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획] NEW FACE 100

contents 2014.02. Special Feature | NEW FACE 100
동덕여대에서 <우수졸업작품전>을 개최하고 10회에 걸쳐 진행한 이유는 무
엇인가?

‘미술의 향방’이라는 첫 번째 전시의 제목이 시사하는 것처럼 이제
막 작가가 되려는 사람들을 주목해 앞으로 미술이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지
제시해보자는 것이었다. 동덕여대 회화과가 그 바탕을 제공하고 서울과 수도
권 대학이 협력관계에서 교류를 해보자는 취지에서 시작했다. 우리 학생들만
내부적으로 주목하자는 것이 아니라 문호를 개방해서 졸업생의 작품을 한자
리에서 볼 수 있는 장을 마련하자는 것을 학교 공식행사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중간에 커다란 부침이 있었지만 그 와중에도 지속
할 수 있었던 것은 이 전시를 계속하겠다는 교수들의 의지 덕분이다. 현실적
인 얘기를 하자면 큰 액수는 아니지만 매년 학교가 일정 정도 예산을 지원했
는데 올해는 공식적인 지원이 없었다. 이번 전시는 학과 내부 재정으로 진행
한 것이다. 참여자들에게 따로 참가비도 받지 않고, 디스플레이도 우리과 교
수와 학생들이 다한다. 대규모 전시는 아니지만 전시를 준비하고 도록을 제작
하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10회에 걸쳐 전시를 지속하다보니 각 대학에서 관례적인 행사처럼 여기고,
별 의미가 없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 같은데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 전시
는 졸업생들이 모여 친목 도모하자는 취지가 아니다. 졸업전에 출품한 작품
중에서도 우수한 작품을 선보이는 전시이다. 그런 점에서 참여 대학과 참여
학생부터 지지해주고 의미를 부여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1999년에 열린 <공장미술제>를 비롯해 2000년 초 젊은 작가와 관련된 전시
가 쏟아졌다. <우수졸업작품전> 역시 당시의 추세를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
나?

확실히 당시는 한국 현대미술계가 ‘영아티스트’, ‘신진작가’를 화두로 하
고 있을 때였다. 대학이 보수적이고 변화를 빨리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해도
이 시기에 우리 대학은 동시대미술의 경향성에 반영한 것으로 본다.
1999/2000/2001년 이 시기는 어떻게 보면 미술의 골든 에이지였다. 미술
이라는 굉장히 추상적이고 모호한 개념이 가장 중요했던 시기로 에너지가 넘
쳤고 다들 그 흐름을 타는 데 바빴다. 이후부터 미술 개념보다 작가 지원기금, 레지던스, 미술시장 등 미술 제도가 우월해졌다. 상황이 역전된 것이다. 원래
예술가를 지원하기 위해 생겨났는데 지금은 이 제도와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
해 역설적으로 젊은 작가라는 자원이 필요해졌다.
요즘에는 정말 젊은 작가들이 참여하는 전시가 많은데 그중에서도 이 전시의
특징이나 역할이 있다면 무엇인가?

날것 상태로 보여지는 첫 번째 무대. 그
게 이 전시의 큰 의의다. 각 대학의 졸업작품전도 있지만 각각 대학의 파편화
된 전시와 당대의 스펙트럼을 만들어내는 이 전시는 다른 얘기다. 여기에서
대단한 스타 작가, 이머징 아티스트를 뽑아내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다른 공
모전에 해당할 것이다. 이 전시는 이름 자체도 노골적이다. 근데 이 상태에서
제대로 의미부여가 되지 않으면, 작가로서 성숙해질만한 연결고리를 찾지 못
하고 자신이 작가라고 떵떵거리게 된다. 대학을 졸업하고 미술을 하는 것이
무엇인지, 미술계에서 어떤 식으로 커뮤니케이션하고, 어떤 작업을 해야 하
는지, 작가들은 스스로 공부하면서 성장해야 한다. 작가들은 아시아프에 출
품하는 것과 프로젝트 스페이스 다방에서 전시하는 것을 똑같이 생각한다. 여
기 심사하는 사람들 역시 사람이 달라도 인식이 다르지 않다. 각각의 포지션
을 엄격하게 인식해야 한다.
그동안 참여 작가들을 살펴보면 어떤 변화가 보이나.
이번 전시 도록에 그간
참여 작가 500여 명 중 현재 활동하는 작가의 근작을 담은 아카이브를 수록했
다. 시간이 지나서 작가로 남은 사람은 정말 소수다. 시간의 마모가 크다. 작
가들은 버텨야 한다. 전반적으로 미술대학 학생들이 가지는 감수성과 테크닉
좋고 자기주관적인 그림이라는 점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하지만 미술에 대
한 태도는 달라졌다고 본다. 그림이 사적인 게 아니라 그림 그리는 게 사적인
일이 되어버렸다. 작업이 고백적인 것이 아니라 너무 노골적으로 솔직하고 소
박하다. 이것은 한국 사회 젊은 세대의 문화적 삶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성적
으로 매우 민감해졌고 의식의 장벽, 가치판단이 없어졌다. 그렇다고 창조적
상상력이 확장된 것은 아니다. 페이스북에 자신의 누드나 일상을 노출하는 것
과 마찬가지로 예술을 이해하는 것이다. 예술가가 된다는 것에 대한 정체성이
없는 상태에서 예술가라는 이름이 부여되는 것이 문제다.
요즘 젊은 작가들은 작업하는 것만큼이나 살아가는 것 자체에 대한 고민이 많
아졌다.

지금만큼 예술과 사회가 동일화된 적이 없다. 문제는 예술과 삶이 너
무 밀착되어 있다보니 예술이 너무 희박해졌다는 것이다. 사는 것 자체, 생존
이 절체정명의 문제가 돼서 내가 자존감 가지고 산다는 것까지 삶이라면 예술
이 생계와 삶의 문제의 중요한 도구가 된 것이다. 예술과 생계는 층위가 다른
문제다. 먹고 사는 문제가 전부인 세계가 있는가 하면 그게 전부가 아닌 삶을
선택한 쪽이 예술계인데, 생계문제로 모든 것을 재단하니 예술이 없어진다는
얘길 하는 것이다. 예술가가 돈을 벌고 명성을 쌓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돈을
벌고 명성을 쌓기 위해 예술을 하는 것이 문제다. 예술을 하다보니 명성이 쌓
이고 돈을 벌게 된 것과는 인과관계가 다르다.

이슬비 기자

동덕아트갤러리에서 열린 설치광경

[특별기획] 공간 점유하기, 삶의 균형을 위해

contents 2014.02. Special Feature | 공간 점유하기, 삶의 균형을 위해

위 왼쪽・정승혜 <Dear. 여린 과거를 지킨 강건한 당신을 위해>
가변크기 혼합매체 2013
오른쪽・조혜진 <나선형 기둥을 가진 종려나무>
인조 도시루 나무 석고 160×160×220cm 2013
아래・조재영 <Sculpture in the blank>
카드보드 인화지 작업실에서 옮겨온 물품 2013

위・이홍한 <354-77>
철 260×250×225cm 2013
가운데・이미래 <일본식 꽃꽂이 조각>
석고 시멘트 먹 단열재 나무 차간막 가변설치 2013
아래 왼쪽・이수진 <Lumizing Sequence>
목재 끈 혼합재료 가변크기 2013
오른쪽・김정은 <Where is your destination-waving
the green road> 지도 책 110×27×79cm 2011

김다움 <If someone hates u for no reason give that jerk a reason> 벽에 상감기법 드레멜 칼 퍼티 아크릴 가변크기 2014

아래 왼쪽・김종희 <흔들리지만
흔들리지 않는>
흰 회기 위에 회색 자수 삼각대
88×215cm 가변설치 2013
오른쪽 위・김상진 <Meditation>
목탁 스피커 방석 혼합재료
200×200×40cm 2013
아래・김덕영 <Making Crack
(Push or Pull)>
합판 각재나무 수성페인트
가변크기 2013

왼쪽 위・강준영 <Nostalgia+This is it>
glazed ceramic turntable
50×50×52cm 2010
아래・임유리 <삼십살의 캠프파이어>
waste wood magnifying glass stained
glass film bamboo blind grill butane
gas solid fuel fire extinguisher
가변크기 2013
오른쪽 위・추미림 <WWW. the
world where we live in>
혼합매체 설치 2011
가운데・정운 <하나의 검은
프레임과 하나의 흰 프레임>
IKEA 흰 나무 액자 검은 나무 액자
120×90cm 80×90cm 2011
아래・정문경 <Fort>
used clothes mixed media
300×300×270cm 2013

위 왼쪽・정효영 <Supersensible clash> needlework on artificial leather thread toys wood
wire hose table motors sensor LED light 110×65×170cm 2011
오른쪽・정기훈 <무동력 여행> 나무 부표 로프 천 105×210×220cm 싱글채널비디오 35초 2014
가운데・서영덕 <Meditation 11> Chain 50×40×70cm 2013
아래 왼쪽・오종원 <짓다> A4용지 가변설치 2012
가운데・민진영 <The green stairs 2> Fabric acrylic LED Lights 210×150×170cm 2013
오른쪽・오완석 <0+play> pemat installation 2013

왼쪽 위・이병찬 <Laputa, urban-creatures>
설치 2013 복합문화공간 에무 전시광경
가운데・최윤석 <올해의 질량 2012Mass
of the Year> 2012 한 해 동안 수집한 영수증
가변크기 2012~2013
아래・이수성 <낙원>
나무 250×250×120cm 2013
한국현대문학관 입구 설치광경
오른쪽 위・이지아 <명자>
오브제 설치 280×260cm 2012
가운데・김준명 <무제(playing god)>
세라믹 가변크기 2012
아래・권용철 <Chain Reaction_
The movement series_study00>
혼합재료 가변설치 2013

위・유화수 <드라마 세트장에서 일을 하는 작가>
나무 석고보드 장판 벽지 시트지 4×2.5×3m 2013~
가운데・강한별 <Dawn>
가변크기 설치 2013
아래 왼쪽・송유림 <When it turns to something awful>
복합매체 가변크기 2012
오른쪽・박영진 <마주하기로>
wood glass acrylic mirror 180×90×110cm 2012

왼쪽 위・윤하민 <누가 사냥을 하든지
간에_스테인드글라스>
창문에 드로잉 61×88cm 2012
아래・염지혜 <외국인(Solmier)>
싱글채널비디오 조각 3분39초
컬러 사운드 스틸 우레탄폼 빵 전등
오른쪽 위・김수환 <즐거운 나의 집>
영상 아크릴 채색 수집된 비닐
스티로폼 플라스틱 병 사운드 4분45초
245×520cm 2012
가운데・권동현 <철거 표식을 위한 위장무늬 #2>
디지털프린트 150×225cm 2012
아래・천성길 <풍선 코끼리>
합성수지 우레탄도료 2013

위・이종건 <Blue sky> Engraving on antique hardwood flooring enamel Paint 180×378.5×7cm 2013
아래・길종상가 <네(내) 편한세상> 대림미술관 프로젝트 스페이스 구슬모아 당구장 설치광경 2013
일반인과 달리 특정한 날짜와 시간개념의 기복이 심해, 며칠 동안 작품 제작하는 것도 모자라 단기간 아르바이트나 언제 잘릴지 모를
대학 강사, 새로운 작품을 끊임없이 구상하며 국내외 유수한 레지던시 공모에 응모하고 떨어지기를 반복하는 것, 이것이 나의 일상이
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몇 안되는 젊은 작가들 사이에서 명과 암이 극명하게 갈라지는데, 이것은 매번 승자독식의 경쟁. 어느 한쪽
의 희생을 전제로 한다.
이 험난한 길은 자연히 작가로서 인정받거나 작품전시에 기회를 받기 위해 미술제도권 내에 끊임없이 자신을 노출할 것을 요구한다.
그 길에서 작품이 잘 팔리는 스타작가, 안 팔리는 작가, 미술교수이면서 작가, 기타 등등의 작가로 분류되고 선택된다. 7할은 네오룩과
같은 웹사이트에 올라오는 공모전과 전시 정보, 월간지에서 소개되는 현대미술 작품과 작가들을 보며 꿈을 키워나가지만, 이 꿈은 좇
아 올라갈수록 허망하기만 하다. 선택된 작가가 아니라면 온갖 공모전과 레지던시 입주작가 선정 심사를 통과해 그 기회를 받아야 되는
데, 이럴 때는 과정 없이 잘 짜인 작업의 형태로만 평가받아야 한다. 그때마다 마주하는 심사위원들에게 작업에 대한 오해를 받으면서,
결과야 좋든 나쁘든 유통기간(수혜기간)이라도 주목받고 싶어서 다시 지원하게 된다.
이 사회에서 젊은 예술가로 살아가는 것은 다른 사람들과 달라도 너무 달라 현재 수만하은 젊은 작가가 어려운 처지에 중도포기해야
되는 기로에 서 있다. 이러다간 젊은 작가의 씨가 말라버릴 지도 모른다. 나는 지방대를 나와서 예술의 중심인 서울로 편승하기 위하여
수많은 수도권 전시와 레지던시에 공모하여 젊은 작가로서의 기회를 얻고자 했다. 지난 2006~2007년 무렵, 대학원 재학 중에 운전의
경험을 표현한 <야간운전> 시리즈는 메이저 공모에 선정되며 작품이 하나, 둘 팔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2008년에 미술시장의 거품이
빠르게 꺼지면서, 그림은 팔리지 않았고 형편은 곧 어려워졌다. 그것은 유년시절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종사하신 택시기사 직종이 한때
는 선망의 대상이었지만,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보잘것없는 직업으로 몰락하는 과정과도 같았다. 이렇듯 자본주의 사회에서 미술제도
권 역시 젊은 예술가들에게는 보장받는 삶이란 로또와도 같다. 그렇기 때문에 나 역시 매번 갱신되는 예술구조 속에서 살아남을 길을
택하려면, 작품을 판매하거나 각종 레지던시와 지원금을 받아 활동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 다른 젊은 작가들은 어떻게 살아나가고 있
을까? 그리고 나는 누구의 어떤 모습을 보고 배워야 할까.
그래도 나는 이런 불안한 삶 속에서 젊은 작가라는 이름으로 특권을 누리고 있다는 생각은 여전하다. 과거 독재정권과 맞서 싸웠던
선배 세대들은 진지함을 너머 참혹함 속에서 견뎌냈다고들 한다. 그런데 내가 바라보는 현재의 풍경들은, 대다수가 미술판에서 기득권
행사나 정당성을 주장하는 것으로 자신만의 경쟁력을 갖추는 것 같다. 지금 같은 상황에서 젊은 작가가 살아남을 수 있는 경우는 돈 걱
정 없는 집에 태어나 작업하는 것, 돈 많은 배우자를 만나는 것, 돈과 권력이 있는 계층과 네트워크 파워를 갖추는 것, 어떻게든 SNS와
방송 출연으로 화제를 몰고 가며 활동하는 것뿐인가?
혹시 조용히 작업하면서 시스템이 붕괴되어 새날이 올 때까지
묵묵히 작품 활동을하면, 작가로서 정당한 생활을 유지하는 시
대를 맞을 수 있을까? 그것도 아니라면 이 시대에 오직 작품으로
만 인정받을 수 있는 문화적 인프라는 없는 것일까? 많은 사람이
불확실성의 시대라고 지적하면서 ‘나만의 경쟁력’을 갖춰야만
행복해질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오늘날. 이런 사회 속에서 ‘예술
로 세상을 바꿔보겠다’라는 말도 안 되는(물론 그럴 능력도 없겠
지만), 그림도 그리고 다양한 예술 프로젝트를 통해 일개 작가로
서 사회 변화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는 예술을 한다는 것은
망상일까? 승자 독식의 구조가 아닌 공생의 관계로서 사회와 더
불어 예술의 길을 함께 찾아갈 수는 없을까? 그리고 내가 수혜를
입을 때 뒤에 있던 작가들과 후배들을 위해, 장차 내가 받은 것을
일부라도 돌려줘야 할 책임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 ●
홍원석 <멈춤의 다리> 캔버스에 유채 720×1000cm 가변설치 2013

[특별기획] 미디어에 대한 고민, 주체적인 시각을 위한 조건

contents 2014.02. Special Feature | 미디어에 대한 고민, 주체적인 시각을 위한 조건

위・최준경 <The Urban Goddesses>
디지털프린트 가변크기 2010~2013
아래・정지현 <Demolition Site 06 Outside>
Pigment print 115×155cm 2013

왼쪽 위・이상재 <물방울, 비너스 #01>
Pigment print 72×54cm 2013
아래・원서용 <Umbrella>
C-print 160×130cm 2013
오른쪽 위・김형 <My family story in
the mirror>
Pigment Print 56×61cm 2013
가운데・류현민 <Measuring Horizon>
pigment ink 34×50cm 2013
아래・조규성 <#6>
Pigment Print Mounted on Plexiglas
120×150cm 2008

[특별기획] 보는 것, 포착하는 것, 남은 것

contents 2014.02. Special Feature | 보는 것, 포착하는 것, 남은 것

위 왼쪽・장규정 <언노운 디테일스 : 창가에서> HD 비디오 8분 2013
오른쪽・박승진 <지울 수 없다(not to rub out a mistak e)> HD 비디오 3분26초 2013
아래・송진희 <언니야 집에 가자> 생활비디오 채널 5분 2013

위・발렛파킹 <강 약 중간 약> 2011~2013
가운데・이진경 <쾌락의 정원> 비디오 6분11초 2011~2013
아래 왼쪽・김지선 <웰스틸링> 영상 2012
오른쪽・안성석 <OPEN PATH-관할 아닌 관할> VR server PC custom-made joystick sound 2013

위・차재민 <Trot Trio Waltz> HD 비디오 컬러 사운드 10분
가운데・윤지원 <이것은 예술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예술이 아니다>
컬러 디지털 비디오(스틸컷) 32분34초 2013
아래 왼쪽・함정식 <The Preyer> HD video 26분 2014
오른쪽・문소현 <텅> 싱글채널비디오 12분47초 2012

위・차미혜 <무인칭을 위한 노래>
2채널 HD 비디오 8분45초 2013
가운데・김지희 <Audition>
영상 29분6초 2013
오른쪽・강정석 <야간행>
HD 스테레오 44분38초 2013

[특별기획] 막연한 가치 전복하기, 암묵적인 동의 균열내기

contents 2014.02. Special Feature | 막연한 가치 전복하기, 암묵적인 동의 균열내기

위・인세인박 <I need sex everyday _
steel, urethane paint, neon>
커스텀프린트 조명등 가변설치
125×150cm 2013
가운데・신정균 <옥류체로 쓰여진 노래>
나무 패널에 페인트 각 420×60cm
2013 (텍스트 출처-남자 아이돌 그룹
EXO의 노래 ‘으르렁’ 가사 중 일부)
아래・이병수 <스쿠아의 공격을
예술적으로 대처하는 7가지
방법(관악무브 협업)>
싱글채널비디오 4분 2013왼쪽 페이지
위・전미래 <Madame Jeon –
Home ground>
퍼포먼스 1시간 300m 금색 쇠사슬
2013 아트광주13 광경
아래 왼쪽・고재욱 <Die for-you can
sing but you can not>
혼합매체 185×185×185cm 2013
오른쪽・이미정 <명언짓기#6>
화선지 위에 먹 28×70cm 2011

Art book

i08_2

 

i08_3

예술은 우리를 구원할 수 있을까? 아도르노 연구자인 이순예는 지난해 출간한 저서 《 예술과 비판, 근원의 빛》에서 이 같은 물음을 부제로 달았다. 저자는 테오도어 아도르노의 문명 비판적 시각을 발판 삼아 독일 철학적 미학의 발전 과정을 연구한 박사학위 논문을 토대로 현대 사회에서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탐구한다.
저자는 21세기로 접어든 현 시점에서 ‘근대의 원형’을 다시 본격적으로 들여다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까닭은 현재 인류가 겪는 문제들이 바로 근대의 결과물에서 비롯되고 있기 때문이다. 세상 만물을 모두 분석할 수 있다는 도구적 사유에 토대를 둔 근대 과학주의는 물질적 풍요를 가져왔지만 인간의 자아를 분열시키고 자본주의적 생산관계의 부작용과 모순, 환경파괴 등 문명의 피로감을 양산했다. 이를 극복할 방안으로 저자는 칸트에서 비롯된 독일 비판철학의 전통에 주목한다. 이때 ‘비판’은 ‘영역을 구분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저자는 “일찍이 칸트의 비판철학은 이성의 가능성과 불가능성을 구분하고 이성을 막다른 지점까지 밀고나가 한계지점들을 밝혀내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이 책은 계몽의 용기를 역설하는 문장으로 시작해 당시 군주인 프리드리히 대왕에 대한 복종을 요구하는 문장으로 끝나는 칸트의 1784년 논문 <계몽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변>을 중요하게 분석한다. 이 논문으로 오늘날까지 칸트가 계몽의 대상과 주체를 두고 일관되지 못한 논지를 폈다는 논란이 일고 있지만 이에 대해 저자는 “한마디로 자유는 바라면서도 사회 혼란은 막고 싶은 철학자의 생각”이라고 말한다. “칸트는 프리드리히 대왕치하 계몽 절대주의 체제에서 생존권과 자유를 유지할 방도를 고민했다. 이성의 공적 사용과 사적 사용을 ‘구분하라’는 칸트의 주장을 우리는 권력과 자본의 지배를 받는 공적 관계에 너의 인식을 모두 넘겨주지 말라는 명령으로 읽을 수 있다. 칸트가 제기한 ‘영역부분’의 요청을 푸코는 ‘지배받지 않으려는’ 비판의 태도가 발현된 것으로 파악했다.”
그런데 문제는 현대 자본주의 세계체제가 칸트가 살았던 프리드리히 대왕 치하의 시대보다 훨씬 강력한 힘을 발휘하며 개인을 포섭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20세기 후반부터 계몽의 용기보다 체계로부터 벗어나 개별성의 영역을 지켜내려는 선긋기에 더 많은 이론적 노력이 기울여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저자는 탈근대 담론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권위주의의 해체라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개별성을 발판으로 근대 과학주의를 극복하겠다고 나섰다가 개인의 부족에 발목이 잡힌 채 결국 체계의 확대재생산에 기여했다.” 탈근대 담론의 가장 큰 문제는 “공동체 구성과 개인의 행복 사이의 긴장관계를 없애버린 것”이라고 강조한다. “사회는 질서와 자유의 연대로 유지되는데, 오늘날 권력층은 더욱 자기들 마음대로 하고 담론은 현실과 분리되어 담론이 권력의 자장에서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말로 권력을 전복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공동체의 회복은 시민들 각자가 사회 활동의 토대로 책임감을 가질 때만 기대할 수 있는 사안이라고 역설하며 “누구든 사회 구성원으로서 국가와 사회라는 기계의 부품으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자기 계몽의 용기를 발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이유에서 저자는 예술을 재계몽의 담당자로 설정한 아도르노의 철학에 기대를 건다. “아도르노는 예술만이 체계의 폭력성을 인지하고, 이성의 자기반성을 매개할 수 있다는 칸트의 관점을 현대적으로 해석했다. 신분제 사회에서 시민사회로 넘어오면서 예술이 종교, 윤리로부터 분리되어 자율성을 획득한 것은 예술작품이 활성화시키는 반성능력이 사회 통합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예술은 분열된 채 살아가는 개인에게 자신을 돌아볼 수 있게 하는 거울 구실을 하는 ‘허구’로서, 개인이 자신을 회복하게 만든다.” 그런데 문제는 자본주의가 발전하면서 예술이 대중에게 다가간다는 미명아래 분열 자체를 실체화하고 조각난 욕망을 충족시키면서 오히려 자본주의 체제에 포섭되었다는 것이다. 저자는 “예술이 갈수록 체계를 한층 공고화시키는 역군을 자처한다” 며 현대 사회에서 예술의 역할이 왜곡되고 있음을 날카롭게 지적했다.

저자는 관객 참여형 예술에 대해서도 비판적이다. “내가 마치 작품에 참여함으로써 세상의 구성원이 된다는 확신을 주는 것 역시 신자유주의적 발상이다. 세상은 그리 만만하지 않다. 이 세상이 설명 가능하고, 내가 참여하면 뭔가 이루어진다는 환상을 주는 것은 예술이 아니다.” 저자의 견해에 따르면 예술의 핵심은 긴장이다. 요즘 예술계에서도 유행하는 힐링열풍은 문제를 왜소화게 만드는 것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다. 저자는 예술이 삶의 고통을 철저하게 파고들어 정확하게 들여다보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술은 몸이 기억하는 고통을 표상가능한 형태로 현실세계에 불러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분열된 존재로 추락시키는 체계의 폭력성을 주체적으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자기 분열’이라는 근대적 병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게 만든다.”
이슬비 기자

이순예는 1958년 대전에서 출생했다. 서울대학교 독어교육과와 대학원 독문과를 졸업하고 독일 빌레펠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을 역임했다. 저서로 《아도르노와 자본주의적 우울》, 《예술, 서구를 만들다》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여성론》, 《발터 벤야민》, 《부정변증법 강의》 등이 있다. 미학과 예술론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Art Journal

[bold_title]숨을 담은 작가 천경우 대중과 호흡하다[/bold_title]

i09_4

삼성미술관 플라토 빌보드 프로젝트, 제일모직 구호광고 캠페인 참여해

사진가 천경우가 삼성미술관 플라토와 구호(KUHO)와의 협업를 통해 작업을 선보였다. 장노출로 찰나보다는 시간이 내포된 대상을 카메라에 담는 천경우는 삼성미술관 플라토가 기획한 빌보드 프로젝트의 첫번째 작가로 참여했다. 빌보드 프로젝트는 열린 미술관을 지향하는 삼성미술관 플라토가 전시장 문을 나서 시민과 소통하는 새로운 형식의 전시이다. 작품은 광화문과 숭례문 사이를 잇는 세종대로에 위치한 3곳(플라토 앞 2곳, 태평로빌딩 옆 1곳)의 대형 빌보드에 설치됐다.

이번에 선보인 작품 <Three hands(세 개의 손)>는 ‘호흡(Breathing)’과 ‘사물들(Things)’의 합성어를 제목으로 한 사진연작 <BreaThings>(2008~2009) 중 3점으로 구성됐다. 손에 들린 오브제와 그것을 들고 있는 사람의 ‘숨’을 카메라에 동시에 담아 사물과 사람을 하나의 공간과 시간의 덩어리로 일체화했다. 개인과 그의 사적인 사물 간의 내밀한 대화를 추적한 이 작품을 도시의 공공장소에 배치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다각적인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사진의 기계적 메커니즘을 넘어 인간 내면을 포착하는 작가의 예술세계를 살펴 볼 수 있는 작품은 1월부터 2달간 설치되었다. 빌보드 프로젝트의 두 번째 참여 작가는 미정이다.
이뿐만 아니라 천경우는 제일모직의 미니멀 아방가르드 패션브랜드 구호(KUHO)의 ‘2014 SS시즌 광고 캠페인(SS AD Story)’을 협업했다. 구호는 작업의 모티프를 ‘상호간의 교감’에서 찾는 천경우와 ‘독일 실용주의 미학’에서 연결고리를 찾았다. 이에 이번 콜라보레이션의 제목을 선험적인 감각, 직감의 의미와 ‘실재로 있음(Presence)’을 조합하여 ‘Pre-sense’로 정했다. 촬영에는 중국 출신의 떠오르는 모델 씨씨 시앙(Cici Xiang Yejing)이 참여하여 3일간 진행되었다.
모델이 카메라 앞에서 일방적으로 옷을 드러내는 행위가 아니라 작가가 선택한 옷을 입고 패션소품을 들었을 때의 느낌을 기억한 후 물건 없이 자신의 감각으로 19분간 촬영했다. 카메라 앞에 축적된 이미지로 소통과 시간을 담는 천경우의 작품세계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구호의 이번 광고캠페인은 공식 홈페이지(www.kuho.co.kr)에서 볼 수 있다.

[bold_title]한국 미술의 최신 정보, 이곳에[/bold_title]

i09_6  i09_7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디지털정보실 개관

지난 2월 11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디지털 정보실이 문을 열었다. 일반인 누구나 이용가능하다. 국내외 미술 관련 정보를 서비스할 목적으로 개설된 디지털정보실은 2개 층 약 1,500㎡의 이용 면적에 도서관 및 아카이브실을 운영한다. 2층에 위치한 디지털도서관에는 미술관 출판물, 현대미술 관련 단행본 및 전시도록, 연속간행물 등이 비치되어 있고, 전자책과 미술관련 웹 DB를 서비스한다. 3층 디지털 아카이브에서는 싱글채널비디오, 작가 인터뷰 등 미술관 소장 영상 아카이브 200여 점을 감상할 수 있다. 특별열람실에서는 한국 현대미술가 100여 명의 자료를 열람할 수 있다.
한편 개관을 기념하여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한 아카이브를 전시하고, 소 개하는 코너도 다양하게 마련됐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에는 한국 근현대 예술가 연구를 위한 자료 11,000여 점, 1969년 이래 미술관의 활동 역사를 담고 있는 기관자료 50,000여 점이 소장되어 있다. 또한 작년에 미술관에 신규 소장된 근대미술 아카이브 및 박현기 컬렉션 일부도 선별·공개됐다.
또한 동시대 작가의 아카이브인 ‘한국 현대 미술가 파일’ 중에서 한 명씩 선별해 아카이브 전시를 선보였다. 그 첫 번째로 마련된 ‘구본창 아카이브 특별전’에서는 작가이면서도 한국 사진계에 큰 영향을 미친 그의 전시 기획 자료가 공개됐다. 그리고 1990년대 말 구본창이 동숭아트센터 내에 운영했던 예술사진 전문숍 ‘워크숍 9′(아래 사진)가 그대로 재현됐다.
지난해 10월 말 개소한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연구센터는 서울관 디지털정보실 개설을 계기로 비로소 미술아카이브에 대한 일반인 서비스 기능을 갖추게 됐다. 과천관이 아카이브의 원본자료를 수집-정리- 보존하며 전문 연구자들을 상대로 하는 서비스를 위한 공간이라면, 입지조건이 좋은 서울관 디지털정보실은 일반인을 위한 디지털 자료의 서비스를 위주로 하되 도서관(library), 아카이브(archive), 미술관(museum)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라키비움(larchivium)’ 성격을 지향하고 있다.

 

Hot Art Space

독특한 재료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조각가 지용호가 을 제목으로 개인전을 가나아트센터(1.23~2.16)에서 열었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기존 작업에 사용했던 폐타이어라는 인공물에서 벗어나 자연물인 조개류를 선택하여 새로운 형상을 만들어냈다. 그의 작품은 형태에 대한 재현이 아니라 새로운 형상의 근원과 기원을 나타내고 있다.

독특한 재료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조각가 지용호가 을 제목으로 개인전을 가나아트센터(1.23~2.16)에서 열었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기존 작업에 사용했던 폐타이어라는 인공물에서 벗어나 자연물인 조개류를 선택하여 새로운 형상을 만들어냈다. 그의 작품은 형태에 대한 재현이 아니라 새로운 형상의 근원과 기원을 나타내고 있다.

오해와 오독을 의미하는 'miscommunication'과 놀이를 뜻하는 'play'의 합성어인 를 제목으로 내건 전시가 1월 24일부터 2월 28일까지 인사미술공간에서 열렸다. 오차 줄이기를 거부하고 이를 실험과 놀이로 상정하면서 얻어지는 창의적인 활동을 새내기 기획자들의 이야기와 강문식, 장현준, KKHH의 작업을 통해 보여준다.

오해와 오독을 의미하는 ‘miscommunication’과 놀이를 뜻하는 ‘play’의 합성어인 <미쓰-플레이>를 제목으로 내건 전시가 1월 24일부터 2월 28일까지 인사미술공간에서 열렸다. 오차 줄이기를 거부하고 이를 실험과 놀이로 상정하면서 얻어지는 창의적인 활동을 새내기 기획자들의 이야기와 강문식, 장현준, KKHH의 작업을 통해 보여준다.

보이지 않는 형상의 존재를 다루는 작가 윤희수의 개인전 〈침묵을 응시하다〉가 1월 3일부터 31일까지 코너갤러리에서 열렸다. 작가는 돌에서 침묵을 읽었다. 오랜 세월 동안 존재해 온 돌에 응집되어 있는 내면의 소리를 설치를 통해 보여주었다.

보이지 않는 형상의 존재를 다루는 작가 윤희수의 개인전 〈침묵을 응시하다〉가 1월 3일부터 31일까지 코너갤러리에서 열렸다. 작가는 돌에서 침묵을 읽었다. 오랜 세월 동안 존재해 온 돌에 응집되어 있는 내면의 소리를 설치를 통해 보여주었다.

시와 미술을 결합한 전시 가 2월 21일부터 3월 23까지 강진아트홀에서 열린다. '시가 꽃피는 행복한 마을 조성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이다. 고시가부터 현대시에 이르기까지 강진에 대해 쓴 시를 지역 인근 출신이거나 현재 거주 중인 미술가 15명이 나무작업, 영상, 애니메이션, 수묵화, 병풍그림 등 다양한 매체로 해석한 작품을 선보인다.

시와 미술을 결합한 전시 <봄이 오는 소리>가 2월 21일부터 3월 23까지 강진아트홀에서 열린다. ‘시가 꽃피는 행복한 마을 조성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이다. 고시가부터 현대시에 이르기까지 강진에 대해 쓴 시를 지역 인근 출신이거나 현재 거주 중인 미술가 15명이 나무작업, 영상, 애니메이션, 수묵화, 병풍그림 등 다양한 매체로 해석한 작품을 선보인다.

사랑을 주제로 한 전시 가 2월 5일부터 23일까지 롯데갤러리 영등포점에서 열렸다. 강준영, 김경민, 박성수, 산타, 서유라 등 11명의 작가가 참여하여 삶의 의미와 근간이 되는 사랑의 감정을 각각의 다채로운 시선으로 살펴보았다.

사랑을 주제로 한 전시 가 2월 5일부터 23일까지 롯데갤러리 영등포점에서 열렸다. 강준영, 김경민, 박성수, 산타, 서유라 등 11명의 작가가 참여하여 삶의 의미와 근간이 되는 사랑의 감정을 각각의 다채로운 시선으로 살펴보았다.

조각과 회화의 영역을 폭넓게 아우르는 영국작가 줄리안 오피의 국내 두 번째 개인전이 2월 13일부터 3월 23일까지 국제갤러리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서울의 보행자들의 모습을 드라마틱하게 다룬 새로운 회화 연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비닐 페인팅 LED 패널 그리고 대형 조각 등 다양한 매체의 작품을 선보인다.

조각과 회화의 영역을 폭넓게 아우르는 영국작가 줄리안 오피의 국내 두 번째 개인전이 2월 13일부터 3월 23일까지 국제갤러리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서울의 보행자들의 모습을 드라마틱하게 다룬 새로운 회화 연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비닐 페인팅 LED 패널 그리고 대형 조각 등 다양한 매체의 작품을 선보인다.

생명 중심 사유로의 전환을 세상의 진정한 가치로 상정하고 풀어내는 동양화가 김진관의 개인전이 를 주제로 2월 13일부터 19일까지 한벽원미술관에서 열렸다. 물질의 풍요와 팽배하는 개인주의 속에서 간과하기 쉬운 세상 본연의 가치를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물의 잎사귀를 통해 표현했다.

생명 중심 사유로의 전환을 세상의 진정한 가치로 상정하고 풀어내는 동양화가 김진관의 개인전이 <생명의 소리>를 주제로 2월 13일부터 19일까지 한벽원미술관에서 열렸다. 물질의 풍요와 팽배하는 개인주의 속에서 간과하기 쉬운 세상 본연의 가치를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물의 잎사귀를 통해 표현했다.

드로잉을 통해 일상을 풍자적인 시각으로 유머 있게 풀어내는 프랑스 작가 이방 르 보젝의 개인전 이 2월 8일부터 3월 8일까지 코너아트스페이스에서 열린다. 한국에서 10년 만에 열리는 그의 개인전으로 월-드로잉 (walldrawing)과 함께 영상작업을 선보인다. 작가는 "예술가는 줄 타는 사람과 같다"며 드로잉의 균형에 대해 이야기한다.

드로잉을 통해 일상을 풍자적인 시각으로 유머 있게 풀어내는 프랑스 작가 이방 르 보젝의 개인전 <Y’s Back>이 2월 8일부터 3월 8일까지 코너아트스페이스에서 열린다. 한국에서 10년 만에 열리는 그의 개인전으로 월-드로잉 (walldrawing)과 함께 영상작업을 선보인다. 작가는 “예술가는 줄 타는 사람과 같다”며 드로잉의 균형에 대해 이야기한다.

생명의 공생과 진화과정에 대한 과학적 관찰과 도전 그에 따른 인간의 불안을 성찰한 전시 〈생명은 아름답다〉가 2월 18일부터 3월 30일까지 여수에 위치한 GS칼텍스 예울마루에서 열린다. '우발성의 각도(angle of tangence)'에서 만물의 생성과 활동을 보여주고자한 전시로 생명과학과 인문학의 만남을 통해 통섭의 지평을 넓힌다.

생명의 공생과 진화과정에 대한 과학적 관찰과 도전 그에 따른 인간의 불안을 성찰한 전시 〈생명은 아름답다〉가 2월 18일부터 3월 30일까지 여수에 위치한 GS칼텍스 예울마루에서 열린다. ‘우발성의 각도(angle of tangence)’에서 만물의 생성과 활동을 보여주고자한 전시로 생명과학과 인문학의 만남을 통해 통섭의 지평을 넓힌다.

〈우수졸업작품전〉이 제10회를 맞이해 2월 5일부터 18일까지 동덕아트갤러리에서 열렸다. 매년 2월 동덕여자대학교 회화과와 동덕아트갤러리가 주관하고 서울 및 수도권 26개 대학이 참여해 그해 졸업생들의 우수 작품을 전시하는 행사로 예비 작가에게 향후 미술계에서 활동할 수 있는 징검다리 구실을 해왔다.

〈우수졸업작품전〉이 제10회를 맞이해 2월 5일부터 18일까지 동덕아트갤러리에서 열렸다. 매년 2월 동덕여자대학교 회화과와 동덕아트갤러리가 주관하고 서울 및 수도권 26개 대학이 참여해 그해 졸업생들의 우수 작품을 전시하는 행사로 예비 작가에게 향후 미술계에서 활동할 수 있는 징검다리 구실을 해왔다.

시공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은 전시 이 2월13일부터 3월 8일까지 갤러리 LVS에서 열린다. 권인경, 권오신, 전채강이 참여하여 각자의 방식으로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고, 가능성의 공간을 제시하면서 사실과 허구를 넘나드는 기억의 콜라주를 선보인다.

시공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은 전시 <시·공_기억이 되는 시간>이 2월13일부터 3월 8일까지 갤러리 LVS에서 열린다. 권인경, 권오신, 전채강이 참여하여 각자의 방식으로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고, 가능성의 공간을 제시하면서 사실과 허구를 넘나드는 기억의 콜라주를 선보인다.

소리의 순간을 담아내는 작가 구민정의 개인전이 란 제목으로 2월 6일부터 18일까지 서울문화재단 서교예술실험센터에서 열렸다. 작가는 동작이 일어나는 순간의 음향 공간과 입체를 하나의 생명체로 표현했다.그의 작업에서 소리와 공간의 순간은 마치 만화의 한 장면처럼 전환된다.

소리의 순간을 담아내는 작가 구민정의 개인전이 <디링_동그란 소리가 들리는 이미지>란 제목으로 2월 6일부터 18일까지 서울문화재단 서교예술실험센터에서 열렸다. 작가는 동작이 일어나는 순간의 음향 공간과 입체를 하나의 생명체로 표현했다.그의 작업에서 소리와 공간의 순간은 마치 만화의 한 장면처럼 전환된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 만화를 현대미술의 영역으로 지속시켜 온 대표적인 작가 이동기, 쑨쉰, 고이치 에노모토의 3인전 이 1월 7일부터 2월 20일까지 아라리오갤러리 청담에서 열렸다. 작가들은 각기 자신만의 방식으로 드라마, 애니메이션 영상, 만화의 장면을 회화나 판화와 혼합한다. 이를 통해 현대인의 모습과 대중문화를 색다른 시각으로 접근한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 만화를 현대미술의 영역으로 지속시켜 온 대표적인 작가 이동기, 쑨쉰, 고이치 에노모토의 3인전 <그래픽노블>이 1월 7일부터 2월 20일까지 아라리오갤러리 청담에서 열렸다. 작가들은 각기 자신만의 방식으로 드라마, 애니메이션 영상, 만화의 장면을 회화나 판화와 혼합한다. 이를 통해 현대인의 모습과 대중문화를 색다른 시각으로 접근한다.

인간의 몸을 하나의 수단이나 도구로 여기는 현대사회의 태도에 문제를 던지는 전시 이 2월 7일부터 4월 6일까지 성곡미술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성곡미술관 인턴십 22기를 수료한 신진기획자 5인이 기획했다. 신제헌, 이선행, 이승훈, 흑표범, 추이쉬엔지, 시갈릿 린다우가 참여하여 우리 시대가 앓고 있는 몸살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인간의 몸을 하나의 수단이나 도구로 여기는 현대사회의 태도에 문제를 던지는 전시 <몸·살/momsal/>이 2월 7일부터 4월 6일까지 성곡미술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성곡미술관 인턴십 22기를 수료한 신진기획자 5인이 기획했다. 신제헌, 이선행, 이승훈, 흑표범, 추이쉬엔지, 시갈릿 린다우가 참여하여 우리 시대가 앓고 있는 몸살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이미지를 자유롭게 재구성하는 작가 김태기의 개인전 〈(K)new world〉이 2월19일부터 3월1일까지 갤러리 이마주에서 열린다. 작가는 실체와 허구의 이미지를 재배치하여 진본을 알 수 없는 정신적인 공간을 구성하여 쉽게 사라지는 이미지에 영속성을 부여한다.

이미지를 자유롭게 재구성하는 작가 김태기의 개인전 〈(K)new world〉이 2월19일부터 3월1일까지 갤러리 이마주에서 열린다. 작가는 실체와 허구의 이미지를 재배치하여 진본을 알 수 없는 정신적인 공간을 구성하여 쉽게 사라지는 이미지에 영속성을 부여한다.

회화의 시점을 생각하게 하는 기획전 〈페인트 오브 뷰(paint of view)〉가 1월 22일 개막해 3월 9일까지 갤러리 스케이프에서 계속된다. 다양한 시점으로 풍경을 그려낸 작가 이혜승, 히데아츠 시바, 에테르, 제니 조, 최수정이 참여했다. 각자의 회화적 주관으로 현실과 가상, 내면과 외면, 형식과 해체 사이를 가로지르며 자신만의 관점을 표현했다.

회화의 시점을 생각하게 하는 기획전 〈페인트 오브 뷰(paint of view)〉가 1월 22일 개막해 3월 9일까지 갤러리 스케이프에서 계속된다. 다양한 시점으로 풍경을 그려낸 작가 이혜승, 히데아츠 시바, 에테르, 제니 조, 최수정이 참여했다. 각자의 회화적 주관으로 현실과 가상, 내면과 외면, 형식과 해체 사이를 가로지르며 자신만의 관점을 표현했다.

작가 송영욱과 건축가 김형우의 협업으로 코오롱스포츠의 2014 SS Press Presentation 공간이 꾸며졌다. 1월 23, 24일 이틀간 서울 청담동 비욘드 뮤지엄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 김형우는 건축공사장을 오르내릴 때 쓰이는 임시 가설물인 비계(scaffolding)를 이용하여 전시공간 안에 또 다른 공간을 연출하였고 송영욱은 '사적 제278호 계단'을 응용한 작품을 선보였다.

작가 송영욱과 건축가 김형우의 협업으로 코오롱스포츠의 2014 SS Press Presentation 공간이 꾸며졌다. 1월 23, 24일 이틀간 서울 청담동 비욘드 뮤지엄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 김형우는 건축공사장을 오르내릴 때 쓰이는 임시 가설물인 비계(scaffolding)를 이용하여 전시공간 안에 또 다른 공간을 연출하였고 송영욱은 ‘사적 제278호 계단’을 응용한 작품을 선보였다.

추상과 함축을 표현하는 도예가 김유주의 전시가 이란 제목으로 2월 13일부터 3월 12일까지 누크갤러리에서 열린다. 9년 만의 개인전이다. 작가가 최근에 몰두하고 있는 도자 표면의 수채기법을 사용하여 시간의 흐름, 주변의 변화, 생각과 신념 등을 서정적으로 표현했다.

추상과 함축을 표현하는 도예가 김유주의 전시가 <서정적 프레임>이란 제목으로 2월 13일부터 3월 12일까지 누크갤러리에서 열린다. 9년 만의 개인전이다. 작가가 최근에 몰두하고 있는 도자 표면의 수채기법을 사용하여 시간의 흐름, 주변의 변화, 생각과 신념 등을 서정적으로 표현했다.

[현장] 미술관 속 사진페스티벌 – 사진과 너, 나, 우리의 대화

i06_3

사진과 너, 나, 우리의 대화

우리에게 사진은 무엇일까. 사진의 의미를 살펴보는 전시가 전국 4개 시도립미술관에서 잇달아 열린다. <미술관 속 사진페스티벌>이 바로 그것. 이에 ‘사진 한국을 말하다’라는 대주제 하에 <사진과 사회전>(대전시립미술관, 2013.12.6~2.16), <사진과 도시전>(경남도립미술관, 1.16~4.16), <사진과 미디어전>(서울시립미술관, 1.28~3.23), <사진과 역사>(광주시립미술관, 2.6~4.13)가 각각 진행(개최일 順)된다. 또한 아르코미술관에서는 ‘사진과 담론'(1.10~3.21) 워크숍이 열린다.
이번 전시는 디지털 사진기가 대량 보급된 당대 우리 사진문화의 현주소를 살펴보자는 계기로 마련됐다. 사실 동시대 현상을 담아내는 예술 장르 중 사진만한 것이 없다. 게다가 ‘찍는다’로 표현되는 사진 이미지 생산 과정이 더 이상 특정 작가의 전유물이 아니며 유효하지도 않은 가운데, 이번 전시는 그러한 대중적 에너지가 “한국 사회와 문화예술의 발전 그리고 우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 요소로 작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한다. 특히 <미술관 속 사진 페스티벌>은 “국내에서 최초로 진행되는 릴레이 사진전으로 각 도시가 저마다의 주제를 갖고” 기획했다.
그럼 각 도시를 순회해보자. 대전시립미술관의 <사진과 사회전>은 60여 명(팀)이 참여한 대규모 전시였다. 전시 타이틀이 암시하듯 “사회를 다루거나 사회 속에 뛰어드는 사진예술의 태도와 방법을 ‘비판적 성찰과 참여, 개입, 동행’ 등의 관점에서 조망”했다. ‘성찰’, ‘행동’, ‘공동체’, ‘공공’의 전시 구성으로 사진작업은 물론이고 아카이브도 소개했다. 이어 개최된 경남도립미술관의 <사진과 도시전>은 10명의 작가가 참여했으며 도시의 풍경과 그곳에서 사는 우리들의 모습을 반추한다. 작가의 시선이 담긴 사진을 통해 “즉각적으로 도시 풍경을 인지하고 이해할 수 있는” 전시였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사진과 미디어전>을 전시 타이틀로 내걸었다. 이는 우리 삶의 행위와 그 양태를 매체를 통한 사진을 조망함으로써 보여준다는 기획의도를 내포한다. 과거 존재했던 매체 속 사진, 즉 보도사진, 광고사진은 물론 최근 등장한 SNS 속 사진 이미지를 함께 보여주며 이른바 ‘미디어의 시대’에 사진은 과연 우리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볼 계기를 마련해준다. 마지막으로 광주시립미술관의 <사진과 역사전>은 말 그대로 우리의 삶의 흔적을 기록한 사진을 보여준다. 그러나 ‘기록’의 의미를 단순하게 해석한 것이 아니라 기록자 시선의 영역으로까지 확대, 당대를 바라봤던 사진가의 태도를 ‘Document’, ‘Monument’, ‘Memory’ 세 영역으로 나줘 보여준다.
그렇다면 이번 <미술관 속 사진페스티벌>은 전시로서 어떤 의의를 가질까? <미술관 속 사진페스티벌> 운영위원회 위원장인 박주석 명지대 교수는 “기본적으로 사진 찍기의 대상이 자연과 풍경에 경도되어 있는 아마추어 사진가, 일반 시민들의 인식을 바꾸는 계기를 마련하고 싶었다”며 “전문 작가들이 다루는 대상은 사회적 의제, 즉 도시, 역사, 미디어, 사회적 관계와 자본 등과 같이 우리 한국 사회가 고민하고 성찰하는 문제”임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물론 한국 사회가 한두 가지 관점으로 파악될 리 만무하다. 그래서 이번 각 전시장에 걸린 전시의 주제가 다양한 이유를 알 수 있었다. 박 위원장은 이번 전시를 시도립미술관 순회전 형식으로 기획한 이유에 대해서 “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한 사진계의 작품 평가 기준을 미술관에 제시, 사진계와 미술계 사이의 사진작품을 보는 눈의 간극을 줄여보고자 하는 의도였다”고 밝혔다. 사진 전문 큐레이터가 거의 없는 미술관에서 소개되는 사진작가가 사진계의 시선과 다름을 지적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박 위원장은 “예산만 확보된다면 트리엔날레 형식으로 이러한 사진전시를 꾸며보고 싶다”며, “주제로 ‘자연’과 ‘풍경’을 다루는 전시도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 창원 광주 서울= 황석권 수석기자

[핫피플] 제4회 안양공공미술프로젝트예술감독 백지숙 ‘개념미술’이 아니라 ‘개념있는 미술’을 제안한다

i05_3

제4회 안양공공미술프로젝트예술감독 백지숙 ‘개념미술’이 아니라 ‘개념있는 미술’을 제안한다

<4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이하 APAP)>의 본 전시가 3월 28일 개막해 6월 8일까지 안양파빌리온과 안양예술공원에 새롭게 개관하는 ‘김중업박물관’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미국 현대음악의 거장 폴린 올리베로스가 안양 시민들과 함께 준비한 퍼포먼스인 ‘딥 리스닝(Deep Listening)’ 을 비롯해, 후지코 나카야, 컨플릭트 키친, 그라이즈데일 아츠, 앤소니 매콜, 오노레 도, 배영환, 송상희 등 총 27개 팀의 국내외 작가들이 참여해 24점의 신작을 포함한 다양한 작품을 선보인다.
APAP는 지난 10년간 국내에서 열리는 대규모 국제미술행사 중 하나로 자리 잡으며 한국 공공예술 담론을 실험하는 장으로 그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2012년 예산이 전액 삭감되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가까스로 존폐위기를 면했다. 힘겹게 부활한 만큼 4회 APAP의 진두지휘를 맡은 백지숙 예술감독은 무엇보다 지난 APAP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내실을 다지는 데 집중했다. 그리고 시민들에게 공공예술을 새롭게 인식시키고 함께 즐길 수 있는 행사로 꾸미기 위해 공공성을 향한 다양한 실험을 시도했다.
우선 연중 진행된 ‘작품 보존・관리 프로젝트’는 기존의 APAP 소장품 92점의 가치를 지속시키고 시민과 작품 간의 관계를 회복시키기 위해 안양시민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새로운 대안을 모색했다. 그 시작으로 1회 때 건립됐으나 제대로 활용된 적 없는 <알바로시자홀>을 <안양파빌리온>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공원도서관’, ‘만들자연구실’을 운영하는 APAP의 허브로 만들었다. 이밖에도 안양 곳곳에 방치된 작품들을 철거하거나, 적절한 장소로 옮기고, 일부는 개보수해 새로운 작품으로 탈바꿈시켰다. 백 감독은 “처음부터 공공예술 작품에 보존연한(life cycle)을 지정하지 않은 것이 문제였다. 개별 작품을 보존관리의 일반론으로 접근하면 아무 소용없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털어놓았다. 그리고 “시민들의 삶과 유리된 작품을 제대로 살려내려면 그 과정 자체가 창의적이어야 한다.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것만큼 정교한 보존 관리 과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4회 APAP는 특별히 ‘퍼블릭 스토리’를 전달하는 ‘미디어’에 대한 고민을 주제화한다. 백 감독은 공공예술이 그동안 너무 물질적으로 이해됐다고 말한다. “일반적으로 ‘미디어’라고 하면 테크닉한 문제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APAP 에서는 미디어에 대한 다양한 관점, 미디어의 문법을 각자 해석하는 과정, 미디어의 효과에 초점을 맞췄다. 무엇보다 옛날 식의 광장 개념을 대체하는 현재 미디어 환경 속에서 공공 담론의 장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궁극적인 가치를 두고 있다.” 미디어아티스트 최태윤이 총괄하는 ‘만들자연구실’은 지난해 2월부터 시민들을 대상으로 오픈 소스 기술을 접할 수 있는 국내외 작가들의 다양한 워크숍을 제공해 메이커 문화를 실험했다. 독립큐레이터 김윤경이 기획을 맡은 ‘인터페이스 : 나의, 나만의 공공예술’ 프로젝트는 공공장소에 물리적인 결과물로 남은 APAP 소장품을 시민들의 삶 속에 적극적으로 개입시키고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그리고 APAP를 일회적인 행사가 아니라 지속가능한 형태의 프로젝트로 만들기 위해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주최하는 공모사업 ‘공공미술 2.0’에 선정돼 공공미술 아카이브를 마련하는데 주력하며, 현재 안양 시내 5개 도서관을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1970년부터 공공미술을 지원해 온 미술단체인 ‘크리에이티브 타임(Creative Time)’과 교류하며 <리빙 에즈 폼> 노마딕 버전 전시를 아시아에 처음 선보인다.

이슬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