여작가 : 강현아 고상우 김남표 김상연 김안나 김유정 김인태 김종렬 김주연

김호민 노진아 문인환 서상희 신건하 심영철 안용선 엄시문 유승형

이강화 이길래 이병찬 이성웅 이창진 정영한 조병철 최성임 홍남기

토드홀로우백(Todd Holoubek)

후원 / 양평군청 · 한강유역환경청 · 국립양평치유의숲 · 한국박물관협회 · (사)한국예술단체총연합회 · (사)한국미술협회 · 양평미술협회

관람시간 / 오전10시~오후6시 (입장마감 오후5시) / 월요일 휴관

양평군립미술관

YANGPYEONG ART MUSEUM

경기도 양평군 양평읍 문화복지길 2

Tel. +82.(0)31.775.8515

홈페이지 www.ymuseum.org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eLkYCb5-TCGMGvyaq6OGYA

이번 전시에서의 ‘이상세계’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완벽한 이상세계(理想世界), 그리고 보통의 세계와는 다른 이상(異常)한 세계를 함의한다. 또한, 이번 전시 제목에서 쓰인 ‘e’는 현대 문명을 대표하는 정보화시대의 아이콘으로 사용했다. 정확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IE(Internet Explorer)의 의미이다. 그러나, 2004년 이후, Chrome, Safari, Edge와 같은 웹 브라우저들이 개발되고, 스마트폰 혁명이 일어나면서 IE 시대 또한 저물었다. 그러한 의미에서 ‘e.세계는 현대 문명과 인간의 조화를 이루는 이상세계를 의미한다. 인간 문명의 이기는 자연을 한계상으로 내몰았고 자연은 기상이변과 재해로 인간에게 응수했다. 그러나 필요에 의해 진화한 문명은 원시인이 총과 라이터를 본 것처럼 신기하고 낯선 것과 같다. 아마도 문명이 진화하는 한 우리는 항상 새로운 ‘낯선 정원’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展은 인간을 포함한 지구 생명체의 생존을 위해 가져야 할 생태학적 시각은 무엇일까, 하는 관점에서 시작했다. 현재 인류는 대규모 감염병과 삼림파괴 등 사회시스템 전반의 기후 변화를 겪으며 인류 종말의 위기를 느끼기 시작했다. 이러한 위기를 환경과 인간의 유기적인 관계에 집중하며, 모든 생명체와의 조화로운 공존을 통해 극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번 전시는‘생명’에 대한 태도와 관점을 변화시키는 새로운 장(場)으로 바라보고자 했다. e.想세계에서의 낯선 정원은 산업화, 세계화, 환경문제, 기술적 변화 등 지구에 생겨난 변화들을 함축하는 다중적 의미를 갖는다. 인간을 둘러싼 다양한 비인간 존재들이 함께 구성되고 있는 현시대에서 우리는 무엇을 잃어가고 있는지 이해하는 동시에 무엇을 욕망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본다. 이번 전시에서의‘정원’이란 인간이 생명이라는 문제를 풀어나가면서 겪는, 인류를 지속가능하게 하려는 욕망의 표식이자 유기적 활동의 현장일지도 모른다.

展은 그 정원에 관한 네 가지의 시각으로 펼쳐진다. 자연에 내재된 강한 생명력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사유하는‘자연의 시선’, 낯익은 환경의 요소를 전복∙변주하여 빚어낸 또 하나의 생명체들의 공간‘재구성된 풍경’, 디지털과 아날로그, 물질과 비물질 같이 서로 다른 영역들을 이어주는‘이상의 숲’, 미래종(種)들과의 교감과 함께 인간과 기술의 공진화를 체험하는‘낯선 정원’의 흐름으로 전개된다. 전시는 모든 생명체의 균형 잡힌 관계를 찾아가는 여정으로 회화에서부터 설치, 조각, 영상, 인터랙티브 요소와 함께 인간이 아닌 모든 존재와의 관계들을 상호작용적으로 풀어내며 생명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전시에 참여한 28명의 작가들은 생태학적으로 내재된 개념을 토대로 다양한 방법과 관점으로 인간과 자연, 환경과 기술을 포착하고 이와 공생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 나간다. 展은 이상적(ideal) 세계를 위한 낯선 이야기로 자연과 문명을 사유하고자 한다.

1.자연의 시선

자연에 내재된 강한 생명력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관계 사유

자연은 우리를 둘러싼 모든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호흡하는 인체의 신진대사와도 같다. 고대 그리스에서의 자연(피시스, physis)은 ‘생성(生成)’을 뜻하며, 자연이란 그 자체 안에서 운동의 원리를 가진, 즉 유기적 생명체의 모든 것을 포괄한다고 할 수 있다. ‘자연의 시선’ 공간에서는 자연에 내재된 강한 생명력이 담긴 작품을 통해 자연과 교감하며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사유하고자 한다. 자연 속에서 삶의 존재가치를 찾고자 하는 작가들에게 자연은, 현실 그대로의 재현뿐만 아니라 현실을 바탕으로 한 사상과 관념이 투영된 내면의 세계이자 무한한 창조의 거대한 추상예술과도 같다.

안용선_천음-설악기행(雪嶽奇行),2018~2019, 한지에 수묵, 137×199cm

이강화_신화(Mythology), 2021, Oil on canvas, 162.1×227.3cm

김남표_The malerisch meditation#3, 2020, Pastel and oil on canvas, 130.3×324.4cm

2.재구성된 풍경

낯익은 환경의 요소를 전복변주하여 빚어낸 또 하나의 생명체들의 공간

현대 문명은 소비 증가와 물질주의로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라는 거대한 변곡점을 맞이하고 있다.‘재구성된 풍경’공간은 익숙한 사물이나 낯익은 환경의 요소를 전복과 변주를 통해 재구성함으로써 현 인류가 지구환경 전체에 대한 비전을 토대로 회복해야 할 생태공동체적 성향의 작품들로 구성된다. 쓰다 버려진 산업폐기물, 페트병, 공병, 나무, 캔 등을 수집하거나 동‧식물 등, 자연물을 주요 소재로 하여 변이된 새로운 형태의 인공물은 작가들의 기발한 상상력으로 빚어낸 예술 작품이자 또 하나의 생명체이다.

이병찬_크리처(CREATURE), 2023, 에어모터, 오로라필름지, 비닐, 포장용 플라스틱 등 혼합매체, 가변설치

최성임_맨드라미가 있는 풍경, 2023, Led, 아크릴, PE망, 실, 가변크기

이길래_三根木 3 (Pine tree with three roots 3), 2008, 동파이프 산소용접, 100×212×80cm

3.이상의 숲

자연의 변화 위 기술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창조되는 조화로운 질서와 균형

자연의 토대 위에서 인간에 의해 발달한 문명은 산업화, 도시화 되면서 환경오염과 생태계를 파괴하였다. 또한 가속화된 과학기술의 진보는 대량생산과 무분별한 소비를 야기시키며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하면서도, 동시에 인류를 비롯한 지구의 모든 생물의 생존기반을 위협하기도 한다. “이상의 숲” 공간에서는 자연과 인간사회에서 드러나는 다양성과 역동성처럼 모든 종이 뒤섞여 살아가는 생태성을 인식하고 자연의 변화 위 기술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조화로운 질서와 균형을 이야기 한다. 인류는 생물학적 환경뿐만 아니라 문화적 환경에서 사는 유기체이다. 따라서 작품은 인간과 기술, 디지털과 아날로그, 물질과 비물질 등이 조화롭게 상호작용하며 자연과 문명이 더불어 발전하기 위한 메신저로 작동한다.

강현아_흰 꽃, 2021, 초(파라핀),모터,모래,미디어, 가변설치

김유정_숨의 숲, 2022, 라이트박스, 인조식물, 천, 200X200cm(2pcs)

김안나_오션 머신(Ocean Machine), 2021, 단채널 영상, 7’10”

4.낯선 정원

인간과 기술의 공진화를 체험하는 영역들의 다이얼로그

인류는 지금, 상호관계성에 의해 균형잡힌 실천을 행하고자 하며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기계와의 공존을 거부할 수 없게 되었다. 사물은 지능적으로 변하고, 세계는 다양한 시스템을 생활에 접목시킨다. 이렇게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과 같은 기술의 발전이 우리 일상생활에 전례 없이 가속화되는 21세기에서도 생명존중의 사상은 여전히 유효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대사회는 생명 구성, 혹은 생명 구현의 방식에 대해 질문하고 새로운 방법을 찾고 있다.‘낯선 정원’은 자연에서 소생된 생명으로서의 가치를 기술, 환경, 예술 등의 관계를 통해 발견하고 확장된 인류의 생태계를 경험하는 공간이다.

서상희_‘가상정원’-에서 놀다(Flàneur in virtual garden)(ver.23-1), 2023, 3 channel video installation, 가변설치

노진아_히페리온의 속도(The Velocity of Hyperion), 2022, 혼합매체, 각140x180x140cm

홍남기_Beyond the city, 2023, 디지털애니메이션, 2채널 영상, 7’50”

© (주)월간미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lick here to add your own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