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제341호
184아트저널
192아트북
194 회원동정
197 모니터 광장
198 독자선물
200 편집후기
184아트저널
192아트북
194 회원동정
197 모니터 광장
198 독자선물
200 편집후기
특별기획 084
미술공부 무엇을, 왜, 어떻게 할 것인가?
예나 지금이나 ‘공부’에 대한 관심은 높다. 미술분야에서도 창작뿐 아니라 이론 공부에 대한 열망과 호기심 또한 대단하다.
하지만 막상 미술이론 공부를 시작하기란 쉽지 않다.
섣불리 뛰어든 공부의 바다에서 표류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미술이론 공부, 어디서부터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꼭 전문 이론가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더라도, 미술이론 공부에 관심 있거나 이제 막 공부를 시작하려는 이가 많다.
이런 독자를 위해 <월간미술>이 미술이론 공부의 길라잡이가 되고자 한다. 현직 대학교수와 이론가의 조언을 육하원칙을
통해 미술이론 공부의 육하원칙을 가늠해보는 기회가 되기 바란다.
작가
작가리뷰
122 장화진
재현의 향기, 역사의 숨결 _ 정영목
126 존 배
사운드스케이프, 하늘에서 지상으로! _ 김복영
130 윤명로
자유롭게 흐르는 정신의 흔적 _ 이지은
전시
134 화제의 전시
<미장센-연출된 장면들展>
실제적인, 너무도 실제적인 _ 전영백
156 전시초점
<금은보화展>
정교하고 화려한 한국 전통공예의 정수_이송란
140 전시리뷰
강요배·원성원·송수정·정상곤·
이명미·이민혁·최인호·구혜영
148 전시프리뷰
해외미술
월드토픽
108 <귄터 브루스-극장 무대로의 외출展>
극장 무대로 나들이 간 퍼포먼스 아티스트 _박진아
116 월드리포트
<더 잘 실패하기展>
더 잘 실패하는 23가지 방법 _ 신원정
학술·자료
162 반이정의 9809레슨 8
2005년. 극사실주의, 미적 정치적 복고풍 _ 반이정
168 재즈의 초상 3 셀로니어스 멍크
멍크의 측면상 _ 황덕호
인물·정보·기타
028 영문요약
065 에디토리얼
핫피플
066 킴 카나타니
미술관 교육, 왜 중요한가 _ 이슬비
현장
068 <지슬><비념>
제주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 _ 이슬비
170 아트저널
176 신생 갤러리
177 아트북
178 회원동정
181 모니터 광장
182 독자선물
184 편집후기
특별기획 074
한국 대학박물관에 대한 보고서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다. 이런 의미에서 대학은 오늘날 지성의 표상이요, 박물관은 어제의 유산을 간직한
보고(寶庫)다. 따라서 대학박물관은 과거와 현재가 만나 대화를 나누는 역사의 현장이다. 오래된 미래의 얼굴이다.
1961년 18개 대학박물관이 모여 한국대학박물관협회를 결성했다. 이후 현재까지 전국에 산재한 대학박물관의 수는 110여
개에 달한다. 이처럼 외형은 성장했지만 그 속사정은 편치만은 않다. 최근 사회 전반에 걸쳐 불어닥친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의
광풍에 휩쓸려 대학박물관은 더욱 소외되고 열악한 위치에 놓일 위기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한국의 대학박물관은
묵묵히 소임을 다해왔다. 매장 유물 발굴을 통한 문화유산 보존 및 역사 복원 활동이 주요 역할이었다. 이 뿐만 아니다.
고고학·민속학·미술사에 이르기까지 학교마다 차별화되고 특성화된 수집과 전시를 통해 한국 박물관문화의 다양성을
담보해 왔다. 《월간미술》은 이런 대학박물관의 이모저모를 소개하는 특집을 마련했다. 수도권 14개 대학의 박물관을 집중
소개한다. 이번 기획이 그동안 모르고 있던 대학박물관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고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작가
100 스페셜 아티스트
김홍석
절대고독, 차이, 아트 그리고 좋지도 나쁘지도 이상하지도 않은 비평 _ 김영옥
작가리뷰
136 이지현
문지방을 넘어선 체험기 _ 반이정
140 이완
‘불가능한 것의 가능성’에 대하여 _ 신채기
144 김구림
사회의 물화와 시간의 파편화 _ 김복영
전시
124 화제의 전시
<Re:Quest-1970년대 이후 일본 현대미술展>
‘未生의 미술사’ 이후에 대한, 불온한 역사적 가설 _ 박소현
130 전시초점
<젊은 모색展>
젊은 미술기계들 _ 강수미
148 전시와 테마
오브제 미술에 관하여 _ 고동연
154 전시리뷰
권여현·김백선·박경근·김현주
한성필·강서경·( )를 위한 무대·천눈이
162 전시프리뷰
해외미술
106 월드리포트
<마틴 키펜베르거展>
익살스럽고 자아도취적인 괴짜
천재의 화려한 귀환 _ 신원정
월드토픽
114 <프란츠 베스트展>
내 여덟은 어디 갔지? _ 박진아
120 <아시아를 잇는다-경계를 사는 여성들 1984~2012展>
아시아를 이으며 경계를 사는 여성들 _ 김혜신
학술·자료
170 재즈의 초상 2 찰스 밍거스
이상한 나라의 밍거스 _ 황덕호
인물·정보·기타
028 영문요약
053 에디토리얼
현장
054 미술저작권, 이제는 알아야한다 _ 이상정
058 <데이비드 살르展> _ 이건수
062 <DNA×연금술展> _ 이슬비
172 아트저널
177 모니터 광장
178 아트북
179 회원동정
182 독자선물
184 편집후기
특별기획 074
우리가 주목하는 2535 세대 작가 100人
만물의 기운이 소생하는 3월, 바야흐로 청춘의 계절이자 희망의 계절이다.
평생 딱 한 번만 받을 수 있는 상. 바로 신인상(新人賞)이다. 이제는 유명한 중견·원로작가도
신인 시절이 있었다. 영화감독 ‘입봉’이나 배우 ‘데뷔’ 또는 문인의 ‘등단’처럼 미술계에서도
개인전이나 공모를 통해 ‘작가’의 길에 첫발을 디디는 신인이 있다. 조금은 어설프고 미숙해 보일지
몰라도 이들 젊은 작가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한국미술의 미래를 짊어지고 나갈 희망의 아이콘,
‘2535(20대 중반에서 30대 중반)’ 작가의 오늘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월간미술》은 현역 큐레이터
50명의 추천을 받아 올 한 해 우리가 주목해야 할 신진작가를 소개하는 특집을 마련했다.
때마침 국립현대미술관에서도 유망주를 소개하는 <젊은 모색전>(3.12~6.23)도 열린다.
기성세대와는 차별화된 신선한 감각과 그들만의 고민으로 이 시대의 정신을 보여주는
2535 세대 작가의 모습을 살펴보자.
작가
134 작가리뷰
김병종
자연과 생명의 서정 시인 _ 윤상훈
나는 그린다. 고로 숨쉰다 _ 김병종
전시
126 전시초점
<@What: 신중국미술展>
독해에서 관조로 – 전시의 기획에 대해 _ 고원석
140 전시리뷰
당신의 불완전한 그림자
梅花 피어 천하가 봄이로다
조병왕·중력과 시간
디스로케이션·정주아
148 전시프리뷰
해외미술
110 월드토픽
<아이다 마코토展>
사회적 비판인가, 윤리적 월권인가? _ 전영백
118 월드리포트
<큰 첨벙: 퍼포먼스 이후의 회화展>
회화에 내재된 연극적 가능성을 탐구하다 _ 지가은
학술·자료
156 반이정의 9809레슨 7
2004년. 뉴미디어, 내일은 예술의 틀이 바뀔 거에요 _ 반이정
162 재즈의 초상 1 케니 드루
치열했던 젊은 날의 초상 _ 황덕호
인물·정보·기타
028 영문요약
053 에디토리얼
현장
054 뱀(蛇), 간교함과 지혜로움의 사이 _ 이원복
058 예술인복지법 & 문화예술인 협동조합 _ 이슬비
064 <상상미래展>
바다에서 만난 예술과 과학 _ 황석권
164 아트저널
169 모니터 광장
170 아트북
172 회원동정
174 독자선물
176 편집후기
특별기획 062
복원, 시간을 거스르다
2008년 2월 10일 오후 9시 무렵이었다. 설 연휴가 끝나는 날 우리 국민은 뜻밖의 비보(悲報)에 귀를 의심해야 했다. 바로 국보의 상징,
국보 제1호 숭례문이 방화로 소실되었다는 소식을 접했기 때문이다. 당시 문화재 관리 부실을 비판하는 여론이 비등했다. 문화재 정책
전반에 대한 적잖은 파장을 낳은 이 사건이 일어난 지 4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최근 숭례문 개방이 임박했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문화재 복원에 세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에 《월간미술》은 문화재 복원에 대한 특집 기사를 싣는다.
우선 일반인은 물론 미술계 내부에도 생소한 복원의 개념과 문화재 보존에 관한 일반적 설명을 싣는다. 이와 더불어 문화재와 예술품의
재질별 복원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재질별 실제 복원 사례를 바탕으로 어떻게 복원 작업을 진행했는지 전문가에게 듣는다.
복원의 현재적 정의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는 것은 어떨까? 이는 복원의 근본적 의미와 윤리 문제를 되짚어볼 계기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화제가 되고 있는 복원 현장을 지상(紙上) 방문해본다.
문화재나 미술품 복원의 다른 말은 ‘잃어버린 시간 찾기’가 아닐까 한다. 유물은 시간을 품은 ‘타임캡슐’이다. 그것을 복원하는 것은
단순히 물리적 형상을 재구성하는 의미 외에도 우리가 현재 존재하는 이유를 알려줄 중요한 단서를 찾아가는 여정이 아닐까?
작가
108 작가리뷰
이이남·되살아난 전통의 끝나지 않는 여정 _ 이향준
전시
100 화제의 전시
<신로 오타케展>
천만에! 무엇이든 처음이 어려운 법이야 _ 이진명
116 전시초점
<회전무대: 중국 현대 비디오아트展>
견고한 경계를 허무는 비디오아트 _ 이경민
140 전시와 테마
관계의 미학과 관객참여의 실상 _ 고동연
124 전시리뷰
갈라파고스·주재환·최병소
르포르타주·박승예·정혜정·홍원석
132 전시프리뷰
해외미술
102 월드토픽
<에르빈 부름展>
심연에서 부르짖는 탄식 _ 박진아
학술·자료
146 마주보기 19 전뢰진 & 김성복
쇠몽둥이를 갈아 바늘을 만드는 사람 _ 이준희
인물·정보·기타
028 영문요약
041 에디토리얼
현장
042 악재의 연속 2012년 미술시장, 양도세 난관 극복할까? _ 서진수
046 미리보는 2013년 주요 전시 _ 이준희
050 문화공장 오산 개관전 II <오산 미디어아트의 모험展>
소도시 공공미술관의 실험과 도전 _ 이준희
152 포토에세이 61
신임 대통령과 과거의 기억 _ 이강우
154 아트저널
160 아트북
162 회원동정
165 모니터 광장
166 독자선물
168 편집후기
068 특별기획
호모 픽토르, 대한민국에 말 걸기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의했다.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다!”라고. 인간의 행위는 모두 정치적이다. 적어도 지금과 같은사 회구조에서는
말이다. 2012년 전 세계는 정치적 전환의 상황에 직면했다. 이른바 G2로 불리는 미국과 중국은 물론이고 60 여나라에서 선거가
치러졌음을 상기해 볼 때, 지난 한 해는 ‘전지구적 정치의 해’로 불릴 만 하다.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대한민도국 마찬가지다. 방금 끝난
대선을 비롯해 4·11총선 등 한 해 정치적 빅이슈가 우리를 에워쌌다. 평소에는 잊고 지내다가 이러한 이슈가 생기면 비로소 정치가
우리의 일상이라고 인식한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러한 이슈와 상관없이 우리의 일상이 곧 정치라는 사실이다. 누가군를 다스리거나
누군가에게 다스림당하는 현상이 아닌 내가 사회를 바라보고 그것에 대해 발언하고, 행동하는것이 바로 정치다. 그렇다면 작가는?
작가의 작업 소재는 항상 자신의 시선으로 보는 사회다.
그 시선이 꽂히는 사회의 모습은 작가의 정치적 인식이라는 필터를 거쳐 다시 사회에 작품으로 선보이게 된다. 《월미간술》은 작가의
사회에 대한 발언 행위를 ‘정치적 행위’로 정의하고 그것을 모은 특집을 내보낸다. 지
금까지 우리 미술계는 제한된 프레임에서 작가의 정치적 행위를 봐왔음을 직시하고 새로운 프레임을 제시하는 필자들의 글을 싣는다.
또한 16명의 작가가 자신의 시선으로 사회를 바라보고 발언하는 과정과 그 결과물을 화보로 선보인다. 목적은 분명다하.
새로운 추동력을 얻자는 것, 그리고 우리의 삶은 여전히 정치적으로 진행 중임을 인식하자는 것.
작가
116 작가리뷰
이열 ·이미지 시대, 대지(大地)적 사유의 복원 _ 김복영
전시
122 전시리뷰
카타스트로폴로지·유근택
홍순명·나현·김정욱·송명진
백정기·전수현·최대진
130 전시프리뷰
해외미술
102 월드토픽
<터너 프라이즈 2012>
네 개의 시선, 하나의 캠페인 _ 이숙경
110 월드리포트
<안상수-One Eye展>
안상수가 노는 법 _ 최범
학술·자료
138 마주보기 18 차명희 & 백순실
헤이리에 살어리랏다 _ 이준희
144 논단
인스톨레이션 아트, 쿠오 바디스? _ 홍가이
150 반이정의 9809레슨 6
2003년. 위계를 평정한 양날의 칼, 팝 _ 반이정
156 아트 에세이
주체의 탈주체화, 카라바조의 그림 하나 _ 문광훈
인물·정보·기타
028 영문요약
039 에디토리얼
핫피플
040 바르티 커
피부는 당신의 삶과 역사를 담는다 _ 이경민
042 다카노 아야
작품에 펼쳐내는 나의 이상향 _ 이경민
현장
044 <2012마을미술프로젝트>
사람과 미술이 소통하는 플랫폼 _ 이경민
050 <팀 버튼展>
팀 버튼 세대와 어떤 변화들 _ 김노암
162 아트저널
168 아트북
170 회원동정
173 모니터 광장
174 독자선물
176 편집후기
특별기획 098
2012 비엔날레 리뷰
2012년 대한민국의 가을은 비엔날레와 함께 왔다. 만산홍엽 금수강산과 경쟁이라도 하듯
각양각색 현대미술의 꽃봉오리가 여기저기 피어난다. 《월간미술》은 지난호에 비엔날레
미리보기를 선보인 바 있다. 이번에는 비엔날레 다시보기다.
먼저 올해 9회째인 광주비엔날레. 9월 6일 저녁, 수천 명의 광주시민이 참여한 가운데
제9회 광주비엔날레의 개막식이 성황리에 진행됐다. 무엇보다 올해 광주비엔날레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아시아 여성 큐레이터 6인이 공동예술감독으로 참여했다는 점이다.
이들 6인 공동예술감독이 내세운 주제는 ‘라운드테이블’. 갈등 분열 경쟁을 넘어 화합과
상생, 희망이라는 민주적 이념을 담은 슬로건이다. 광주비엔날레는 이제 한국을 넘어
아시아 비엔날레의 리더이자 명실공히 글로벌 비엔날레로 성장했다. 원탁에 둘러 앉아
서로의 의견을 나누고 토론하듯 제9회 광주비엔날레의 이모저모를 꼼꼼하게 살펴보자.
이어서 9월 11일부터 11월 4일까지 55일간 서울시립미술관 본관과 서울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 홍보관에서 펼쳐지는 제7회 서울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미디어시티
서울)는 뉴미디어에 기반을 둔 동시대 현대미술의 최전선을 확인시켜준다. 총감독을 맡은
유진상(계원예술대 교수)과 협력큐레이터 3인(유키코 시카타, 올로프 반 빈든, 최두은)에
의해 꾸려진 이번 행사의 주제는 ‘너에게 주문을 건다’. 과학, 인문학, 테크놀로지가
어우러진 동시대 예술의 진면목을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월간미술》과 함께 비엔날레의 세계로 여행을 떠나보자.
전시
전시와 테마
176 피나 바우쉬 & <나우 댄스 展>
안무, 보디 아트와 리드믹 보디 사이에서 _ 김남수
138 인터리뷰
전광영・한국을 초월하고픈 열정의 작가 _ 이건수
이상남・설치적 회화, 새로운 평면을 만들다 _ 이경민
김수자・세상의 리얼리티를 찾는 순례자의 길 _ 이준희
이불・ 인간의 조건은 무엇인가? _ 이슬비
이승택・누군가 한국의 아방가르드를 물어본다면 _ 황석권
158 전시리뷰
플레이그라운드・최병민・이석주・안영나・장승택
차영석・김실비・하태범・유화수・위영일・천성명
168 전시프리뷰
인물·정보·기타
028 영문요약
073 에디토리얼
074 핫피플
토비아스 레베르거
본다는 것에 대한 고정관념을 전복한다 _ 이경민
현장
076 미술품 양도소득세, 아직도 시기 상조다 _ 정준모, 김영민, 김윤섭
080 크라우드 펀딩을 주목한다 _ 이슬비
084 서울미술관 개관
관람객을 위한 특별한 미술관이 되겠다 _ 이슬비
184 포토에세이58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는 어디인가? _ 안옥현
186 아트저널
192 아트북
194 회원동정
197 모니터 광장
198 독자선물
200 편집후기
특별기획082
2012 비엔날레 미리보기
연일 계속되던 폭염의 기세가 한풀 꺾이고 시나브로 가을로 접어드는 요즘이다. 하지만 대한민국 미술계는 비엔날레 열기로 다시 한 번 뜨거워질
전망이다. 아시아 최초의 국제비엔날레이자 한국 비엔날레의 원조 격인 <광주비엔날레>를 시작으로 9월 한 달 동안 대한민국 주요 도시에서
비엔날레가 연이어 개최된다. 그 스타트로 올해로 9회째를 맞은 <광주비엔날레>는 9월 7일 부터 11월 11일까지 6명이 공동 총감독 지휘아래 ‘라운드
테이블(Round Table)’잉란 주제로 화려한 막을 올리고, 나흘 후인 9월 11일 <서울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가 두 번째로 바통을 이어받는다.
올해로 7회째인 <서울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는 ‘Spell on YOU’라는 주제로 서울 시립미술관과 한빛미디어갤러리등 서울 전역에서 11월 4일까지
계속된다. 이 행사는 지난 2000년 새로운 밀레니엄의 출발을 계기로 서울시에서 야심차게 선보였던 전시 <미디어_시티 서울>을 계승 발전시켜
오늘에 이르렀다. 이어서 <대구비엔날레>가 9월 20일부터 10월 28일까지 대구문화예술회관과 대구예술발전소(구KT&G), 봉산문화회관
대구시내 일원에서 개최된다. 올해 4회째인 <대구사진비엔날레>는 사진이라는 특정장르를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여타 비엔날레와는 차별화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그리고 9월 22일부터는 <부산비엔날레>가 ‘배움의 정원(Garden of Learning)’이란 주제로 11월 24일까지 64일간의
대항해를 펼친다.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큐레이터 로저M. 브뤼겔이 전시감독을 맏ㅌ은 이번 <부산비엔날레>는 일반시민으로 구성된 특별한 형태의
조직인 ‘배움위원히’와 함께 준비됨으로써 색다른 기대를 갖게 한다. 이뿐만 아니다. 대전에서도 비엔날레 형식의 국제미술제가 처음 시작된다.
KIST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비롯해 많은 과학연구소를 거느린 대덕연구단지에 인접한 대전시립미술관이 주도적으로 기획한 <프로젝트 대전>이
그것이다. 9월 19일부터 11월 18일까지 열리는 <프로젝트 대전>은 이미 고유명사가 된 ‘비엔날레’라는 명칭을 전면에 내세우지는 않았지만 미술과
과학의 접합이라는 테마를 앞세워 향후 2년마다 정기적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이와 같은 올해 한국의 비엔날레 열품은 <베니스비엔날레>와 <카셀도쿠멘타> 그리고 <뮌스터조각프로젝트>가 20년 만에 겹쳐서 열렸던 2007년의
열기를 연상케 한다. 당시 전 세계 미술 애호가들은 ‘그랜드 투어(GrandTour)’라는 슬로건 아래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유럽으로
몰려들었다. 그렇다고 해서 한국의비엔날레 풍년을 마냥 낙관적으로만 볼 수도 없다. 이 조그만 땅덩어리에 우후죽순처럼 생긴 비엔날레의 과잉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기 때문이다. 지나치게 경쟁적이고 소모적이지 않냐는 따끔한 충고애 귀귀울여야 할 것이다. 《월간미술》은 개막을 한 달여 앞둔
지난달, 비엔날레 현장을 직접 다녀왔다. 아무쪼록 이번 특집 기사가 비엔날레 관람의충실한 기랄잡이인 동시에 앞으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발전을
기대하며 비앤날래를 차분히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작가
164 작가리뷰
박은선・박은선, 20년의 발자취 _ 엔리코 마테이
168 마주보기 16 박영숙 & 김옥선
시시콜콜한 얘기 속에
시시콜콜하지 않은 이야기 _ 이준희
174 성우제의 뉴욕의 이방인 11
한무권・환타지월드, 비디오 모험으로 발견하다 _ 성우제
전시
전시와 테마
134 <노스탤지어는 피드백의 제곱展>&<광:선展>
백남준 세계에 대한 21세기적 해석이 필요한 전시기획 _ 김은지
140 폭력과 연관된 이미지를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_ 고동연
146 전시리뷰
글과 그림・허구영・박홍순・노세환
우주+림희영・강현욱
152 전시프리뷰
160 인터리뷰
곽훈・빈 공간이 내는 소리 _ 이경민
차우희・오디세이의 배, 인왕산에 정박하다 _ 이준희
해외미술
126 월드토픽
<알프레도 자르展> 알프레도 자르, 저항의 작가 _ 신원정
학술·자료
178 반이정의 9809레슨 4
2001년, 진압된 19禁 예술 _ 반이정
인물·정보·기타
028 영문요약
065 에디토리얼
066 핫피플
가와마타 다다시
내 작업의 원천은 장소, 지역과 사람 _ 이경민
현장
068 2012 상반기 미술시장
역사를 바꾸는 서구, 침체 상황의 아시아 _ 서진수
072 <리얼 디엠지 프로젝트 2012>
비무장지대의 참된 모습을 되묻다 _ 이슬비
184 포토에세이57
아름답지만 슬픈 은유의 다큐멘터리 _ 이민호
186 아트저널
192 아트북
194 회원동정
197 모니터 광장
198 독자선물
200 편집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