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 Focus] Barbara Kruger: Forever

강렬하고 직접적인 텍스트와 이미지로 현대미술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 바바라 크루거의 개인전이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12월 29일까지 열린다. 관객이 수동적인 관람자가 아닌 참여자 혹은 행위자로 변모하는 이번 전시를 통해 작품과 관객의 관계를 재고해 보자.

[Review] 어릴 적 내 친구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DDP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미키 마우스에서 겨울왕국까지 백 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디즈니 스튜디오의 방대한 역사를 한눈에 되짚어 볼 수 있는 대규모 전시를 개최한다.

[ARTIST REVIEW] 심래정

전시장은 한마디로 어둠과 그로테스크의 향연이다. 잔혹극의 세트장 같은 심래정의 수상한 수술방은 육체를 절단하고 재봉합하여 변이의 산물을 만들어낸다. 심래정의 개인전 〈 B동 301호 〉는 욕망을 행위로 옮길 수 없는 제약이 제거된 일종의 해방구이자 인간 본성을 돌아보게 만드는 실험실을 닮아 있다.

[Review] 두 번째 무지개 위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가 자신의 예술적 재능을 꽃피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우리는 어떤 질문을 해야 할까. 장애 예술가 12명이 참여한 《 2nd Over the Rainbow 》전시를 통해 예술에서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되살펴본다.

[ARTIST REVIEW] 임옥상

임옥상의 홍콩 개인전은 ‘흙’이라는 주제와 소재를 파고드는 그에게 일대 전환점이었다. 땅의 서사와 흙의 물성에 몰두하던 그가 또 다른 지향점을 선언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그것은 ‘선’에서 ‘획’으로의 환원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급격한 변환은 그를 민중미술가냐 아니냐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근거가 되지 못한다. 오히려 임옥상은 이분법을 넘어 관계항을 설립하고 다시 그로부터 벗어날 이유를 찾고 있다. 그의 거친 작업의 표면을 매만져본다.

[Review] 이야기꾼과 가상 인물의 <거짓말>

나날이 정말 많은 정보가 우리를 유혹한다. 거짓을 조작하는 기술이 발달해 판단력을 흩트리는 중이다. 과연, ‘이야기꾼’과 ‘가상 아이디’ 중 이 시대의 진정한 ‘사기꾼’이 될 인물은 누구일까?

[Exhibition] 이번주 볼만한 전시추천 5


3.

코헤이 나와 : 베셀 VESSEL

2019. 03. 20 – 07. 21

아라리오 라이즈 호텔

코헤이 나와, 설치전경, 아라리오갤러리, 2017

코헤이 나와,  <베셀 VESSEL> 설치전경, 아라리오갤러리

코헤이 나와가 한국에서 7년 만에 펼치는 개인전.  그는 이번 전시에서 <베셀 VESSEL> 시리즈와 2018년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었던 <쓰론 THRONE>을 축소하여 제작한 조각을 포함해 신작 약 30여 점을 선보인다. 전시의 대표작 <베셀 VESSEL > 시리즈는 인체 조각 시리즈로 안무가 데미앙 잘레(Damien Jalet)와 함께 진행한 퍼포먼스 작품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전시장에는 일본 사운드아티스트 마리히코 하라(Marihiko Hara)가 특별히 제작한 음악이 재생된다. 물질에서 표면으로, 표면에서 입체로, 입체에서 공간으로 확장하는 <베셀 VESSEL>전은 퍼포먼스, 무용, 연극, 사운드, 영상의 장르를 초월하여 매체의 가능성을 타진해온 작가의 20년간의 끈질긴 시도를 볼 수 있다.

⠀⠀⠀⠀⠀⠀⠀⠀⠀⠀⠀⠀⠀⠀⠀⠀⠀⠀⠀⠀⠀


4. 

거짓말

2019. 3. 7 – 5. 26

서울대학교 미술관

전시 설치 전경

<거짓말> 전시 전경

<거짓말>전은 허구적인 이야기 구조를 표현 전략으로 사용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정보가 넘치고, 주장이 강해지고, 저마다 보고 싶은 내용만 보는 요즘 상황을 작가들은 어떻게 바라보는지, 또한 어떻게 반응하는지 살펴볼 수 있는 전시. 예술가가 ‘허구’와 ‘거짓말’을 표현방법으로 택하는 이유는 무엇일지 질문한다.

⠀⠀⠀⠀⠀⠀⠀⠀⠀⠀⠀⠀⠀⠀⠀⠀⠀⠀⠀⠀⠀⠀⠀⠀⠀⠀⠀


5.

천변호텔, 3·1아파트

2019. 4. 23 – 6. 30

청계천박물관

정재호, , 2005

정재호, <천변호텔-삼일아파트>, 2005

서울 청계천변 경관의 한 축을 이루던 3·1아파트를 주제로 < 천변호텔, 3·1아파트>전이 펼쳐진다. 3·1아파트가 세워진 1960-70년대 서울은 급격한 성장과 변화를 겪었다.  판자촌 철거, 시민아파트 건립, 와우아파트 붕괴 등 ‘주거생활’에 관련한 굵직한 사건이 발생했다.  전시는 많은 사람의 기억에 있는 청계고가도로 옆 3·1아파트를 중심으로 서울 도심의 역동적인 변화상을 소개한다. ⠀⠀⠀⠀⠀⠀⠀⠀⠀⠀⠀⠀⠀⠀⠀⠀⠀⠀⠀⠀⠀⠀⠀⠀⠀⠀⠀

⠀⠀⠀⠀⠀⠀⠀⠀⠀⠀⠀⠀⠀⠀⠀⠀⠀⠀⠀⠀⠀⠀⠀⠀⠀⠀⠀⠀
© (주)월간미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view]물감으로 붙잡은 시간, 강원제< Running Painting >

시간은 과거에서 현재로, 미래로 흐르는가? 작업을 통해 자신만의 차이와 반복, 리듬을 만들어가는 강원제의 개인전 < Running Painting >을 살펴본다.

[Review]데이터, 우리가 찍은 발자국은 어떻게 쓰일 것인가?

데이터는 객관적인가? 데이터를 소유하고 가공하는 주체는 누구이며, 앞으로 어떻게 작용할까? 국립현대미술관은 공동체에서 데이터가 갖는 경제적, 윤리적 측면에 주목한 전시 <불온한 데이터>를 선보이는 중이다. 디지털 환경의 허점과 틈새 그리고 가능성을 작품을 통해 모색해 본다.

[World Report] | 베를린

베를린이셔 갤러리가 8년간 진행 중인 〈 12×12전〉는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바로 베를린이라는 도시를 개방적이고 세계적인 공간으로 인식하게끔 유도하니 말이다. 매달 작가를 달리하여 열리는 〈 12×12전〉은 예술의 중장기 효과에 방점을 찍은 기획방향에 기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