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하루 그만보기
2021.10.8 - 12.5
재단법인 아름지기 통의동사옥, 안국동한옥
전통 문화유산의 가치를 알리고 낙후된 한옥을 재생하는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 온 비영리 문화단체 아름지기가 올해 설립 20주년을 맞았다. 아름지기는 이를 기념하여 서촌 통의동 사옥과 북촌 안국동 사옥에서 특별전 〈홈, 커밍〉을 열었다.
《월간미술》 11월호
전 리움 수석부관장 홍라영은 《월간미술》 2004년 11월호에 리움이 “21세기형 미술관”으로서 국내외 미술신에 큰 영향을 주는 장으로 역할하기를 바란다는 논지의 말을 남겼고, 개관 후 10년간 미술관은 그 역할을 해냈다. 10월 5일 호암과 리움이 재개관 소식을 전해왔다. 기자는 이에 맞추어 《월간미술》에 남아 있는, 당시 미술 언론이 각 미술관에 보낸 찬성과 반대, 그리고 기대를 다시 읽어봤다.
2021.9.15 - 11.15
파주 Uni마루 등
민간인 출입이 통제된 곳이자 남북한의 정치적 · 사상적 대립의 완충 지대인 DMZ는 그 특수성 때문에 더욱 풍부한 상상의 여지와 회복의 희망을 불러일으키는 곳이기도 하다. 통일부 남북출입사무소(소장 김기혁)가 개관한 ‘Uni마루’는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임시출경사무소로 쓰였으며, 민현준 건축가의 손을 거쳐 DMZ 내 첫 복합 문화예술 공간으로 탈바꿈됐다.
《월간미술》 11월호
리움은 현재 ‘변화’하는 중
10월 8일 리움미술관(이하 리움)의 재개관 소식은 미술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명실상부 국내 최고 사립미술관으로 평가받는 리움의 휴관은 그간 미술계의 안타까움을 자아내던 터였다. 그만큼 우리 미술계가 리움에 거는 기대가 컸다는 반증이다. 전격적인 재개관 소식에 이어 주목되는 소식 하나가 덧붙여졌다. 바로 김성원 부관장의 취임이다. 김성원 부관장은 교수(서울과학기술대 조형예술학과), 전시기획자, 비평가. 미술행정가로 다방면에 역량을 드러내 미술계 주요 인사로 손꼽혀왔다. 9월 1일 취임한 김 부관장은 리움 재개관의 화두를 역시 ‘변화’로 꼽았다. 그를 인터뷰했다.
2021.11.15 - 2021.11.20
캐나다 최초의 장애예술단체 NaAC와 한국의 문화예술 특화 장애인복지관 강남장애인복지관은서로의 시간과 이야기를 공유하기 위해 우리는 프로젝트 도란도란 프로그램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오늘展에서 프로젝트 참여 아티스트들의 워크숍 참여 결과물을 비롯한 다양한 작품들을 오프라인으로도 만나실수 있습니다.
2021.10.01 - 2021.11.30
뉴-아트 매니지먼트 컴퍼니 '아츠클라우드'가 제1회 디지털 아트페어를 진행합니다. 다양한 디지털 아트 분야의 신진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젊은 아티스트를 위한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 가기 위한 이번 공모전에 많은 아티스트의 참여 바랍니다.
2021.3.12 - 8.31
기억의 바다로: 도미야마 다에코의 세계
도미야마 다에코는 지난 8월 18일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영면했다. 향년 99세. 80여 년의 작가 인생에서 도미야마는 화가로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많은 저작을 남기고 일본은 물론, 남미, 유럽, 그리고 아시아를 돌아다니며 활동한 트랜스내셔널한 운동가이기도 했다. 특히 한국은 도미야마가 “제2의 고향”이라고 할 정도로 깊은 인연이 있는 나라다.
2021.8.7 - 1.19
먼 사람, 사람, 가까운 사람
우리의 존재는 매번 잘못 호명된다. 우리의 이름도, 직업도, 외모조차도 나를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호가 될 수 없다. 세상에 완벽한 이해라는 것이 존재할까? 사르트르의 말대로 타인은 지옥이건만, 인간은 자신의 실존을 인정받기 위해 타인을 필요로 한다.
2021.10.27 - 2021.11.02
그림손갤러리
지전 김종순의 2021년 개인전 Color Exhibition 이 그림손갤러리에서 10월 27일 개최하여 11월 2일까지 진행된다. 어둡고 갑갑한 시대에 이 전시가 이루어져 슬픔을 회고하는 동시에 색의 기운으로 생동을 찾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월간미술⟫ 9월호
《월간미술》은 이건희 컬렉션에 얽힌 실타래들을 풀어보고자 한국 미술계의 기증문화, 컬렉션, 기관의 소장품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증받은 이건희 컬렉션의 주요 작품들을 선보이는 특별전을 기관별로 소개하는 글을 싣는다.
2021.09.10 - 2021.10.22
무예와 사진을 접목한 문화 활동 증진 및 수상작 전시회 개최로 무예의 가치를 전파하고자 2021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 국제무예사진공모전을 개최합니다. 무예와 사진에 관심이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21.09.18 - 2021.11.07
에브리데이몬데이
개성 강한 그림체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레이몬드 렘스트라 작가와 장콸 작가의 ‘Couple Look’ 전시를 9월 18일부터 11월 7일까지 에브리데이몬데이에서 만나볼 수 있다.
2021. 8. 14.
정준모 연구실
《월간미술》은 이건희 컬렉션과 이건희 기증관을 주제로 정준모 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과 도재기 경향신문 논설위원의 대담을 통해 이건희 컬렉션이 국립 미술기관의 학문적, 예술적 맥락에 큰 줄기를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과 이건희 기증관 설립에 관한 논의들을 짚어본다.
⟪월간미술⟫ 9월호
《월간미술》은 이건희 컬렉션에 얽힌 실타래들을 풀어보고자 한국 미술계의 기증문화, 컬렉션, 기관의 소장품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증받은 이건희 컬렉션의 주요 작품들을 선보이는 특별전을 기관별로 소개하는 글을 싣는다.
2021.08.25 - 2021.09.29
갤러리위
자연의 공간에 설치된 문, 그로부터의 빛. 자연과 인공의 조화를 통해 무한의 세계를 여는 '오경성 초대전 : 풍경의 문을 열다《OPEN THE DOOR in the Landscape》'가 용인시 수지구에 위치한 갤러리위에서 개최한다
2021.08.06 - 08.31, 2021.09.06 - 10.01
ART SIGNAL
예술로 시그널을 주고 받는 아트시그널! 직접 만날 수 없어 소통이 줄어든 요즘, 창작자의 작품을 시민에게 직접 전달하는 프로젝트 '아트시그널'을 소개합니다. 아트시그널은 예술가에게 작품을 기부받아 시민들에게 전달하는 프로젝트입니다.
2019. 5. 1 ~ 9. 1
크리타 갤러리
크리타 갤러리가 빛과 색의 원리를 옵아트(Optical art)로 풀어내는 예술가이자 색채 물리학자인 크루즈 디에즈의 전시
2019. 7. 23 ~ 8. 23
강릉아트센터
강릉아트센터는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의
2019. 6. 8 ~ 9. 15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예술의전당은 20세기 최고이자 마지막 구상회화 작가 베르나르 뷔페의 국내 최초 대규모 단독 회고전 《 나는 광대다_베르나르 뷔페 展:천재의 캔버스 》 를 개최한다.
2019. 6. 20 ~ 9. 15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은 개관 50주년을 기념해 한국 동시대 미술의 가능성 있는 작가들을 소개하는 《젊은모색》전을 펼친다. 참여 작가 9명은 전시를 통해 치열하고 솔직한 그들만의 고민을 전한다.
2019. 3. 22 ~ 8. 4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서울시립미술관은 현존하는 동시대 예술가 중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고 대중적인 예술가 《 데이비드 호크니 》 전시를 개최한다.
2019. 6. 29 ~ 9. 29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 안은미래 >전은 다양한 참여 방식을 통해 관객을 무대로 이끌어 미술관을 찾은 이의 몸짓이 작품이 되는 '관객의 무대’를 구현한다.
2019. 6. 18 ~ 7. 7
제이갤러리
올해 새롭게 개관한 제이갤러리는 두 번째 전시로 임영조 초대기획전을 선보인다. 그동안 한지 조형 작업으로 일가를 이룬 임영조는 이번 전시에서 새로운 지평으로 금박 작업을 소개한다.
2019. 6. 20 ~ 7. 13
OCI 미술관
'OCI Young Creatives'는 OCI미술관의 신진작가 양성사업으로 매해 공모를 통해 신진작가를 발굴하여 개인전을 지원한다. 다음달 13일까지 박신영 개인전 <출구 없는 도로에서>가 펼쳐진다.
2019. 5.1 ~ 6. 22
두산갤러리 서울
전시는 한국에서 아파트가 만들어 내는 독특한 풍경을 다양한 시각으로 살펴본다. 도시의 숲 ‘아파트’에서 우리가 미처 생각해 보지 못했거나 지나쳤던 장면을 제시하며 동시대 거주 공간에 관해 질문한다.
2019. 5. 17 ~ 7. 7
아트선재센터
아트선재센터는 기획 전시를 통해 오늘날 어떻게 ‘공존’할 것인지 질문한다. 전시는 생태 문제의 미시적인 출발점을 제안하면서 공존의 군도를 펼쳐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