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Topic] Gilbert & George

그 존재 자체로 동시대 서구 현대미술을 상징하는 길버트와 조지(Gibert & George). 그들의 전시 <희생양(Scapegoat)>이 영국 런던(화이트 큐브 갤러리, 7.18~9.28)과 프랑스 팡탱(테데우스 로팍 갤러리, 9.7~11.15)에서 열리고 있다. 70을 넘긴 나이임에도 삶과 예술이 분리되지 않은 그들의 미적 주장은 여전히 유효하다.
이것은 둘인 듯 하나인 작가 그룹의 대명사인 그들의 작가로서의 행보와 꼭 닮아 있다.

창조하면서 창조되는 예술

심은록  미술비평

루브르 박물관이나 퐁피두센터 앞에 못 보던 조각상이 하나 놓여 있다. 얼굴과 손뿐만 아니라 옷과 장식품까지 모두 골드 브론즈 물감으로 뒤덮여 있다. 관광객들은 진짜 조각상인지 궁금해 하며 가던 발길을 멈춘다. 용감한 아이들은 조각상을 살짝 건드려 보기도 한다. 부모에게 동전을 얻은 아이가 조각상 앞에 놓인 작은 소쿠리에 동전을 넣는다. 그러자 기계의 작동버튼이 눌린 듯, 갑자기 조각이 움직인다. 유럽의 관광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다. 관광객들의 눈을 즐겁게 하는 이러한 퍼포먼스가 약 반세기 전에 처음 시작됐을 때는 혁명적이었다. 비록 서두에 언급한 길거리 퍼포먼스가 ‘태도’(작품 동기, 과정, 의미)는 제거하고 ‘형식’만 취했다고 할지라도, 그 원조는 길버트와 조지의 <노래하는 조각(The Singing Sculpture)>이라 하겠다. 주변을 돌아보면, 현대미술이 이처럼 새롭게 각색되어 우리의 일상과 섞여 있다.
1969년, 전설적인 전시 하랄트 제만(Harald Szeeman)의 <태도가 형식이 될 때>의 오프닝에 길버트와 조지가 참여했다. 넥타이를 단정하게 매고 비즈니스 정장을 입은 이들의 얼굴과 손에는 온통 골드 브론즈 물감이 칠해져 있었다. 탁자를 조각받침대 삼아 두 점의 조각상이 되어, 플래너건과 앨런의 “아치 아래서”(Underneath the Arches)를 틀어놓고, 노래를 따라 부르는 이들은 서서히 움직이는 커다란 태엽 인형 같았다. 이때부터 길버트와 조지는 ‘퍼포먼스’ 대신에 “살아있는 조각”, 혹은 “살아있는 작품”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왜냐하면 ‘퍼포먼스’나 ‘해프닝’은 작가가 잠시 동안만 예술행위를 하는 것이지만, 이들에게는 삶 자체가 예술의 연장이며, 예술의 연장이 삶이기 때문이다. 그들의 신체는 이처럼 살아있는 조각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포토몽타주로 확장되어 지금까지 계속된다. 길버트와 조지의 포토몽타주는 세르게이 트레차코프(Sergei Tretyakov)의 말처럼, 사진과 사진만의 몽타주가 아니라, 사진과 텍스트, 사진과 색채를 몽타주한다. 특히 예술과 삶을 몽타주한다.
영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유럽 포스트모더니즘의 전형적 작가인 길버트와 조지, 이들은 “두 사람이지만 한 작가”라고 불린다. 이탈리아 출신 길버트 프뢰슈(Gilbert Prousch, 1943~)와 영국출신 조지 패스모어(George Passmore, 1942~)는 1967년 세인트 마틴 예술대학에서 처음 만났다. 그때부터 함께 작품 활동을 하기 시작해 벌써 반세기 가까이 되었다. 그들이 대학을 다닐 때, 지나치게 많은 색깔, 지나친 감정, 섹스는 예술의 터부였다. 길버트와 조지에게도 이러한 경향이 잠시 보였으나 곧 그 반대로 방향을 완전히 돌렸다. 그들의 작품에는 “너무나 많은 색깔, 너무나 많은 섹스, 너무나 많은 알코올” 등이 나타났다. 이와같이 그들은 미니멀아트나 신체가 제거된 개념미술에서 “휴먼아트(human art)”, 즉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예술로 전향했다. 초기 퍼포먼스부터, 길버트와 조지의 용어로 말하면, ‘살아있는 조각’부터 현재까지 그들의 가장 중요한 마티에르는 ‘신체’이며, 이를 사용한 예술은 ‘살아있는 작품’이다. 삶 자체가 예술이 되면서, 승화되거나 고상해지기도 하지만, 반대로 그동안 예술화 할 수 없었던 새로운(묻혀 있었던) 소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래서 사회적 터부가 거침없이 재현되고, 삶과 예술의 경계선에서 구분되었던 기존 질서와 고정된 체제가 무너진다. 사회 관습적인 용인의 한계를 의도적으로 일탈한다. 길버트와 조지는 자신들의 현실적인 삶  (살고 있는 장소, 현재의 사회정치적 문제 등)과 연관된 주제를 화면 위에 신체언어로 구사한다. 애브젝트 이미지(Abject Image, 땀, 대소변, 토사물, 정액처럼 신체에서 나오는 불결한 것들에 대한 이미지), 생식기관의 적나라한 노출, 기독교적 자아분열 이미지 등이 여과 없이 사용된다. 이 같은 충격적인 이미지들로 대중의 관심을 얻는 만큼 강도 높은 비판도 끊임없이 받았다.
‘살아있는 조각’은 창조자와 피조물이 구분되지 않으며, 작가와 작품이 이분화 되지 않는다. 작가자 조각품이고, 만드는 동시에 만들어지는 행위가 동일체에서 이뤄진다. 창조자와 피조물이라는, 신화시대부터 현대까지 고수된 이원론적 구분이 무너진다. 또한 전시장 안과 밖이, 무대 위와 아래가 구분되지 않으며, 예술과 일상 삶이 나눠지지 않는다. 이들에 의해 살아있는 작품은 미셀 푸코가 말한 “삶의 예술(미학)화”로 표현되고 실천된다. 푸코는《  성의 역사》에서 고대 그리스와 로마인들이 자기 배려와 단련으로 자신의 삶을 스스로 창조하며, 일상의 삶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존재’의 미학이 아니라 ‘삶’의 미학이다.
현재, 길버트와 조지는 이 삶의 미학을 <희생양(Scapegoat)> 전시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 전시는 런던 화이트 큐브 갤러리(White Cube, 2014.7.18~9.28)와 프랑스 팡탱(Pantin)의 테데우스 로팍 갤러리(Galerie Thaddaeus Ropac, 2014.9.7~11.15)에서 진행 중이다.
“여기가 어디인가?”
물론 파리 근교에 있는 테데우스 로팍의 전시장이지만, 작품 속 배경은 아랍의 어느 중소도시 같다. 런던을 배경으로 많은 작품을 해온 길버트와 조지이기에 당혹감마저 든다. 작은 폭탄 같은 오브제가 넘쳐나는 화폭 사이로 보이는 풍경이 이슬람적이다. 인도나 아랍 상점들이 배경에 나타나기도, 눈만 내놓고 온통 검은 천으로 가린 니캅(Niqab) 차림의 무슬림 여인들과 토브(thobe)를 입은 무슬림 남성, 무슬림 청년들이 두드러지게 눈에 띈다. 몇몇 작품은 마치 비행기에서 폭탄이 연이어 떨어지는 듯한 느낌을 준다.(<공중투하(AIRDROP)>)
이처럼 새로운 주제와 낯선 분위기 속에 길버트와 조지의 전형적인 원칙(표현방식)들도 눈에 띈다. 화면이 그리드    (사각형 격자무늬)로 구획되고 확장되며 긴장되게 하는 것, 이 그리드 안에서 끊임없이 자기 복제가 이뤄지는 것, 좌우 혹은 상하로 거울효과를 내면서 반복되는 것. 이 반복에 의해 발생된 균형을 작가들 자화상으로 깨는 것 등등, 이들 특유의 기본적인 원칙은 지켜지고 있다.

<희생양>, “이슬람은 진리가 아니다”
전시의 첫인상을 잠시 접고, 이제 차근차근 작품을 흩어본다. 작은 폭탄 같은 오브제 사이로 “어떻게 이슬람 공포를 극복할 수 있느냐”는 영어 신문 제목이 보인다. 오브제 너머 가게들의 간판이 아랍어가 아니라 모두 영어로 쓰여 있다. 무슬림들 사이로 영국 전통 건물양식이 보이기도, ‘ER II(Elizabeth Regina 엘리자베스 여왕 2세)’라는 영국왕가의 표지가 등장하기도, 또한 런던의 랜드마크인 대형 시계탑 빅벤(Big Ben)도 보인다. 결국 <희생양> 연작의 배경은 아랍의 어느 한 도시가 아니라 런던이었다. 작은 폭탄처럼 보이는 오브제는 ‘휘펫(whippets, 혹은 히피 크랙, 웃음가스)’이었다. ‘휘펫’은 <이산화질소(Nitrous Oxide)> 성분의 기체로 영국에서는 합법적인 향정신성물질이다. 호흡질환, 발작, 뇌졸중을 야기할 수도 있다. 길버트와 조지는 길거리에 버려진 휘펫을 보고 마치 작은 폭탄을 연상했으며, 그 순간 우연히 니캅 차림의 무슬림 여인들을 보게 되었다. 바로 이러한 배경에서 123점의 <희생양> 연작(2013)이 탄생한다. 그 크기도 세로 2미터, 가로 3미터가 훨씬 넘는 대작들이다.
관람객은 이슬람적인 분위기에 ‘휘펫’을 작은 폭탄으로 여기게 됐다. 문제는 순수한 무슬림 들을 보면서도 폭탄을 지닌 테러리스트를 연상하는 비무슬림들의 선입관이다. 만약 이 작품의 배경이 프랑스이고 백인들이 등장했다면, 휘펫은 포도주 병으로 보였을 수도 있다. 영국의 런던이 배경이더라도 백인들이 등장했더라면,  ‘휘펫’과 폭탄을 연결시키지 않았을 수도 있다. 영국에서는 젊은 청년들이 파티에서 기분을 고조시키고자 휘펫을 사용하기도 한다. <희생양>연작 중 <휘펫(WHIPPETS)>이라는 제목이 붙은 작품에는 젊은 청년들이 휘펫에 취해 미소 짖고 있다. 런던의 랜드마크인 대형 시계탑 빅벤이 파티가 무르익기 시작하는 시각인 <8시 45분>을 가리킨다. <가스(GASEOUS)>를 흡입한 뒤의 기분 좋은 상태를 나타내는 듯 꽃이 만발해 있다.
이번 전시의 유일한 삼부작(<Scapegoated. A triptych>)의 중심에 적혀있는 “이슬람은 진리가 아니다(ISLAM IS NOT TRUTH)”라는 문구가 시선을 끈다. 2001년 9·11테러 이후 서구에선 이슬람 관련에 관한 발언 자체가 터부가 됐다. 그런데도 길버트와 조지는 그들의 예술을 통해 노골적으로 이슬람을 말하고 있다. 이슬람의 잘못을 지적하는 것은 서구에서는 상당히 위험한 발상이다. 그들은 꼭 이슬람뿐만 아니라 “다수의 기성 종교도 우리가 수백 년간 싸우며 쟁취한 자유를 가져가버린다”고 단호하게 말한다. 그래서 “이슬람은 진리가 아니다”라는 문장 옆에는 “교회를 단념하라”는 문장도 나란히 쓰여있다. 길버트와 조지는 이처럼 거짓으로 포장된 평온을 뒤흔드는 것도 예술의 역할이라고 본다. 이들은 항상 현실적 삶에서 발생하는 중요 주제와 자신들을 연결해 작품에 등장 시킨다. 즉, 그들의 몸은 바깥세계와 연결되는 일종의 연결고리다. 신체는 더 큰 신체인 외부의 일부일 뿐이다 (메를로퐁티). 현대는 도용예술의 등장과 가상현실적 환경으로 사진의 고유한 특성이었던 ‘리얼리티’가 점점 더 모호해지고 있다. 또한 리얼리티를 가상적으로 만들기 위해 회화적 몽타주가 사용되기도 한다. 반면에 길버트와 조지가 회화적인 요소를 사용하는 것은 리얼리티를 더욱 부각시키기 위해서다. 리얼리티와 관련된 사진의 기록성은 다른 예술에서는 볼 수 없는 강한 현실적 힘과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White Cube Bermondsey, 18 July - 28 September 2014 © 18 July - 28 September 2014 Gilbert&George Photo: Jack Hems


White Cube Bermondsey, 18 July – 28 September 2014 © 18 July – 28 September 2014 Gilbert&George Photo: Jack Hems

위 <Scapegoated. A tryptych>(부분) 혼합재료 381×1963cm 2013

[separator][/separator]

interview

Gilbert and George (6)

<희생양전>을 개최한 길버트와 조지

“좋은것과 나쁜것은 계속 바뀐다”

모든 작품에 공통적으로 보이는 작은 병들은 무엇인가?
조지 __ 히피 크랙 (‘hippy crack’, 휘펫의 또 다른 명칭)인데, 3년 전 런던 거리를 산책하다가 버려진 히피 크랙의 빈 용기를 보았다. 순간적으로 작은 폭탄 같다고 느꼈는데, 그때 니캅을 입은 무슬림 여성이 지나갔다. 당시 경험이 이번 <희생양> 연작의 동기가 되었다.
거대하고 많은 양의 작품을 하는데 작품이 발표될 때마다 사뭇 다른 느낌을 준다. 이러한 끊임없는 영감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조지 __ 우리가 살며 일하는 이스트 런던이 우리에게 영감을 제공한다.
길버트 __ 런던인들은 각각 특정한 방식으로 다른 문화를 표현하기에 언뜻 정신분열적인 것처럼 보인다. 다른 인종, 다른 종교, 다른 뿌리를 지닌 사람들이 함께 모여 살기 때문이다. 이곳에 산다는 것은 좀 더 관용적이고 포용적이기를 요구한다. 우리는 서로 다른 문화가 섞인 상태를 이해해야 한다.
조지 __ 서로 다른 문화의 복합체인 이곳은, 그래서 지역적(국부적)이면서 동시에 글로벌하다.
길버트 __ 우리는 전통을 좋아하며 보수적이나, 경직된 도덕은 좋아하지 않는다. 좋은 것과 나쁜 것은 계속 바뀐다. 보들레르는 “예술에서는 나쁜 발상조차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어느 것도 완전하게 굳혀질 수 없다.
당신들의 관심은 주로 ‘지금 이곳(hic et nunc)’에 집중되어 있는가?
조지 __ 비록 우리는 현실을 재현하지만, 모든 문화는 미래를 창출하기에, 우리 작품도 미래를 건설하고 미래를 조금 달라지게 할 수 있기를 바란다.
당신들의 작품은 지역적이면서도 글로벌하고, 스스로 보수적이라고 말하지만 당신들의 예술은 혁명적이다. 상당히 무거운 주제를 다루고 있음에도 가벼움과 유머가 엿보인다. 당신들의 예술이 지나치게 양의적(兩意的)이라고 생각하지 않는가?
길버트 __ 인생보다는 덜 양의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가?
당신들은 더 이상 퍼포먼스를 하지 않는가?
길버트 __ 퍼포먼스가 아니라 ‘살아있는 조각’ 혹은 ‘살아있는 작품’이다.
퍼포먼스와 ‘살아있는 작품’의 차이는 무엇인가?
조지 __ 우리의 삶이 ‘살아있는 작품’이다. 퍼포먼스는 잠시만 하는 것이지만, ‘살아있는 작품’은 삶 전체를 의미한다.
팡탱=심은록

길버트(사진 왼쪽)는 1943년 이탈리아 산 마르틴 데 토르에서 태어났다. 조지 패스모어는 1942년 영국 플리마우스에서 태어났다. 세인트 마틴 예술대학에서 만난 그들은 이후 ‘길버트&조지’란 그룹명으로 협업작업을 시작했다. 터너프라이즈(1986), Special International Award(1989), South Bank Award(2007) 등을 수상했다.

 

[world report]The 5th Fukuoka Asian Art Triennale 2014

아시아의 진짜 모습은?

‘미래세계의 파노라마-새롭게 피어나는 시대 속으로(Panorama of the Nextworld-Breaking out into the Future)’를 주제로 한 <제5회 후쿠오카 아시아미술 트리엔날레 2014>가 9월 6일부터 11월 30일까지 후쿠오카아시아미술관 및 주변 지역에서 열린다. 미술관이 직접 개최하는 이 트리엔날레는 올해 ‘새로움’을 화두로 삼고 대회의 방향성을 더욱 공고히 하려 했다. 이번 대회가 이야기하고자 한 ‘아시아성’을 직접 보고 들은 필자의 글을 소개한다.

김주원  미학, 일본 CCA 기타큐슈 비지팅 펠로

타자(他者)의 인식은 공간의 구획을 가능하게 한다. 이전까지 추상적 공간 개념으로 여겨지던 ‘아시아’가 후쿠오카 아시아 트리엔날레(The 5th Fukuoka Asian Art Triennale 2014, 이하 ‘FT5’))를 통해 명시화된 것도 어느새 5번째가 되었다. 1999년 이래 아시아 현대미술에 관한 담론 형성과 전개를 이끌어온 FT의 이번 주제는 ‘미래세계의 파노라마 -새롭게 피어나는 시대 속으로(Panorama of the Nextworld-Breaking out into the Future)’이다. 아시아 21개국 지역의 젊은 시각미술가 46명의 작품이 초청, 소개되었다.
잘 알다시피 FT는 후쿠오카아시아미술관(The Fukuoka Asian Art Museum, 이하 ‘FAAM’)의 지속적인 조사연구, 교류사업의 성과와 축적을 기반으로 한다. 일회성의 블록버스터로 지형 변동을 꾀하는 여타 국제 비엔날레류 전시의 과감함과는 상당한 거리를 두며, 이를 바탕으로 ‘아시아의 지금’을 가시화한다는 점에서 아시아 각국의 미술전문가들로부터 적극적인 지지를 얻고 있다.
이번 FT5의 예술감독 역시 FAAM 사업관리부장이자 학예과장인 구로다 라이지(黒田雷児)가 맡았다. 그는 FT의 ‘새로움’을 강조한다. 먼저 외부 위원으로 구성된 작가 선정위원회를 폐지하고, 미술관 내부 협의를 통해 작가를 선정했다. 트리엔날레의 방향성과 성격을 보다 확고히 하려는 이러한 시도는 구로다 라이지의 표현대로 갱신의 의지를 보여준다. 30여 년에 걸쳐 미술관이 축적한 방대한 자료, 정보는 물론 미술관의 지속적인 교류사업을 통해 구축한 전아시아에 걸친 인적 네트워크의 협력도 중요한 동력이라는 것이다.
트리엔날레/비엔날레가 미술관의 미션, 컬렉션과 밀접하게 연관된다는 것은 상당히 아이러니하게 보인다. 국제적인 스타급 큐레이터나 예술감독 개인의 인문학적 상상력과 통찰력에 크게 의존하는 여러 비엔날레 등을 비교대상으로 두고 보면, 서구 시각에 종속되는 오리엔탈리즘이 재생산될 가능성에 대한 적극적인 방어 의지일 수도 있다. 또한 정치적, 전략적으로 제국의 시대 이후 아시아에 관한 한 해석의 주도권을 뺏기지 않겠다는 일본의 강한 자신감의 발로인 듯도 하다.
어쨌든 트리엔날레와 미술관의 깊은 관계 속에서 ‘아시아’라는 이름으로 각국에서 전개되는 현대미술의 ‘가치’와 ‘의미’는 미술관적 조사연구와 교류의 지속성 속에서 전시되고 호명됨으로써 그 다양한 변주가 리얼한 무게를 갖게 될 것임은 부인할 수 없다.

24. WATAGATA 후쿠오카부산 Arts Network, 2010년 발족. Tanaka Chisato(후쿠오카 거주)의 전시장면

WATAGATA 후쿠오카부산 Arts Network(2010년 발족) Tanaka Chisato(후쿠오카 거주)의 전시광경 Photo by 김주원

트리엔날레, ‘어느 것이나 예술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의 시도
FT5는 ‘열려있는’ 미래를 주목하면서 일상과 밀접한 시각문화예술 전반을 다루고 있다. 열려 있는 미래는 결코 이미지로서의 유토피아가 아닌, 출구가 보이지 않는 미궁 같은 현실의 일상이 품고 있다는 것이다. 이전 대회에 비해 작가성이 두드러지는 작가 개인보다 출판, 게임, 애니메이션 등 대중에게 친근한 장르를 다루는 작가이거나 그룹, 또는 교류활동 자체를 주목하는 이유이다.
그래서 예술개념의 정의 불가능성 논제가 ‘어느 것이나 예술이 될 수 있다(an open concept)’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보는 미국의 미학자 모리스 와이츠(Morris Weitz)를 인용하면서 시작되는 전시는 총 5개의 세부 범주로 구성되었다. ‘글로벌리즘의 끝에서(From the Far Corners of Globalism)’, ‘집단이라는 환상(Beyond the Collective Illusion)’, ‘일상 속의 소실점(Into the Dead Zone)’, ‘이미지의 연금술(Through Visual Trans-mutations)’, ‘멋진 신세계로(Towards a Brave World)’가 그것이다.
작품은 구분된 범주와 상관없이 전시 되었고《  트리엔날레 비주얼가이드 북》도 마찬가지로 편집되었다. 기획자들은 작품이 여러 내용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관람자의 상상력과 각자가 처한 상황에 따른 재해석을 기대한다고 하는데, 결국은 작품과 작품, 작품과 전시, 전시와 관객 사이의 해석적/이해적 관계망 구축에는 실패한 감이 없지 않다. 국가별 또는 주제에 따른 범주별 구분방식도 아닌 전시에서 결국 관객이 마주하는 건 작품 개별이거나 전시 전체이다.
국제전시에서 관객에게 작품 개별을 강조하는 경우, 흔히 그렇듯이 21개 국가 개별의 섬세하고 특정한 역사와 그로 인한 현재적 상황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가 부족한 관객에겐 이번 트리엔날레가 선택한 46명의 작품을 대면하는 것이 상당한 부담이었다는 인상이었다. 대중적 감각에 호소하는 시각문화 일반이라 하더라도 현실 속 우리의 일상은 그리 녹록하거나 만만하지 않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예컨대, 국가와 민족, 전쟁과 이데올로기, 난민과 이민, 정치와 종교 등의 역사적, 사회사적 이슈가 이미지와 기억, 자연과 소멸, 관계 등의 일상성과 긴밀한 관계 속에 있는 문경원 전준호의 신작 <묘향산관>(2014), Studio Revolt, Sugano Masahiro, Kosal Khiev의 <Unite Us>(2013), Nguyen Trinh Thi의 <Landscape Series>(2013), Haider Ali Jan의 <Survival>(2010) 등등은 그 예다. 더군다나 이 작품 대부분이 시간을 요하는 영상작업이라는 점도 관람의 어려움을 더했다.
반면, 개별 작품이 아닌 전시 전체를 덩어리로 대면했을 경우, 관람객은 감각적으로 기획자의 시각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아시아’라는 이름으로 일본 FT5에서 호명된 각 나라의 시각예술은 하나의 이미지로 받아들여지기 쉽다. 관객이 만들어내는 이미지는 이해와 오해의 가능성 사이에서 공명한다. 다소 과장되게 들릴 수 있겠지만 아시아에 관한 셀프-오리엔탈리제이션의 충동을 자극하거나 투어리즘의 변종 등을 생산할 위험도 다분하다. 올해 새롭게 설치한 특별전시에 소개된 <몽골화의 새로운 시대 : 전통에서 현대에로>의 대다수 작업과 Prilla Tania(인도네시아)의 <E(Japan)>(2014), Pema Tshering(부탄)의 <Sound of Time>(2010), The Maw Naing(미얀마)의 <Between the Pages>(2011), Muhammad Alinormin Hj Omarali(부르네이)의 <Life of a Pensioner>(2013), Lu Yang(상하이)의 <UlterusMan>(2013-14), Bu Hua(베이징)의 <The Last Phases of the Future>(2014), PHUNK(무국적)의 트리엔날레 포스터와 월페인팅 등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이 많은 작업에도 근대적 이미지 속의 지역성이 강조되거나 일본의 망가나 애니메이션을 연상시키는 SF적 요소가 눈에 띄었다. 물론 내용적 측면에서는 상이하지만 감각적으로는 기획자의 시각을 가늠케 하는 하나의 이미지 덩어리로 다가왔다.
20세기 후반 이후 세계 질서의 변동과 경제발전을 토대로 아시아는 통합에의 전망을 품게 되었다. 그 통합의 실마리를 ‘미술’에서 찾는 FT5는 올해의 특징으로, 일본은 물론 국제적으로 전혀 소개된 바 없는 각국의 신진작가 소개에 중점을 두었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하던 시대가 있었던가. 이제 아시아의 모든 길(미술)이 후쿠오카로 통할 날은 그리 멀지 않은 것 같다. 국제전람회로서 FT에 전시 이후 출품을 미술관에 컬렉션하는 등의 적극성도 대회와 미술관에 대한 신뢰를 배가된다.
FT나 미술관은 ‘아시아성’을 규정하고 있지 않음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근대적 기제로서의 미술관과 전시라는 형식은 그것을 의도하지 않더라도 ‘아시아’라는 이름으로 호명, 전시, 출판되는 시스템 안에 배열되는 한 어느새 후쿠오카 초, 후쿠오카 발 ‘아시아다움’은 만들어 질 것이다.
‘몽골화’ 등 일반적인 미술개념의 기준으로는 소재도 기법도 다소 진부해 보일 수 있는 작업과 ‘일본 대표’ 작가가 아닌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후쿠오카의 일러스트레이터 요시나가 고타쿠의 작업, 그리고 후쿠오카와 부산을 잇는 지역 간 네트워크 그룹인 WATAGATA Arts Network의 활동과 프로그램 등을 비중 있게 다루는 등의 선택은 분명 미술관을 기반한 갱신과 새로움에의 도전이다. 그러나 이번 전시에 출품된 작품과 활동의 성격들이 미학적 조형적 측면에서 재고의 여지가 있는데 올해 트리엔날레가 다시 되묻고 있는 질문, 즉 ‘예술/미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끝나지 않는 반성을 상기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계는 국제전으로서 30여년 이상에 걸쳐 지속적으로 아시아 미술을 조사, 연구, 수집, 데이터화해 온 FT가 이미 역사가 되고 있음에서 비롯된다. 어느새 5회 째의 후쿠오카초(初), 후쿠오카발(發) ‘아시아’의 역사가 말이다. ●

본격적으로 트리엔날레가 시작되는 7층 미술관 입구 최정화 작품 Photo by 김주원

본격적으로 트리엔날레가 시작되는 7층 미술관 입구 최정화 작품 Photo by 김주원

[separator][/separator]

interview

35. 구로다 라이지<제5회 후쿠오카 아시아미술 트리엔날레 2014>예술감독 구로다 라이지(黒田雷児) 후쿠오카아시아미술관(FAAM) 학예과장

“ ‘지역’의 문화와 그 사회에 기초한 표현을 주목했다”

FT는 다른 비엔날레들과 어떤 차별성을 가지는가?
아시아의 21개국・지역에서 반드시 한 명 이상의 작가를 선정한다. 이는 전지구화에 대한 비판적 자세를 견지하는 것이다. 둘째, 미술관 내부의 지속적인 조사에 기반을 둔 기획과 운영, 작품 수집에 있다. 이와 같은 전시 운영방식은 세계적으로 드물다.
이번 FT5의 특징 중 하나는 신진작가를 대거 초청한 것이다.
국제무대에서 알려지지 않은 아시아의 작가를 소개하는 것이 FT의 특징이다. 또 이전의 전람회와는 다른, 새로운 경향을 보여야 하는 것이 트리엔날레의 숙명이기 때문이다. 물론 예외도 있다. FT4에서 FAAM 10주년과 맞물려 국제적 인지도가 높은 작가도 출품했다. 우리는 철저하게 로컬리즘에 기초한다. 후쿠오카의 지방성도 아시아의 지역성과 같은 무게로 존중한다.
FAAM과 FT가 표방하는 ‘아시아성’은 무엇인가?
공식 정의된 적은 없다. 아마 앞으로도 아시아성을 정의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그것은 실천으로 탐구되고 실증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시아성’이 아니라 ‘아시아 미술’이란 무엇인가를 묻는다면, 특정 아시아 지역의 문화·사회·역사를 아시아의 작가가 주체적으로 표현한 미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FT5에 대한 내 인상은 상당 부분 팬시하고 망가적이었다.
젊은 작가의 만화적 애니메이션적 혹은 SF적인 작품이 이번 FT5에 많은 것은 사실이나 그것을 주제로 삼지는 않았다. 일본 만화가 세계에서 인기를 모으는 거대 산업인 것은 맞지만, ‘만화=일본문화’ 식의 인식은 동아시아에서만 통용되고 있다. 실제로 필리핀, 인도, 인도네시아에서는 미국 만화의 영향이 크다.
당신들 관점에서 ‘아시아’와 서양은 어떤 점에서 다른가?
구체적으로 어느 작품을 말하는지 모르지만 흥미로운 의견이다. 왜냐하면, 완전히 정반대로 평가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FT가 작품의 ‘무국적화’를 진전시키고 있다고 생각한다. 초기 FT처럼 아시아의 전통예술 양식, 형식, 주제를 다룬 ‘전근대적’ 성격의 작품은 지양하고 있다. 예컨대, 인도네시아의 Prilla Tania는 인도네시아의 전통문화와 예능을 참조하여 국제미술계에서 평가 받는 작가와는 다르다. 서양과 아시아라는 이분법이 아닌 ‘지역’의 문화와 그 사회에 기초한 표현을 주목했다.
당신들이 보는 한국미술계의 특성은 무엇인가?
‘한국미술’ 아님 ‘한국미술계’? 잘 모르겠다. 다만 일본보다는 미술관 건축, 행정적 지원, 개인 컬렉터 같은 현대미술을 둘러싸고 큰돈이 움직이고 있다는 인상이고 국제적 경험이 있는 작가와 큐레이터가 부쩍 늘었다.그러나 예술로서의 근원적인 충격력을 잃고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국내외에서 이해할 수 없는 과대평가를 받는 작가가 적지 않은데 특히 서구 경험이 있는 작가가 그렇다고 본다. 후쿠오카=김주원

 

[kim shin’s design essay 4]

장식이 된 근육

김신  디자인 칼럼리스트

예전에는, 그러니까 1990년대만 해도 우리나라 남자배우 몸이 지금처럼 근사하지 않았다. 스크린에서 남자배우가 옷을 벗었을 때 시각적으로 즐거움을 얻는 일이 없었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옷을 많이 벗지도 않았던 거 같다. 반면에 할리우드 영화를 보면 남자 배우들이 얼굴은 물론 몸매에서도 눈부신 아름다움을 과시했다. 내가 대학생 때, 그러니까 1980년대 말쯤에 본 <탑건>이란 영화에서는 전투기 조종사로 분한 남자 배우들이 웃통을 벗고 비치발리볼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주인공 톰 크루즈를 비롯한 남자들이 땀에 젖어 번들거리는 근육질 몸매로 배구를 하는 역동적인 모습을 슬로모션으로, 그리고 잘게 편집된 화면으로 보여준다. 이 장면은 사실 영화의 줄거리에서 별로 중요하지 않은. 아예 사라져도 아무 상관없는 장면이다. 순전히 관객에게 눈요깃거리를 제공할 뿐이다. 미스코리아 선발대회의 수영복 심사처럼 순수하게 예쁜 남자 몸 감상하는 시간인 거다. 그렇지만 이 장면은 굉음을 내는 전투기들의 화려한 공중전만큼이나 강렬한 인상으로 머릿속에 남아 있다. 1980년대뿐만 아니라 더 거슬러 올라가도 할리우드 남자배우의 몸은 늘 근사했던 거 같다. 어릴 때는 미국 남자들 몸이 다 그런 줄 알았다. 남자 몸이 그렇게 근육질의 광택이 나게 하려면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건 남자인 나 자신이 커가면서 자연스럽게 알 수 있었다.
지금은 우리나라도 남자, 보통 사람 말고 미디어에 노출되는 젊은 연예인이라면 근육질 몸매를 가져야 하는 게 기본이 된 거 같다. 배우는 당연하고 가수, 이른바 아이돌 스타들, 심지어는 개그맨까지 빨래판 복근 자랑하는 걸 TV나 잡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이제 한국 영화에서도 남자들이 웃통 벗는 장면을 예사로 볼 수 있다. 톰 크루즈 부럽지 않은 시대가 된 거다. 사실 젊은 남자 배우들이 죄다 조각 같은 몸을 자랑하는 건 영화의 리얼리티에 흠집을 낸다. 바둑을 소재로 한 영화 <신의 한수> 예고편을 보았다. 고수 두 명이 얼음창고에서 웃옷을 벗고 바둑을 두는 장면은 현실성이 너무 떨어져서 영화를 보고 싶단 마음이 달아나게 할 정도다. 옷 벗고 얼음창고에서 목숨 걸고 바둑 둔다는 설정보다 고수들의 몸매가 현실과 너무나 동떨어져서다. 조훈현, 서봉수, 이창호, 이세돌, 내가 아는 바둑 고수들을 떠올려보면 그들의 이미지는 몸매와는 거리가 한참 멀다. 바둑은 가슴을 처지게 하고 배를 나오게 할 수는 있어도 근육을 만들어주지는 않는다. 관객의 시각적 즐거움을 위해서라면 그 정도 리얼리티의 결함은  아무것도 아닐 것이다. 흥행이 먼저 아니겠는가.
영화와 TV, 잡지에 근사한 몸을 가진 사람들이 자꾸 노출되는 건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거 같다. 보통 사람들도 그런 몸매를 갖고자 노력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젊은 사람은 물론 40~50대, 심지어는 60~70대 할아버지들까지 복근 자랑하는 시대가 되었다. 미디어는 이들을 자꾸 노출시키고 이들의 자기 관리와 절제, 의지력을 칭찬한다. 마치 한국 사람 전반이 미학적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거 같은 분위기다. 체육관에서 몸을 단련한 아주머니, 아저씨들이 TV에 나와 어떻게 그런 몸매를 갖게 되었는지 증언한다. 그런 몸이 화면에 등장하면 방청객들이 ‘우와’ 하고 탄성을 지르는 건 이제 진부한 장면이다.
나는 남자들의 아름다운 몸을 대할 때마다 그게 장식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그들의 몸은 노동으로 단련된 게 아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사냥이나 전투와 같은 기능을 위해 자연스럽게 근육질 몸이 되었다. 대부분 사무실 의자에 가만히 앉아서 일하는 현대인은 바둑의 고수만큼이나 건강하고 보기 좋은 몸을 만들 기회가 없다. 그런 몸을 가지려면 억지로 시간을 내서 체육관에 가야 한다. 돈과 시간이 필요하다. 그렇게 얻은 탄탄한 가슴과 복근은 쓸 일이 거의 없다. 다시 말해 애써 단련한 근육의 힘으로 뭔가 생산적인 일을 하지 않는다. 대신 다른 용도가 생겼다. 남들 눈에 보여주는 거다. 그냥 보여주는 게 아니라 과시다. 굳이 맨몸이 아니더라도 잘 단련된 몸은 옷을 입었을 때 맵시가 나게 만든다. 이건 무슨 뜻인가? 근육은 그 기능에서 해방돼 순수한 장식이 된 거다. 아이에게 젖을 주지 않는, 즉 수유 기능을 제거하고 미적 감상만을 남긴 여자의 가슴과 똑같다. 한마디로 근육은 더 이상 어떠한 기능도 염려하지 않아도 되는 예술이 되었다.
이 예술품을 만드는 데는 노력이 필요하다. 혹독한 훈련을 해야 한다. 따라서 이 예술품은 단지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그것을 만드는 과정에서 건강을 덤으로 준다. 그런 혜택을 알지만 대다수 사람은 박약한 의지와 바쁜 일정으로 중도에 포기하고 만다. 그런 몸을 얻은 사람들이 위대해 보이고 미디어의 각광을 받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럼 어떤 부류의 사람들이 각광을 받는가? 첫 번째는 연예인. 몸이 재산인 직업인이다. 두 번째는 좀 연세가 든 분들. 이 분들은 상대적으로 시간이 많다. 세 번째는 돈 많은 여성들. (요즘은 여자들도 근육을 단련한다.) 이들이 근육을 얻는 데 필요한 핵심 요소는 의지보다는 돈이다. 개인 트레이너를 살 수 있는 돈이 있어야 박약한 의지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미디어에 등장하는 아름다운 몸이란 기능과 무관한 장식이며, 의지보다는 돈의 결실이다.●

속옷광고

속옷 광고 속 남자 모델의 근육은 노동의 의미를 제거하고 순수한 장식적 아름다움을 과시하도록 연출된다.
맨즈헬스

《맨즈헬스》와 같은 남성 잡지는 아름다운 몸매를 단련하고 과시하는 것이 현대 남성의 라이프스타일이 되었음을 반영한다

위·최수앙 <Condition for Ordinary–colonization> Oil on Resin, steel 45×52×103cm 2013

 

[art book] ‘미술학’의 탄탄한 기초 다지기

최병식 인물 (3)‘미술학’의 탄탄한 기초 다지기

최병식 지음
《뉴 뮤지엄의 탄생》 동문선 2010
《박물관 경영과 전략》 동문선 2010
《미술품 감정학》 동문선 2014

동양미학에서부터 미술관·박물관 경영, 미술시장과 투자, 그리고 최근에는 미술품 감정학까지 저자 최병식의 저술 활동은 그 범위가 상당하다.  현재 경희대에서 ‘미술비평과 경영’을 강의하는 그는 198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30여권의 저서와 편저를 출간했다. 동양회화미학을 연구하던 그가 어떻게 감정학연구서를 낼 수 있었을까. 그는‘도대체 전공분야가 무엇이냐’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대학시절 실기를 하면서 현대미술 속 빛바랜 한국미술의 뿌리, 정신을 찾아야겠다고 결심했다. 그렇게 대만 유학길에 올라 미술사를 전공했다. 귀국 후 중국회화론뿐 아니라 미술비평 분야의 저술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저자의 불타는 열정에도 불구하고 동양미학에 대한 주변의 관심은 냉랭했다. 그러던 중 1990년대 초반 ‘미술품양도세 문제’에 대한 연구의뢰를 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미술경영에 대한 본격적 리서치를 시작했고 2001년 미술시장의 역사와 미술품 유통구조, 개선방향 등을 정리한《  미술시장과 경영》을 출간했다. 이 책은 출간되자마자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고 현재까지 다수 대학에서 미술시장 강의의 교재로 활용되고 있다. 2010년 그는 미술관 시리즈 3부작이라고 할 수 있는《  뉴뮤지엄의 탄생》《  박물관 경영과 전략》《  뮤지엄을 만드는 사람들》을 출간했다. 시장에서 박물관학으로 또다시 영역을 확장한 셈이다. 2004~ 2005년 국가 정책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전국의 박물관 미술관을 둘러보며 미술관 평가단장을 역임했다. “당시 국내의 뮤지엄을 돌아다니며 전문가를 인터뷰하고 현장 실태를 조사하면서 저자는 열악한 환경에 당혹감을 감출 수 없었다”며 박물관학에 대해 연구하게 된 이유를 밝혔다.
최근에 출간한《  미술품 감정학》도 뮤지엄 연구의 연장선상에 있다. 국내 뮤지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때 유럽 7개국의 박물관들을 함께 조사했다. 이때 저자는 감정학 연구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10개국을 직접 방문하여 감정 시스템, 판례, 감정과정을 알아봤다. 감정가의 자격기준, 활동규모, 교육과정, 진위판정사례, 과학적 분석방법 등에 관하여 전문가들을 인터뷰하고 자료를 수집했다. 각각의 자료를 모아 하나로 정리하고 합친 결과물은 쉽게 읽힐지 모르지만 그 과정은 물리적으로 긴 시간을 요한다. 보통 하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데 약 5년의 시간이 드는데《  미술품 감정학》은 제작하는 데 7년이 걸렸다. 작품에 대한 감정은 미술시장과 미술경영의 기본요소다. 기초학문이 턱없이 얕은 우리나라에 비해 유럽지역 감정사들의 전문성은 뛰어났고 시스템은 체계적이었다. 카탈로그 레조네의 부제가 대표적인 예다. 카탈로그 레조네란 작가의 작품 이미지와 기본정보를 모은 아카이브를 뜻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장욱진만이 미흡하게나마 기초적인 자료를 갖고 있다. “작품 기록의 기본 틀도 맞춰져 있지 않다. 표기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라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미술품 감정의 요소 및 용어’를 설명하는 제2장은 일반적 미술품 감정 용어와 국가별 용어를 함께 표기해 눈길을 끈다. 용어의 중요성을 제시하는 만큼 저자 또한 기록의 방식을 세밀하게 표현하려 노력했다. 외래어의 정확한 표기, 외국 박물관 이름의 띄어쓰기까지 정형화된 규칙 없이 사용되던 것을 바로잡으려 했다. 또한 그는 글을 쓰는 데 그치지 않고 책의 표지, 디자인, 책에 실리는 사진까지 모두 직접 관여했다. 책에 게재된 통계자료가 시간이 흐르면 무의미해지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듣기도 한다. 저자 또한 이 부분을 고민했다. 그러나 책 후반부에 통계자료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게재해 정보를 제시하는 것에 의미를 부여했다.
최병식은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매년 원고지 7만 장 분량의 글을 쓴다”고 말한다. 글을 쓰면서 그가 가장 염두에 두는 부분은 현장과 이론의 접목이다. “현장에서 사용할 수 없는 학문은 결국 묻힐 수밖에 없다. 현장과의 연결성을 염두에 둔다”라고 말했다. 미술 현장에 대한 열정 하나로 장르를 넘나들며 끊임없는 저술활동을 펼치고 있는 그는 현장감이 살아있는 다음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다.임승현 기자

최병식은 1954년 전북 고창에서 태어났다. 경희대에서 미술교육을 전공하고 대만 중국문화대학교 예술대학원 미술 석사, 성균관대 예술철학 박사를 수여받았다. 한국사립박물관협회, 한국사립미술관협회 등의 자문위원이며, 한국박물관협회 자문위원장, 박물관협회 복권기금 지원 평가단장을 역임했다. 미술평론·박물관 및 미술관·예술경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현재 경희대 미술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separator][/separator]

아트북 (8)진경문화

한국민족미술연구소 엮음

우리 문화를 꽃 피운 진경시대의 사상, 문화, 예술, 생활을 다양한 분야의 글을 통해 소개한다. 18인의 전문가가 조선시대 역사문화의 안목을 제시하는 책으로 전문적인 내용이지만 적절한 도판을 수록해 비전문가도 다가가기 어렵지 않다.
현암사 416쪽·28,000원

 

 

 

[separator][/separator]

아트북 (3)이주헌의 서양미술 특강

이주헌 지음

서양미술을 우리의 시각에서 바라보며 그들의 정신을 이해하려 애써온 저자의 강의를 집대성한 책. 서양미술 강의를 17년간 진행하며 서양미술의 핵심으로 꼽은 인간중심, 사실주의, 감각적 성격이란 세 가지 특징이 책의 뼈대를 이룬다.
아트북스 248쪽·15,000원

 

 

 

[separator][/separator]

아트북 (12)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100

이규현 지음

거래 가격이 알려진 최고가 작품 100점을 순위대로 나열했다. 한자리에서 볼 수 없는, 총액 7조 원에 달하는 100점의 작품 도판을 모두 실었다. 단순히 그림가격을 명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작품에 대한 미술사적 해설을 덧붙여 이해를 높였다.
알프레드 560쪽·50,000원

 

 

[separator][/separator]

아트북 (11)예술적 원숭이

데지먼드 모리스 지음/정미나 옮김

털 없는 원숭이》로 유명한 동물학자이자 초현실주의 화가로 활동한 저자가 300만 년에 걸친 인류의 진화 과정을 미술의 변화에 따라 추적했다. 인간과 비인간군의 미술 진화, 아동, 부족미술 등의 설명은 인류 시각예술의 오랜 역사를 아우른다.
시그마북스 320쪽·33,000원

 

 

 

[separator][/separator]

아트북 (2)발칙한 현대미술사

윌 곰퍼츠 지음/김세진 옮김

테이트갤러리 관장을 지내고 BBC 아트디렉터로 활동 중인 저자가 미술 입문자들의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쓴 책이다. 약 150년의 현대미술사를 사조별 특징을 적절히 표현한 재치 있는 일러스트와 이야기 서술 방식으로 쉽게 설명한다.
알에이치코리아 560쪽·25,000원

 

 

 

[separator][/separator]

아트북 (4)미술사방법론

로리 슈나이더 애덤스 지음/박은영 옮김

전통적인 방법부터 오늘날 작품 해석의 다양한 이론까지 소개해 미술사방법론 입문서로 사랑받아온 책의 개정판. 주요 이론가들의 핵심이론을 11장에 나눠 설명하고 이 방법론을 접목해 티치아노의 작품을 해석한 에필로그가 주목된다.
서울하우스 368쪽·18,000원

 

 

 

[separator][/separator]

아트북 (1)다빈치, 비트루비우스 인간을 그리다

토비 레스터 지음/오숙은 옮김

다 빈치가 인체 비례를 표현한 그림, <비트루비우스>. 다수에게 익숙하나 알려진 내용이 거의 없는 이 그림을 통해 젊은 시절의 다 빈치와 그의 그림을 철학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이 그림이 자화상일지 모른다는 저자의 주장이 눈길을 끈다.
뿌리와이파리 320쪽·15,000원

 

 

 

[separator][/separator]

아트북 (7)날마다 한 걸음

하정웅·권현정 지음

테이트갤러리 관장을 지내고 BBC 아트디렉터로 활동 중인 저자가 미술 입문자들의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쓴 책이다. 약 150년의 현대미술사를 사조별 특징을 적절히 표현한 재치 있는 일러스트와 이야기 서술 방식으로 쉽게 설명한다.
알에이치코리아 560쪽·25,000원

 

 

 

 

[separator][/separator]

아트북 (5)아트 비지니스

박지영 지음

아트 비즈니스 전공 1세대 저자의 미술시장과 미술경영에 대한 개론서. 날이 갈수록 규모가 커지는 미술시장을 풍부한 최근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생생하게 들려준다. 시장, 마케팅, 투자 그리고 미술관련 법까지 현장에서 필요한 요소를 짚어준다.
아트북스 272쪽·17,000원

 

 

 

[separator][/separator]

아트북 (10)

뭉크

스테펜 크베넬란 지음/권세훈 옮김

그래픽노블 작가인 저자가 뭉크의 우울한 분위기를 특유의 필치로 유머러스하게 표현했다. 7년간의 작업으로 완성된 이 책은 그의 생애 중 1880~90년대의 삶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뭉크와 주변인들의 글을 그대로 발췌해 생생한 목소리를 살렸다.
미메시스 228쪽·22,000원

 

 

 

[separator][/separator]

아트북 (9)쉽게 하는 현대미술 컬렉팅

베아트릭스 호지킨 지음/이현정 옮김

미술 컬렉팅에 입문하는 사람들에게 생소한 미술전문용어부터 작품 고르는 안목 키우는 방법까지 알려주는 친절한 미술시장 지침서. 런던 파이낸셜 타임tm에서 발행하는 주간 <How to Spend it>의 부편집장인 저자의 현장감이 돋보인다.
마로니에북스 248쪽·18,000원

 

 

 

[separator][/separator]

아트북 (6)폰트의 비밀2

고바야시 아키라 지음/이후린 옮김

모노타입사의 타입디렉터로 일하는 저자가 세계 각지 거리의 간판, 표지판, 인쇄물, 광고판 등에서 발견한 다양한 글자체를 풍부한 사진과 함께 보여준다. 전작에서 다루지 않은 폰트를 만드는 과정을 소개하는 등 실용적인 측면을 더했다.
예경 208쪽·18,000원

[Art Journal]

평화의 목소리를 높이다

파주평화발전소 미술제 <끝과 시작>

파주출판단지를 중심으로 도라산역과 판문점 자유의 집에서 평화를 주제로 한 파주평화발전소 미술제 <끝과 시작>(10.3~11.30)이 열렸다. 파주평화발전소는 대북 교류와 협력 창구로서 동시대미술을 통해 인류 보편적 의미로서 평화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키고자 이번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행사는 장소가 갖는 상징적 의미를 살리되 한반도의 평화통일이라는 주제에 한정짓기보다 보편적인 이슈를 생성하고자 했다.
본전시는 출판도시 내 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에서 열렸다. 백남준, 이우환, 이불, 최우람, 전준호, 올라퍼 엘리아슨 등 국내외 작가 18명의 설치·영상을 비a롯 다양한 장르의 작품 20점이 전시되었다. 이들의 작품은 오늘날 우리가 당면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다루고 있어 의미가 깊다. 이번 전시에서 무엇보다 주목되는 곳은 60년 만에 처음으로 민간 미술전시가 열린 남북 군사분계선에 위치한 판문점이다. 김혜련 작가는 <마지막 철조망>와 <동쪽의 나무>를 전시해 평화에 대한 의미를 부각시켰다. 자유의 집 공간을 가득 메운 16개의 캔버스가 깊은 울림을 준다. 또한 남한 최북단 역인 도라산역에서는 마리코 모리의 대형 사진작품 <종말의 시작>과 김승영의 <공사 중인 평화의 탑>이 설치되었다. 높이 6m가 넘는 김승영의 작품은 역사 내부를 꽉 채운다.
전시에 맞춰 파주평화발전소는 파주 출판도시문화재단 후원으로 ‘평화’를 주제로 10명의 발표자가 4회에 거쳐 발제와 논의를 이어가는 형식의 대담을 진행한다. 이들은 서구의 제도와 문화가 팽배해서 생기는 문제와 그에 대한 해법, 평화 실천을 위한 예술의 가능성 등을 모색한다. 도라산역 방문 방법은 코레일 홈페이지(http://www.letskorail.com/ebizprd/EbizPrdTrainDMZ Intro_info.do)에서 확인 가능하며 판문점 자유의 집에서 열리는 김혜련 작가의 전시는 단체 신청으로 전시관람이 가능하다. 한편 도라산역과 판문점에 전시 중인 작품은 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에서 모니터를 통해서도 관람할 수 있다.

[bold_title][/bold_title]

두산연강예술상

수림사진

예술가 지원을 위한 시상식

〈제5회 두산연강예술상〉·〈제1회 수림사진문화상〉시상

제5회 두산연강예술상 시상식이 10월 16일 두산아트센터에서 열렸다. 올해 공연부문은 이경성이, 미술부문은 강동주, 이윤성, 안정주(왼쪽 사진)가 수상했다. 미술부문 수상자들은 각각 1000만 원의 상금과 두산레지던시 뉴욕 입주, 두산갤러리 서울과 뉴욕에서의 전시기회 등 9000만 원 상당의 지원을 받는다. 두산연강예술상은 성장가능성이 기대되는 만 40세 이하 예술가를 대상으로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다.
한편 수림문화재단이 올해 제정한 사진분야 상인  <제1회 수림사진문화상>이 작가상과 공로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작가상은 류은규 박현두 이원철 임수식 임인나가, 공로상은 윤세영 이규상(오른쪽사진)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작가상 수상자에게는 각 500만원, 공로상 수상자에게는 각 300만 원의 지원금이 수여된다. 이번 문화상 시상식은 10월 22일 시행됐고 작가상 수상자 5인의 전시는 10월 21일부터 30일까지 한벽원갤러리에서 열렸다.

[bold_title][/bold_title]

닻 (3)

자연을 보는 예술가의 태도

닻 미술관 <Flow, 무아 경(無我 景)>

자연을 삶 속으로 끌어들여 승화시킨 작가 바바라 보스워즈와 내면의 풍경을 나타내는 김윤수 그리고 물속 생의 역동성을 표현한 웨인 레빈의 3인전 <Flow, 무아 경(無我 景)>이  10월 11일부터 12월 28일까지 경기도 광주에 위치한 닻미술관에서 진행된다.
바바라 보스워즈와 웨인 레빈은 협업 작업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자연을 바라보는 시간이 자연스레 이어진 흑백사진으로 눈길을 끈다. 서로 다른 시선으로 자연을 바라보는 3인 작가의 예술기록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자연에 대한 맹목적 찬미를 넘어 삶에 대한 작가들의 예술적 이해를 담고 있다. 전시와 더불어 10월 17일에는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닻프레스 스튜디오에서 바바라 보스워스와 웨인 레빈과 함께하는, 아티스트 토크를 진행해 작가들의 이야기를 직접 들을 수 있는 시간을 마련했다. 닻미술관뿐 아니라 닻프레스 스튜디오에도 작품을 배치하여 많은 사람이 접할 수 있었다.

[bold_title][/bold_title]

7.김지은

시대를 뛰어넘는 예술가의 대화

북서울미술관 개관 1주년 기념전 <타이틀매치>

북서울미술관이 개관 1주년을 맞아 한국현대미술의 대표적인 원로작가와 차세대 작가를 매치한 2인전을 진행한다. <타이틀매치전>의 첫 번째 전시로 원로작가 강은엽과 주목받는 젊은 작가 김지은을 선정했다. 두 작가는 세대는 다르지만 한 전시공간에서 대립하면서 한편으로 어우러지는 분위기를 연출해 시대를 뛰어넘는 협업전시를 만들aaaa
전시는 두 작가의 거주지를 중심으로 발전해 나간다. 강은엽은 ‘나무와 함께 걷기’라는 주제를 내걸고 자연 속의 일상을 보여준다. 함께 살고 있는 개 10여 마리와 숲을 산책하며 느끼는 자연에 대한 경이로움을 기록했는데 청계산 계곡마을 근방에 사는 그에게 자연은 지극히 일상적인 공간이다. 작가는 오랜 시간 숲을 거닐며 자연의 생성소멸과정을 지켜보면서 느낀 숭고미를 작품에 담았다. 반면 레지던시를 옮겨 다니며 작업하는 김지은은 거주지를 이동할 때마다 예민한 관찰자의 시선을 놓치지 않는다. ‘도시_돌아보기’를 주제로 한 이번 전시에서는 서울과 벽제, 디트로이트와 뉴욕의 풍경을 통해 도시 속의 비일상적인 일상을 예리한 시각으로 포착한 작품을 선보인다. 전시는 10월 7일부터 11월 23일까지 계속된다.

[bold_title][/bold_title]

아트플랫폼 전경

참여작가 보이콧에 이은 행사 중단

인천평화미술프로젝트 무산

지난 4년간 서해 최북단인 백령도에서 분단과 평화를 주제로 전시를 펼쳤던 인천평화미술프로젝트의 올해 전시가 결국 무산됐다. 본래 8월 개막 예정이었으나 두 달 가까이 일정을 연기해왔다. 본래 예술감독이었던 이승미 인천아트플랫폼 관장이 직위해제된 상황에서 인천시의 참여 작가에 대한 지원이 보류되는 등 잡음이 끊이지 않았음에도 프로젝트를 주최한 인천문화재단은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에 참여 작가 60명 중 20여명이 9월 30일과 10월 16일에 참여거부와 김윤식 재단 대표이사 사퇴 요구 성명을 냈다. 결국 10월 20일 조직위원회는 행사 중단을 공식발표했다.

[bold_title][/bold_title]

대전-고마 (1)

충남지역민의 문화예술 거점을 열다

아트센터 고마의 개관기념 특별전

백제의 고도(古都) 공주에 세워진 아트센터 고마의 개관기념 특별전〈  고마, 예술로 물들다: 다빈치에서 잭슨 폴록까지〉가 10월 22일 개막, 12월 10일까지 50일간 열린다. ‘고마’란 ‘곰’의 옛말로, 현재 아트센터가 위치한 곳의 옛 지명 고마나루에서 따왔다. 충남의 문화예술 중심지 역할을 하겠다는 뜻으로 지난 2014년 9월 25일 공식 개관한 복합문화예술센터 고마는 공주 한옥마을 옆 7만1294㎡ 부지에 연면적 6123㎡, 지상 3층 규모로 건립되었으며, 3개의 전시실과 7개의 세미나실, 수장고, 야외 전시장, 인공 호수 및 산책로를 갖추고 있다.
이번 특별전은 미국 시카고 소재 로이드 신 갤러리(신성균대표)의 소장품 중에서 76점을 엄선하여 르네상스에서 현대미술까지 서양미술 거장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전시다. 회화, 판화 그리고 올림픽 예술판화로 나뉘어 구성된 1층 컨벤션홀에서는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천재작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드로잉작품을 비롯하여 뒤러, 렘브란트, 르누아르, 모네, 마티스, 잭슨 폴록 등의 회화 원작을 감상할 수 있다. 판화 중에는 드가, 로트레크, 마티스, 샤갈, 피카소 등이 원판에 서명한 희귀본과 달리, 술라주, 타피에스 등 초현실주의와 추상표현주의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도 전시돼 주목된다. 올림픽 예술판화는 1988년 서울올림픽 기념 공식 예술판화 사업권자였던 로이드 신 갤러리가 제작한 것들로 15개국 24명의 작가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전시와 함께 10월 31일까지 특별전〈   환태평양 미술축제〉도 열려 동·서양의 현대미술을 비교 감상할 수 있었다. 충남 도민들은 문화예술 향유를 위한 거점 공간이 탄생했다며 깊이 있고 다양한 전시를 통해 지역민에게 사랑받는 미술관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한다는 뜻을 밝혔다.대전=이정윤 통신원

[bold_title][/bold_title]

이명애

나노입자에서 우주를 보다

이명애 개인전 <공존과 변이-이명애전>

세상을 구성하는 다양한 존재들 사이의 공존과 변화의 관계를 고민하는 작가 이명애의 초대기획전이 10월 7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갤러리에서 계속된다.
실생활의 재료를 활용해 직접 제작한 캔버스를 사용해 자연의 생명력을 더했다. 가공하지 않은 다양한 매체를 혼성하여 자연스러우면서 독창적인 작품을 선보인다. 전시가 열리는 제주의 자연과 우주의 순환을 표현한 작품이 어우러져 관객에게 깊이 있는 감동을 선사한다.

[bold_title][/bold_title]

행촌미술관

남도의 정서와 예술의 기록

행촌문화재단 설립

평생을 해남과 장흥, 진도 지역 예술가들을 후원해온 미술애호가 고(故)행촌 김제현 박사. 행촌의료재단의 설립자였던 그는 지난 2000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이름없는 작가들을 후원하는 등 남다른 예술 사랑을 펼쳤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미술인들은 그의 사랑채에서 몇 달씩 기거하면서 작품 활동을 했고, 김 박사는 그들이 떠날 무렵 작품을 구매하는 것을 평생 낙으로 여겼다. 그가 그렇게 수집한 작품은 200여 점에 달한다.
행촌 선생의 아들인 해남종합병원 김동국 원장이 부친의 뜻을 계승해, 그와 함께 시대를 풍미한 예술가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기 위해 행촌문화재단(이사장 김동국)을 설립했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의 설립 인가를 받은 행촌문화재단은 10월 17일 해남종합병원 내에 행촌미술관을 개관하고 첫 전시로 고인의 예술 사랑과 삶을 의미하는 <인생-풍류가인(人生-風流佳人)전>을 개최했다. 전시는 오는 12월 12일까지 계속된다. 김 원장은 부친이 수집한 작품들의 활용방안을 고민하다가 지역 예술인들의 발자취를 살펴보자며 올봄부터 행촌문화재단 설립을 추진해왔다. 재단 대표이사는 이승미 전 인천아트플랫폼 관장이 맡았다.
행촌문화재단은 미술관과 함께 해남 문내면 임하도에 있는 수련원을 작가 창작 레지던시 공간으로 꾸미고, ‘임하도 작업실’이라고 이름 지었다. “동시대 예술가들의 창작활동을 도와야 한다”는 고인의 유지를 따라서다. 아름다운 낙조와 풍광을 자랑하는 우수영 인근 임하도 작업실은 4~5명의 작가가 입주해 작업할 수 있는 규모다. 지난해 이중섭미술상 수상자인 서용선(전 서울대 교수) 작가가 지난 6월부터 입주해 현재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광주=박진현 통신원

[bold_title][/bold_title]

육영혜

고(故) 육영혜를 기억하다

《기억의 정원》 출간

지난 10월 6일 류가헌에서 열린 고(故) 육영혜 일주기 추도모임에 맞춰 지인들이 고인이 생전에 쓴 글을 모아 책을 출간했다.
기억발전소 공동대표이자 사진전문 잡지   《   포토넷》 편집장을 엮임하며《   포토넷》에 게재한 ‘에디터스 레터’, 기자로 썼던 ‘애프터 노트’를 비롯해 외부 기고 등 사진에 대한 열정이 담긴 글을 엮었다. 더불어 그를 그리워하는 지인들의 추모 글을 엮은 부록도 출간했다.

[bold_title][/bold_title]

부산-감만

감만창의문화촌에서 열리는 주민 참여형 축제

감만아트페스티벌 개최

부산문화재단(대표이사 이문섭)이 운영하는 감만창의문화촌에서 10월17일부터 19일까지 감만아트페스티벌을 개최했다.
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감만아트페스티벌은 주민 참여형 축제를 표방해 준비 단계부터 예술가와 지역주민이 함께 했다. 패시티벌은 감만동 거주 할머니들로 구성된‘감만할매 합창단’과 시민 문화예술동아리의 합창공연, 감만창의문화촌 입주 예술가들의 콘서트로 막을 올렸다.
전시작 중에선 감만창의문화촌 운동장 전체에 걸쳐 설치된 리사이클링 아트 작품이 눈길을 끌었다. 동천초등학교 교실에서 나온 폐자재를 재활용해 지은 상상오두막집, 헌옷을 이용해 만든 만국기와 털실 옷을 입힌 나무, 페트병 트리와 수직정원 등 주민과 함께 만든 작품이 건물과 운동장 곳곳에 설치되었다. 야간에는 작품에 조명이 더해져 감만동의 새로운 명소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외에도 감만동 추억의 사진전과 음악다방, 예술시장과 더불어 문화예술체험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한편 감만창의문화촌의 두 번째 오픈스튜디오〈   감만사계〉도 같은 기간에 열려 방문객들이 더욱 다양한 작품을 감상할 수 있었다.  부산=김은경 통신원

[bold_title][/bold_title]

고지도

문명을 반영하는 고지도

계간 《고지도》창간

고지도를 다룬 대중 잡지가 출간되었다. 창간호 기획으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를 다루고 모사 축쇄본을 제작했다.
《   고지도》를 제작한 티미카코리아의 김태진 대표는 “국제지도수집가협회 한국 대표로 타 국가에 비해 고지도 확보 수준이 뒤처지는 현실에 문제의식을 느꼈다”고 말했다. 지도에 대한 대중의 흥미를 고취시키고, 국문뿐 아니라 영문 기사를 상당부분 작성함으로써 세계에 우리 고지도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했다.

[bold_title][/bold_title]

이상원 (3)

신생 미술관 | 이상원미술관

“자연 속에 들어선 예술과 치유의 공간”

강원도 춘천 화악산 자락에 미술관이 들어섰다. 아늑한 봉우리를 마주하고 계곡이 흐르는 면을 따라 서있는, 전면이 유리로 된 둥근 모형의 건물은 산을 오르는 중턱에서부터 눈길을 사로잡는다. 피엠아이건축의 안병호 소장과 토아건축의 윤태주 대표가 설계·시공한 이 건물은 안과 밖이 모두 유리로 지어졌다. 설계자들은 건물의 둥근 면을 캔버스 삼아 자연을 담았다고 한다. 한폭 그림처럼 자연과 동화된 이곳은 이상원 작가(위 사진)가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지 60여 년 만에 자신의 이름을 따 세운 이상원미술관이다. 1952년 춘천에서 서울로 온 이상원은 약 20년간 극장 간판 그리는 일을 했다. 1960~70년대 한국영화 전성기에 숱한 극장 간판을 그린 그는 세밀하고 독특한 필치의 인물표현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러던 중 1970년 건립된 안중근 의사 기념관의 영정초상 작업을 맡은 것을 계기로 그는 상업초상화가로서 입지를 굳혔다. 인물묘사에서 보여준 그만의 탁월한 감각에 매료된 이들로부터 초상화 의뢰가 쇄도했다. 한동안 많은 이의 상업초상화를 그리고 수많은 그림을 판매하며 경제적인 성공가도를 걸었지만 내면에서 순수예술에 대한 열정이 끓어올랐다. 결국 1970년대 중반 돌연 상업화 그리기를 중단하고 예술작품 세계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그의 예술세계를 누구보다 가까이서 지켜보며 존경해온 아들 이승형은 아버지의 이름을 내건 미술관을 건립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는 1997년부터 2008년까지 ‘갤러리 상’을 운영하며 미술관 설립에 대한 계획을 구체화해 나갔다. 세계 미술관의 운영 방식과 전시형식을 조사하며 새로운 형식의 미술관 건립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과정을 거쳤다. 2000년부터는 작가의 고향인 춘천을 포함한 강원지역 일대를 답사하며 부지를 물색했다. 그렇게 면밀히 살펴본지 10년 만에 미술관은 빛을 보게 된 것이다.
이상원미술관은 이상원의 초기작부터 미발표된 근작까지 총 60점을 선보이는 〈버려진 것들에 대한 경의〉로 전시의 문을 연다. 그의 대표적인 연작 〈시간과 공간〉〈동해인〉〈영원의 초상〉과 미발표작인 〈대자연〉까지 높이160cm가 넘는 대작이 대부분이다. 그의 작품은 화악산의 넓은 자연과 어우러져 압도적인 감흥을 준다. 이상원 미술관 큐레이터 신혜영은 “앞으로 이상원 작품 전시뿐 아니라 예술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한국현대미술 작가들의 전시도 기획하려 한다. 특히 강원 춘천지역의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할 예정이다”라고 앞으로의 계획을 말했다. 18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이상원미술관은 넓은 부지에 미술관 건물 외에도 작가 스튜디오, 식당, 숙박시설 등의 부대시설을 겸비했다. 사립미술관으로서는 전례가 없는 대규모의 공간이다. 이상원미술관은 단순히 전시만 보는 곳이 아니라 일상에 지친 현대인이 자연 속에서 문화를 즐기며 휴식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복합문화 공간으로서 단단하게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춘천=임승현 기자

[bold_title][/bold_title]

평화화랑 (3)

한국적 종교화를 그리다

방오석·방학기의 성작 도예·성화 전시 열려

38년간 한국적인 성화를 그려온 방오석과 10년 이상 흙과 먼지로 아름다운 도예를 빚어낸 방학길이 함께 회화와 도예를 선보이는 전시가 열렸다. 10월 15일부터 22일까지 평화화랑에서 개최된 이 전시는 고모와 조카 사이인 두 사람이 서로를 의지하며 작품 세계를 발전시켜 간 과정을 볼 수 있어 더욱 의미가 크다.
방학길 신부는 1994년 수도회 총원장을 역임하며 성소후원회를 발족시킨 후 20년간 성소자를 양성해왔다. 이들은 “이번 전시의 수익금을 수도회 성소후원회 발전기금으로 기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별히 방오석의 경우《   한국의 성화》 2집 발간을 기념하는 전시로서 그 의미가 새롭다. 서구 성화와 구별되는 토착화된 모습으로 한복을 입은 성모와 아기예수를 그린 그의 성모자상은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방오석은 1938년 강원도 풍수원에서 태어나 동덕여대 회화과와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청전 이상범, 철농 이기우에게서 사사했다.

[bold_title][/bold_title]

매향리 (1)

한이 서린 그곳, 상처를 어루만지다

2014매향리 평화예술제 <보다전> 열려

50여 년간 미 공군 폭격연습장(쿠니사격장)으로 인해 피해를 받은 경기도 화성시 매향리. 포화소리는 9년 전에 멎었고 그로 인해 미군반환부지를 매향리평화생태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가운데  ‘매향리 평화예술제’가 열렸다.
전시는 <보다전>으로 명명됐다. 참여 작가들은 10월 6일부터 이곳에 머물며 50여 년간 총소리와 매연, 공포에 시달린 주민들의 상처를 달래는 설치작업을 진행했고, 10월 17일 전시가 공식 개막했다. 바깥미술회와 초대작가 등 총10명이 참여한 이번 전시는 주민과 작가 사이 소통과 공동작업을 통해 예술로서 치유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했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작가들이 작품을 설치하는 과정에도 숱한 어려움이 있었고 개막 이후 이곳을 관리하는 국방부와 화성시 간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전시장 접근이 아예 금지되었다. 시장이 참여해 개막식을 치렀지만 결국 이같은 상황이 벌어져 이래저래 작가들만 피해를 본 셈이다.  좋은 취지로 열린 전시가 행정절차 문제로 전시관람이 제한되는 결과를 낳았다.  화성=황석권 수석기자

[bold_title][/bold_title]

장용주

고전의 새로운 맥락을 열다

장용주 개인전 <Beyond the Vestige>

한국고전을 차용하여 고전적 방법과 동시대적 감성을 연결하는 작가 장용주가 9월 11일부터 21일까지 아트링크에서 개인전 <Beyond the Vestige>를 열었다. 전통과의 단절로 불안해하는 현대인에게 장용주의 작품은 극복과 치유의 방식을 제안한다.
이번 전시에는 특별히 아크릴 표면에 전동드릴로 흠집을 낸 스크래치 기법, 에폭시패널 스크래치가 눈길을 끌었다. 작가는 그림자의 사용이나 겹겹이 칠하고 스크래치하기를 반복하는 행위를 통해 시간이 흐르면서 쌓이는 역사적 층위를 캔버스에 압축했다.

[bold_title][/bold_title]

정선진4

정신과 물질의 관계연구

정성진 개인전

작은 사각형을 합치는 작업으로 사물의 근본과 절대성을 상징하는 작가 정성진의 개인전이 10월 1일부터 7일까지 가나인사아트센터에서 열렸다. 1994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20년간 작업한 작품을 선보이는 회고전 형식을 취했다. 외형적으로는 단순한 사각의 반복으로 보일지 모르나 감각적인 색과 풍부한 그라데이션으로 합쳐진 사각형의 조화는 음과 양, 연과 바람, 정신과 물질 등 생과 예술에서 깊은 의미를 찾는다.

[bold_title][/bold_title]

양혜옹 (1)

관계를 사유하다

서양화가 양해웅 개인전

서양화가 양해웅이 9월 30일부터 10월 9일까지 인덕대 아정미술관과 10월 11일부터 31일까지 고흥 도화헌미술관에서 연이어 개인전을 열었다. 작가는 오랫동안 금속, 나무 등 다양한 재료로 구조체를 만들고 표면에 회화를 입히는 방식을 구사해왔다. 이번 전시에는 관계에 대한 사유와 성찰을 추상적 언어로 담아낸 <관계의 사유> 시리즈 등 지난 수년간 제작한 20여점의 작품을 선보였다.
양해웅은 중앙대 회화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12회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다수의 단체전에 참가했다. 여수미술협회장을 역임하고 한국미술협회 이사와 에뽀끄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Editor’s Letter]

오래된 것이 좋다

여름에서 가을로 접어드는 요즘이다. 지금처럼 계절이 바뀔 무렵 풍경을 표현할 때 아주 적절한 수식어가 있다. 평소에 자주 쓰지는 않지만 조금씩, 틈틈이, 점차, 천천히, 차츰차츰 같은 뜻을 지닌 ‘시나브로’가 그것이다. ‘시–나–브–로’라고 발음할 때 오물거리게 되는 입술 모양새도 예쁘고 듣기에도 참 달콤하다. 받침 없는 글씨 또한 정감이 간다. 계절 뿐 아니다. 가끔씩 집에 있는 화분을 들여다보면 새로운 가지가 돋아나고 거기에 매달린 이파리가 미세하게 넓어진 것을 뒤늦게 알게 된다. (고양이에게 시달리면서도) 요란하게 티내지도 않고 묵묵히 꿋꿋하게 시나브로 저 혼자 성장하고 있었던 것이다. 연약하게만 보이는 식물의 생명력이야말로  웬만한 동물을 능가한다.
이렇게 ‘시나브로’는 무엇보다 ‘자연’의 법칙과 섭리를 설명해주는 적절한 말이다. 새삼스레  동아출판사에서 나온《   새국어사전》에서 ‘자연’의 뜻을 찾아봤다. “①사람의 손에 의하지 않고서 존재하는 것이나 일어나는 현상(산·강·바다·동물·식물·비·바람·구름 따위) ②사람이나 물질의 본디의 성질. 본성(本性) ③철학에서, 인식의 대상이 되는 외계(外界)의 모든 현상을 이르는 말”이라고 적혀 있더라. 나는 이런 자연을 동경하고 좋아한다. (다른 의미일지는 몰라도) 삶에 있어서도 자연스러움을 추구하고 자연스러워지려고 노력한다. 그런데 막상 세상을 살다보면 맘처럼 그렇지 못하다. 자연스럽기는커녕 부(不)-자연스런 경우가 훨씬 많다. 인간 역시 자연의 일부임에 틀림없지만 현실에서 인간은 자연을 거스르고 거역하며 파괴도 서슴지 않는다. 자연재해도 무섭지만 인간이 더 두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얼마 전, 인사동 밤거리에서 눈에 익은 건물 하나가 감쪽같이 사라진 것을 알고 깜짝 놀랐다. 1990년대 중후반 특히 동양화가들의 전시공간으로 각광 받았던 공평아트센터가 있던 건물이었다. 약간의 술기운도 있었지만, 불과 며칠 사이에 그 커다란 건물이 통째로 철거됐다는 사실이 새삼 충격적이었다. 서울에서 이런 상황이 비일비재 한 것이 어제 오늘의 일도 아니지만 너무 쉽게 없어지고 너무 빨리 사라진다. 뭐든지 한곳에 진득하게 오랫동안 남아 있는 게 없다. 카페, 술집, 갤러리, 사람… 다 마찬가지다. 인사동에선 이제 관훈갤러리와 부산식당만 남아 있는 것 같다. 세상이나 사람이나 모두 자연처럼 시나브로 변해갈순 없는 것일까? 나는 오래된 것이 좋다.

편집장 이준희  dam2@unitel.co.kr

[bold_title]CONTRIBUTORS[/bold_title]

김연수(왼쪽 벽면 시계 없애주세요)김연수  소설가

소설가는 대개 부지런하지만 특히 성실한 작가로 알려진 그는 평소 문학뿐 아니라 다양한 예술 장르에 관심이 많다고 한다. 이번에는 안지미 이부록과 협업해 새로운 작업을 선보였다. 전시 오프닝에 맞추어 김연수는 모터사이클을 타고 갤러리를 방문해 깊은 첫인상을 남겼다. 디자이너 안지미와는 동갑내기로 1990년대 말《  출판저널》 기자였을 당시 안지미가 잡지 디자인을 맡으면서 알게 된 오랜 인연이라고. 대표적인 저서로 소설집《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밤은 노래한다》 등과 다수의 산문집이 있다.

 

 

[separator][/separator]

김옥렬김옥렬  2014강정대구현대미술제 전시감독

적은 예산에도 불구하고 <2014강정대구현대미술제>를 알차게 이끌었다. 디아크 내부에 설치된 전시과정 소개 기록사진, 영상 속 작가와의 인터뷰 모두 발로 뛰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매사에 중립적인 편이지만 전시기획에서는 누구보다 열정적이다. 취재차 만난 그녀는 숨 쉴틈 없이 이번 전시기획에 대해 설명했고, 한국현대미술 현장의 이모저모에 대한 열변을 토했다. 그녀가 하는 미술이야기가 듣고 싶다면 전시를, 그리고 블로그를 방문해 보길 추천한다. 현재 아트스페이스펄과 현대미술연구소 대표를 맡고 있다.

 

 

 

[separator][/separator]

강홍구

강홍구  작가

사진작가이자 글 쓰는 작가.《  미술관 밖의 미술이야기1,2》 《  시시한 것들의 아름다움》외 꾸준한 저술활동을 해왔다. 1990년대 중반부터는 언제 사라질지 모를 한국의 풍경을 렌즈에 담아 <녹색 연구>, <그집> 시리즈 등을 발표했고 수차례의 개인전을 열었다.
<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2014>의 ‘귀신, 간첩, 할머니’라는 주제어에 그가 먼저 떠오른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고향인 신안군 섬마을의 추억을 담아 그만의 독특한 시각으로 전시를 풀어낸 맛깔난 그의 글이 독자들과 교감될 수 있길 바란다.

 

 

 

 

 

[Column] 당신이 보는 것이 당신이 보는 것이다

20세기 미국 추상미술계 우상인 작가 프랭크 스텔라는 자기의 회화작품을 설명하면서 “당신이 보는 것이 당신이 보는 것이다(What you see is what you see)”라고 말했다. 이 명언은 한편으로 그의 회화가 ‘보여주는 것 이상의 의미는 없다’는 것을 고백한다. 즉 그의 회화가 제시하는 것은 화면의 바깥세계에 실재했던 혹은 실재하는 (관객이 직접 경험하고 있지 않은) 현실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그 화면의 형식 자체가 투명하고 실제적인 (관객이 직접 경험하는) 현실이라는 것이다. ‘매체가 곧 메시지’라는 설명이다. 다른 한편 그 명언은 ‘우리는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것만 본다’라는 인식론적인 명제도 의미한다. 즉 화면의 현실 자체가 관객의 관점과 관심에 따라 특수하게 지각된다는 뜻이다. 이 지각의 한계는 곧 하나의 현실을 놓고 상반된 두개의 현실을 재구성할 수 있는 모순의 근원이다. 따라서 그 명언은 그 모순을 극복하고 두 현실의 공존과 화합의 장을 이룩해야 한다는 윤리적인 요청을 암시한다.
예술감독 선정 과정에서 물의를 빚었던 부산비엔날레가 8월 20일 드디어 개막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불공정하게 선정되었다고 구설에 오른 그 예술감독이 자국 프랑스 문화권 출신 작가들을 대거 선정하여 또 한 차례 물의를 빚고 있다. 엎지른 물을 주워 담을 수는 없는 법이니 현재 벌어지고 있는 상황은 그렇다 치고, 앞으로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이다. 감독 선정이야 행정적인 문제로 보고 그 선정절차와 규정을 재검토해 오해의 여지가 없게끔 말끔하게 정리하면 되겠지만, 감독의 작가 선정은 까다로운 문제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표현의 자유와 전시기획자의 자율성 보장이라는 미술의 근본적인 대전제에 연루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비엔날레조직위원회에서 예술감독에게 각국의 작가 수를 고르게 맞추어 달라고 주문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 말이다.
올해 부산비엔날레가 ‘프랑스판 비엔날레다’라는 지적은 정당하다. 그 지적은 부정적이지만 그 자체로 부산미술계의 건강한 상태를 시사한다. 그러나 그 지적이 부산미술계가 더 발전할 수 있는 자성의 계기가 되어야지 분열의 무기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선 프랑스 문화권에서 다수의 작품이 선정될 수밖에 없었던 상황 조건들을 확인해야 한다. 우선 전시기획의 개념을 검토해봐야 하고, 또 그 외의 조건들을 검토해보아야 한다. 편중된 작가 선정 결과만 놓고, 프랑스 예술감독의 ‘정치적 발상’이라거나 부산비엔날레조직위원회의 ‘문화사대주의’라고 몰아붙이는 것은 단편적이다. 더욱이 ‘비엔날레를 볼 필요가 없다’라든지 ‘비엔날레 자체를 없애야 한다’는 식의 ‘전부가 아니면 제로(all or nothing)’라는 극단적인 태도는 궁극적으로 우리 미술계 발전에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미술은 스스로의 생성조건을 드러내고 그것을 생산한 사회와 시대를 반영한다. 미술작품도 그렇고 미술작품들을 발표하는 전시도 그렇다. 올해 부산비엔날레는 협소하게는 부산미술계, 광범위하게는 우리 미술계와 우리 사회, 나아가서 동시대미술의 편향적이고 승자독식적인 성향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동양 지역에 편중되거나 서구지향적인 부산비엔날레가 될 것이라는 예고는 이미 물의를 일으킨 ‘공동 감독론’에서 명백히 경고되었었다. 보도된 공동 감독론에서 ‘서구지향적’이란 용어가 ‘프랑스판’을 의미한다는 구체적인 지표는 없었다. 아무튼 무슨 이유에서인지는 모르지만 그 경고의 긴박성은 충분하게 전달되지 않았고 부산지역 미술인들은 그 예고를 무시했다. 결국 그 예고는 현실로 다가왔고 현재 부산지역 작가들은 부산비엔날레 ‘파행’의 대안으로 새로운 트리엔날레를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그 트리엔날레가 대결의 경쟁심리에서 나온 발상이라면 이 역시 승자독식적인 자세를 의미한다. 비생산적인 대결의 상황보다 생산적인 화합의 장을 구성하는 지혜가 필요하지 않겠는가?
지난 20여 년간 한국은 경제면에서 급속도로 발전했다. 이제 문화적으로 발전해야 할 단계이다. 이 과제는 한국의 작가들과 큐레이터들, 예술행정가들에게 성숙함을 요구하고 세계 동시대미술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승자독식이라는 동시대미술의 극단적이며 경쟁적인 대립 성향은 지난 20세기 냉전시대의 특수한 산물이다. 21세기 한국에서 그런 구태의연한 자세와 미학을 무비판적으로 답습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그런 동시대미술의 성향을 개선하는 일에 우리가 앞장서야 한다. 그것이 바로 우리 작가들이 세계 동시대미술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공헌들 중의 하나이다. 2014년 부산비엔날레는 신자유주의의 허점을 보완하고자 글로컬 개념으로 포장된 미학이 현재 부상하고 있음을 우리 눈앞에 엄연히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컬 미학 역시 과거 냉전미학의 사고방식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냉전미학에 마침표를 찍고자 하는 우리는 그 미학을 직시하고 그 미학의 맹점을 간파해서 보완하는 근본적으로 전혀 다른 미학을 탐색해야 한다. 즉 동시대 미술을 힘의 논리에 입각한 대립의 시각이 아닌 상생의 논리에 입각한 화합의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
냉전의 유산이자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에서 살고 있는 우리는 그 대결논리를 몸소 체험하고 있다. 어쩌면 우리는 그 대결논리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세계시민인지도 모른다. 따라서 우리는 그 대결논리를 극복할 수 있는 잠재력도 지니고 있다. 우리는 지금 그 잠재력을 개화시킬 수 있는 도상에 서 있음을 지각해야 할 것이다. 이견이 많은 2014년 부산비엔날레와 <무빙 트리엔날레>의 생성을 새로운 화합의 미학을 개척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 즉 우리는 갈등이 아니라 미래에 다가올 화합의 싹을 지금 여기서 적나라하게 목격하고 있는 것이다. 부산비엔날레를 혁신할 동력을 부산미술계 내부에서 찾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한행길・뉴욕 코리아아트포럼 공동설립자 겸 디렉터, 독립 큐레이터

[Hot People] 큐레이터 JEAN-LOUIS FROMENT

달콤한 덫에 사로잡히다

<문화 샤넬전>을 진두지휘한 큐레이터, 장 루이 프로망이 한국을 찾았다.  그는 2007년 모스크바의 푸슈킨 미술관을 시작으로 2011년 상하이, 베이징 그리고 2013년 광저우와 파리를 거쳐  8월 20일부터 10월 5일까지 서울에서 열리는 <문화 샤넬전>을 기획한  인물이다.  올해로 6번째 전시를 기획하다 보니  그는 누구보다 샤넬을 깊이 연구하고 탐구한 명실공히 샤넬의 삶과 역사에 정통한 전문가다.   지금까지 이어진 <문화 샤넬전>은 가브리엘 샤넬이라는 인물을 보여주는 거대한 주제는 일맥상통하지만 그 소주제와 전시에서 보여주는 자료들은 전시가 열리는 도시마다 다르게 꾸며졌다. 동대문디자인 플라자(이하 DDP)에서 열리는 <문화 샤넬: 장소의 정신전>은 샤넬에게 의미가 깊은 장소 10곳을 선정해서 샤넬의 패션, 주얼리, 시계, 향수 등의 창작품들과 함께 500점 이상의 다양한 사진, 책, 예술작품 등을 선보이는 기존 전시의 확장판이라고 볼 수 있다.  인물보다 장소에 초점을 맞추다보니  샤넬을 중심으로 한 당시 미술가와 문학가들의 유럽 문화계 네트워크를 한눈에 살펴 볼 수 있다.  장소를 테마로 정한 것에 대해 장루이 프로망은 “샤넬 브랜드에서 생산하는 제품들은 아직까지 이 장소들로부터 영향을 받고 그 장소성이 깃들어 있기때문”이라고 답했다. 장소성을 보여주는 전시이기에 전시장소 를 신경써서 선택했다.  DDP를 선정한 이유에 대해서 “자신만의 개성이 뚜렷한 여성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건축한 DDP는 건축가의 선정부터 개관 이후까지 논란이 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비록 DDP가 다양한 시각으로 읽힐 수 있지만 경계를 무너뜨리고 혁신적인 시각문화를 창출한 건축가 자하 하디드는 샤넬의 정신과 맞닿아 있다”고 언급했다.
미지의 세계로 들어가는 듯한 독특한 공간의 문을 열고 전시장에 입장하면 무척이나 어둡다. 그곳에는 노란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투명한 유리 쇼케이스들이 반듯이 정렬되어 있다. 서랍장 같은 쇼케이스에 놓인 그림 및 사진자료는 대부분 누워있다. 오브제와 관람객 간의 거리를 줄이려는 시도다. 그래서일까. 넓은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전시는 은밀하게 펼쳐진다. 장 루이 프로망은“보물상자 속의 보물을 발견하는 듯한 느낌을 주고자 했다. 또한 샤넬이 살던 공간의 내부 조명이 황도 빛이 나는 따뜻한 조명이이서 그 느낌을 살리고자했다”고 설명했다.
장 루이 프로망은 <문화 샤넬전> 외에도 <장 누벨의 건축전> <르 몽드 장 폴 고티에전> 등 패션과 건축을 다루는 매체 간 크로스오버를 시도하는 전시를 꾸준히 기획해왔다. 이에 대해 그는 “모든 예술가는 자기 안에 상반되는 생각들을 갖고 있다”며 “여러 형식을 연결시켜 관람객이 하나의 인물, 사물을 다층적으로 이해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러나 함께하는 장르들에 정당성이 늘 확보돼야 한다”며 크로스오버 전시의 의미를 설명했다. 샤넬에 빠져 살면서 향후 프로젝트를 계획하기 힘들다는 그는 주변에서 “샤넬 전시를 진행하면 달콤한 덫에 빠질 것”이라던 말을 절실히 느끼고 즐기고 있다. 임승현 기자

장 루이 프로망은 보르도 현대미술관의 설립자로 관장을 지냈다. 다수의 국제 전시와 대학 강의 및 출판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는 기획자다. 1990년과 1994년 베니스비엔날레 프랑스 파빌리온 큐레이터를 역임했다. 바르셀로나 카이사(CAÏXA) 컬렉션, 바르셀로나 현대미술관(MACBA) 고문을 지냈다. 2000년대 이후에는 <르 몽드 장 폴 고티에전>, <패션의 열정 – 패션의 100년전>, <장 누벨의 건축전> 등 패션 또는 건축 관련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2007년부터는 <문화샤넬전>으로 총 6회의 전시를 기획했다.

 

Culture CHANEL_Exhibition_12-2

DDP 전시장 전경(사진제공 CHANEL)

 

 

[Sight & Issue] 2014 강정대구현대미술제

대구현대미술의 발판을 넘어

<강정대구현대미술제>가 어느덧 3회를 맞았다. 2012년 물문화관 디아크(The Arc)와 시민공원이 강정고령보 근처에 자리 잡으면서 강정 대구현대미술제가 첫발을 내디뎠다. 거대한 활 모양의 디아크가 위용을 뽐내는 문화공원 일대는 첩첩이 둘러싼 산을 배경으로 낙동강과 금호강이 만나 아름다운 자연 풍광을 이루고 있다. 올해 <강정대구현대미술제>는 지난 8월 하순 ‘강정에서 물·빛’이란 타이틀로 개막해, 9월 21일까지 성황을 이루며 거의 한 달간 진행되었다.
미술계에 몸담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1970년대 바로 이곳, 강정의 낙동강가에서 펼쳐진 <대구현대미술제>를 기억할 것이다. 1970년대 이강소, 이건용, 김구림, 박현기, 최병소 등 주로 대구 출신 젊은 작가들이 국제미술계의 선진적 경향을 수용하여 한국미술에 ‘아방가르드’의 작위를 부여했다. 미술관 밖에서 벌이는 퍼포먼스나 이벤트, 설치미술, 개념미술은 1970년대 뉴욕에서는 이미 익숙한 풍경이었지만, 한국에서는 새로운 충격이었고 예술적 반란이었다.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그것도 타블로나 오브제 위주의 전통미술 방식이 아니라 순간적으로 존재했다가 사라져갈 개념예술 형식으로 선보였다는 것은 지금도 대구미술인들의 예술적 자긍심을 지탱하는 버팀목이 되고 있다.
‘강정에서 물·빛’에 출품된 20여 점의 작품은 디아크를 중심으로 형성된 공원 곳곳에 위치하면서 나름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강정이라는 장소가 지닌 역사성과 공간성의 무게도 만만치 않거니와, 디아크 문화공원에 장소특정적으로 설치된다는 조건 때문에 참여 작가 대부분은 전시 주제만큼이나 장소의 역사성을 의식한 것 같다. 출품작 중 다수는 경제적, 문화적으로 급성장하던 시절을 오늘에 비추어 되돌아보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기술문명의 상징인 디아크와 지금은 섬처럼 떠있는 옛 토지 사이의 공간에 사직단을 쌓아 현대적 제식 행위를 한 김광우, 농경지대였던 강정이 산업화시대를 거치면서 변화한 모습을 반추하며 강정자리라는 별자리를 설치한 차현욱, 팝송가사를 차용하여 아방가르드 선배들에 대한 존경심과 더불어, 변화한 강정 강변의 모습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한 김승현, 디아크의 초현실주의적 형태와 대조적인 원초적 형태의 알을 세 가지 다른 재료로 제작하여 산업시대 ‘백일몽’의 표상인 디아크를 배경으로 설치한 황성준 등은 시간의 간격만큼 변모해온 강정과 한국사회의 모습을 반성적으로 돌아본다.
그런가 하면 과거보다는 현재에 방점을 두고 지금 여기에 발을 디디고 살아가는 우리 자신의 삶에 대해 고찰하는 작업들도 꽤 있다. 산업자본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타인의 피를 섭취하며 생존하는 일군의 모기들로 추상화한 강대영이나, 대지의 기운을 흡수함으로써 거대하게 자라난 말의 역동적인 형상을 통해 욕망을 에너지원으로 삼아 질주하는 우리의 자화상을 보여주는 황우철은 다소 직설적으로 동시대 사회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낸다. 이에 비해 간접적인 표현방식을 택한 나현은 디아크 뒤편에 네 개의 환기장치를 설치했는데, 인공적 아름다움을 지닌 시민공원 뒤편에 감춰진 자본주의적 욕망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술회한다. 거짓으로 점철된 현대인의 모습을 5미터 상공의 나룻배에 앉은 피노키오의 모습으로 표현한 김봉수와, 일견 꽃처럼 보이는 화분들을 채우고 있는 현대적 건축재료 콘크리트의 양면성에 주목한 최두수도 우회적인 방식을 취해 동시대 한국사회의 단면들을 꼬집는다.
2012년의 ‘강정랩소디’와 2013년의 ‘강정가다’에 이은 ‘강정에서 물·빛’은 강정 대구현대미술제의 진일보한 면모를 보여주었다. 기존의 행사들이 단기간의 이벤트적 성격을 띠었다면, 이번에는 주제의식을 지닌 꽤 안정된 전시행사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동식물을 막론한 모든 유기체는 물과 빛이 없다면 탄생할 수도 생존할 수도 없다. 참여 작가들은 모두 제 나름의 방식으로 ‘물과 빛’의 화두를 장소성과 어우러지게 구체화하려고 애쓴 흔적이 보인다. 가령 조숙진은 생명과 죽음에 대한 성찰을 담은 강렬한 영상을 장소특정적 설치를 통해 보여주었고, 김성수는 마치 풍향계처럼 강바람을 따라 회전하는 채색 나무조각들을 통해 삶과 죽음, 그리고 상처와 치유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한국미술사에 한 획을 그은 <대구현대미술제>가 부활하고, 성공적인 전시행사로 진행된 것은 기쁜 일이다. 그러나 반가움과 함께 아쉬움도 없지 않다. 비록 달성문화재단이 지원하는 공공 문화행사일지언정, 그리고 많은 세월이 흘러 우리는 아방가르드의 선구자들과 전혀 다른 시공간에 살고 있다 할지라도, 역사적 의의가 큰 이 미술행사가 과거 선배들의 실험성, 도전성, 급진성을 계승할 방법이 없을까? 1977년 <대구현대미술제>에 국내외 200여명의 작가가 참여하여 창조의 열정을 불살랐다는 사실을 떠올리면, 지금의 <강정대구현대미술제>는 다소 초라해 보인다. 하지만 이제까지 개최된 <강정대구현대미술제>의 진화 단계를 돌아보며 이런 아쉬움을 잠시 유보하고, 앞으로 미술계에 던져줄 신선한 충격을 기대해 보고자 한다. 강미정·서울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연구교수

DF2B7824

황우철 <세속적이거나 철학적이거나 욕망은 진화한다> 2008

[Hot Art Space]

 

8월 25일부터 10월 19일까지 토탈미술관에서 열리는 <문타다스: 아시안 프로토콜전>은 안토니 문타다스의 첫 번째 한국 개인전이다. 이 전시에서는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의 큐레이터, 건축가 등과 벌인 프로젝트를 선보인다. 50여 개의 키워드를 각국의 문화, 사회, 정치 등의 상황과 관련지어 재조합한 사료와 공/사적 공간비교 등을 펼쳐낸다. 1942년 스페인에서 태어난 문타다스는 다양한 환경 요소와 관련해 그 안에서의 소통과 관계, 공간의 문제 등을 주제로 작업하는 작가이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오인환 (2)

<사각지대 찾기>를 타이틀로 한 오인환의 개인전이 9월 4일부터 24일까지 스페이스 윌링앤딜링(왼쪽)과 갤러리 팩토리에서 열렸다.
권력의 감시망하에 놓인 개인이 그 권력으로부터 피하려는 몸짓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능이다. 작가는 이 전시에서 군대에서의 경험, 유니폼이라는 획일화된 규정에 놓인 이들의 행동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상호감시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CCTV가 각각의 전시장을 실시간으로 중계했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그림손 (2)

회화에서 출발해 사진, 설치, 출판 등 장르를 넘나들며 새로운 시도를 선보여온 작가 이태량의 개인전 <EXISTENCE and THOUGHT 2014>(9.10~23)가 갤러리 그림손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전동기의 힘으로 기계 장치가 움직이는 버전과 영상 버전으로 ‘언어를 대신하는 시각적 장치’를 새롭게 선보였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아트선재 (1)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 중인 김성환의 개인전 <늘 거울 생활>이 8월 3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린다. 작가의 비디오, 드로잉, 설치 등이 출품된 이번 전시에는 작품이 공간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내용을 담았다. 9월 1, 2일에는 신작 퍼포먼스가 열렸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김선두 (1)

이청준의 소설과 김선두의 그림이 ‘고향’을 매개로 만났다. 이청준·김선두의 2인전 <고향읽기>가 9월 3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소공동 롯데갤러리에서 열렸다. 전남 장흥이 고향인 두 작가의 깊은 우정이 문학과 미술의 콜라보레이션 전시로 승화 한 것이다. 친필 원고를 비롯한 이청준의 유품과 사진기록물이 소개되었고 그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김선두의 작품 40여 점이 선보였다. 특히 이청준의 소설 《눈길》의 내용을  장지에 그려 만든 병풍엔 두 예술가의 고향에 대한 향수가 스며있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송아트

故 이동엽의 회화와 이수종의 달항아리가 만나 일으키는 잔잔한 파동을 담은 전시 <백색숨결전>이 8월 21일부터 9월 19일까지 송아트갤러리에서 열렸다.
모든 물성을 걷어낸 백색을 공통분모로 하는 이 전시는 관람객으로 하여금 두 작가의 작품을 통해 아무것도 말하고 있지 않지만 역설적으로 가장 많은 것을 말하는 백색의 깊은 의미를 반추하게 한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권오상 (2)

권오상의 개인전 <Structure>가 9월 12일부터 11월 8일까지 페리지갤러리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신작<Masspatterns>와  <New Structure> 연작을 선보였는데 발견하기 힘든 실제의 오브제가 섞여 있다. 즉흥적으로 이뤄진 이 과정을 통해 ‘나’로서 구축되는 세계의 모습을 담아내려 했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전준호 (2)

8월 29일부터 9월 28일까지 갤러리 현대에서 열린 전준호의 전시 타이틀은 <그의 거처>였다. 나무로 제작된 기도하는 해골상, 오브제 작업 <코는 왜 입 위에 있을까>, 영상작업 <묘향산관> 등이 출품되었다. 특히 <묘향산관>은 제5회 후쿠오카트리엔날레에서도 만날 수 있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아라리오 (1)

인도 출신의 세계적인 작가 수보드 굽타의 개인전이 8월 29일부터 10월 26일까지 새로 개관하는 아라리오갤러리 상하이에서, 9월 1일부터 10월 5일까지는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에서 열린다. 상하이 전시에는 <이것은 분수가 아니다> 등이, 서울 전시에는 30여 점의 음식 페인팅 등이 출품됐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국현미서 (2)

9월 2일부터 내년 1월 18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리는 <초자연전>은 일견 미술이 과학을 만나는 양상에 대한 물음을 던지고 있다. 리경(사진) 조이수 박재영 김윤철 백정기가 참여한 이번 전시는 작가들이 현장에서 설치한 작업으로 구성돼 있다. 자연에 반하는 기계 장치를 이용해 상상 속에서 가능했던 시각적 경험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이브 (1)

<70’s Renaissance 조각전>은 조각계 원로 초대전이다. 9월 1일부터 10월 5일까지 이브갤러리에서 열리는 이 전시에는 김경옥 김혜원 김효숙 민복진 백현옥 심정수 이정자 전뢰진이 출품했다. 구상조각에 초점을 맞춘 이 전시를 통해 우리 조각의 다른 단면을 살펴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코너아트 (1)

<평균적 고통>으로 명명된 이동욱의 개인전이 8월 23일부터 9월 12일까지 코너아트스페이스에서 열렸다. 작가는 폴리머클레이를 소재로 작은 인체를 구현한 작업을 꾸준히 해왔던 바, 이번 전시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구입한 동물인형에 붙어있던 가격표를 다른 오브제에 붙인 신작을 선보였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압생트

김하영의 개인전 <캐릭터 없는 캐릭터들>이 9월 3일부터 24일까지 갤러리 압생트에서 열렸다. 영국과 한국을 오가며 작업하는 작가는 개성을 상실한 현대인을 관찰하고 유머와 아이러니를 섞은 작업을 선보였다. 이로써 몰개성적인 우리의 모습이 투명한 폴리에스터캔버스에 펼쳐진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라유슬 (2)

라유슬의 개인전 <레가토(Legato)> (LIG 아트스페이스, 9.3~10.2)는 음과 음 사이를 이어서 연주하라는 음악용어에서 따왔다. 이는 유년기 음악과 친근했던 작가의 경험에서 비롯한 것으로 캔버스는 끊어지지 않는 선과 면의 연속과 중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새로운 차원을 넘나드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사류뱌다 (2)

다양한 매체를 넘나드는 작가 조현아의 개인전 <Effaced>(8.22~9.21)가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에서 열렸다. 작가는 영상, 설치, 사운드 작업을 통해 자신이 2년 전 출간한 소설에서 문자 ‘O’를 제외한 모두를 지워내고 다시 쓰기를 반복하면서 수많은 이름이자 동시에 이름 없는 ‘O’의 유령들을 호명한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가비 (2)

고양이의 날(9월 9일)을 아는가? 1년 중 하루라도 길에서 태어나고 죽은 고양이의 생명을 생각해보자는 취지로 2009년부터 시작된 기념일이다. 갤러리 가비에서 이날을 기념해 <고양이, 섬을 걷다전>(9.5~14)이 열렸다. 고경원 김대영 박용준은 한국과 일본의 섬을 다니면서 촬영한 고양이 사진 40여 점을 선보였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스케이프 (1)

이형구의 개인전 <Measure>(갤러리 스케이프, 9.2~10.19)의 전시장을 들어서는 순간 말(horse) 조련 도구와 같은 오브제들을 발견하게 된다. 이것들은 걷기나 일상에서 벌어지는 수행적 행위가 갖는 무의식성과 의식적인 훈련 사이의 아이러니를 드러내기 위한 장치다. 이러한 장치들은 그러나 익숙해지면 자연스러운 행위를 하게끔 하는데 이는 존재의 방식을 바꾸는 의미로 치환되는 셈이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캔 (2)

스페이스 캔의 오래된 집 재생 프로젝트로 열리는 조소희의 개인전이다. 8월 27일부터 9월 30일까지 열린 이 전시에서 작가는 실이나 양초 등 유약한 재료를 이용한 작품을 선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가 만들어내는 것은 오래된 집이라는 공간의 대기와 함께 빛과 그림자 등과 어우러져 또 다른 형태를 구축하고 있다.

[section_title][/section_title]

항저우 (9)

한국 현대미술의 전세대를 아우르는 주요 작가들의 전시 <한국현대미술: 우리가 경탄하는 순간들>(8.29~9.28)이 중국 항저우 소재 삼상당대미술관(三尚当代美術館)에서 열렸다. 항저우는 남송(南宋)의 수도로 중국 전통미술의 중심지이자 베이징의 중앙미술학원과 함께 양대 미술대학으로 평가받는 중국미술학원이 있는 곳이다. 차이궈창, 황융핑 등 대표적인 중국 현대미술가도 이곳 출신이다. 전시가 열린 삼상당대미술관은 중국미술학원 미술관과 함께 항저우 미술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현지의 뜨거운 주목을 받은 이 전시에 한국 현대미술의 두 거장 백남준, 이우환을 비롯해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김아타 유근택 홍경택 이세현 이용백 오윤석 권순관 김기라 박지혜 장종완이 참여했다. 전시 기획을 맡은 윤재갑 상하이 하오미술관 관장은 “항저우는 현대미술보다 전통미술의 벽이 워낙 견고하기 때문에 현대미술 작가 층이 두텁지 못하다. 이곳에서 한국 현대미술을 선보인 것은 이번 전시가 처음이다. 오랫동안 다양한 실험이 축적된 한국 현대미술 작품들이 중국 미술계에 큰 자극을 줄 것”이라며 이번 전시의 중요성을 밝혔다. 항저우=이슬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