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빈 곳을 상상하며

2023. 5. 12 - 9. 10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Game Society

제10회 정선풍경 미술대전

2023.09.01. - 09.08

정선문화원

자연과 삶을 담은 정선의 정취

The First Demo

2023. 5. 17 - 6. 17

학고재

제니퍼 인 파라다이스

게임을 시작하지

2023. 4. 25 - 7. 9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이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우선, 신발을 벗으세요!

2023. 4. 4 - 10. 1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아트피크닉 ③ 《터치미텔》

이동하는 갤러리

2023. 5. 10 - 6. 4

뉴스프링프로젝트

UNBOXING PROJECT 2: Portable Gallery

크고도 작은 한 점

2023. 5. 18 - 9. 10

호암미술관

김환기 대규모 회고전

조각으로 만드는 꿈

2023. 5. 11 - 6. 24

리만머핀 서울

에르빈 부름 개인전 《꿈》

계승된 영원한 ‘잃어버림’

2023. 5. 10 - 7. 30

바라캇 컨템포러리

이산(離散)의 기록

녹거나 - 얼거나

2023. 4. 28 - 05. 25

합정지구

ANTI-FREEZE

아르코는 사랑을 싣고

2023. 4. 14 - 7.23

아르코미술관

5월의 아트 피크닉 ②

건강한 몸과 건강한 미술

2023. 4. 6 - 8. 27

소마미술관 & 올림픽공원

5월의 아트 피크닉 ①

서스펜스의 도시, 워치 앤 칠 3.0

2023. 4. 12. - 7. 23.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5전시실

구독형 스트리밍 플랫폼

축제로구나 "THE PREVIEW"

2023. 4. 20 - 23

S Factory D동

더프리뷰 성수 with 신한카드

세기말 고양이로부터 😺

2023. 04. 13 - 05. 17

PKM & PKM+

코디 최 개인전

올해의 작가상 후원작가 발표

2023. 10. 20 - 2024. 3. 17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 3, 4 전시실

올해의 작가상 2023

역사의 버드름을 따라

2023. 04. 07 - 07. 09

양림역사문화마을외 광주 일원

광주비엔날레 ‘회전축’들

가까이, 좀 더 가까이

2023. 03. 24 - 04. 14

래빗앤타이거 갤러리

낙원을 바라보는 태도

아르코는 사랑을 싣고

2023. 4. 14 - 7.23

아르코미술관

5월의 아트 피크닉 ②

건강한 몸과 건강한 미술

2023. 4. 6 - 8. 27

소마미술관 & 올림픽공원

5월의 아트 피크닉 ①

서스펜스의 도시, 워치 앤 칠 3.0

2023. 4. 12. - 7. 23.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5전시실

구독형 스트리밍 플랫폼

축제로구나 "THE PREVIEW"

2023. 4. 20 - 23

S Factory D동

더프리뷰 성수 with 신한카드

세기말 고양이로부터 😺

2023. 04. 13 - 05. 17

PKM & PKM+

코디 최 개인전

역사의 버드름을 따라

2023. 04. 07 - 07. 09

양림역사문화마을외 광주 일원

광주비엔날레 ‘회전축’들

가까이, 좀 더 가까이

2023. 03. 24 - 04. 14

래빗앤타이거 갤러리

낙원을 바라보는 태도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

2023. 04. 07 - 07. 09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제14회 광주비엔날레

<양평-몽골 현대미술>展

23.04.07-23.05.21

양평군립미술관

지금, 살고 있는 우리가 가장 닮아 있는 예술

움직임으로부터

2022. 4. 4. - 5. 28.

국제갤러리 K2 1층, K3

알렉산더 칼더 개인전 개최

돌과 철판의 만남, 문명과 자연의 대화

2022. 4. 4. - 5. 28.

국제갤러리 K1, K2 2층, K2 정원

이우환 개인전 개최

자유와 해방을 향한 탈피

2023. 3. 28 - 6. 25

아트선재센터 1, 2 전시실

하이디 부허 아시아 첫 회고전

view

월간미술 전시 등록 안내

김태호 작가 별세

2022.10.04.

축적된 색면의 층에 내면의 질서로 파고들다

Our Friendly Neighbours

2022.09.08. - 11.05.

주영한국문화원

포스트 팬데믹의 예술, 기술, 자연의 관계에 주목

박대성 : 먹의 재창조

2022.09.24. - 2023.03.19.

다트머스칼리지 후드미술관

한국화의 세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실천적 디자인

2022. 09. 02.

〈대지의 시간〉 전시디자인 선정돼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 개봉

2022. 09. 29.

김창열 화백의 다큐멘터리 제작돼

장애예술인 창작 지원

2022. 08. 31. - 09. 19.

문화체육관광부

장애예술인 특별전 개최 및 관련 법률 개정

2023년 지역문화재 활용사업 대상 발표

2023

문화재청

5개 사업 총 410건 선정

잇따라 열리는 해외 갤러리 및 경매사의 전시

《월간미술》9월호

1 ·  2차 시장의 지속되는 움직임

〈프리즈 서울〉 주제 발표

2022. 9. 2. - 5.

서울 코엑스

110여 개 참여 갤러리 목록 등도 함께 밝혀

미술 사러 홍콩 갈래?

2022. 5. 25. - 29.

홍콩컨벤션센터(HKCEC)

홍콩 지역 예술가들과 만드는 전 지구적 연결

《한국미술 1900-2020》 발간

근현대 한국미술의 뼈대 구축

국립현대미술관

지난 10월 6일, 국립현대미술관(관장 윤범모)은 190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 근현대미술 120년사를 조망하는 개론서 《한국미술 1900 - 2020》을 발간했다.

김성원 리움미술관 부관장

《월간미술》 11월호

리움은 현재 ‘변화’하는 중

10월 8일 리움미술관(이하 리움)의 재개관 소식은 미술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명실상부 국내 최고 사립미술관으로 평가받는 리움의 휴관은 그간 미술계의 안타까움을 자아내던 터였다. 그만큼 우리 미술계가 리움에 거는 기대가 컸다는 반증이다. 전격적인 재개관 소식에 이어 주목되는 소식 하나가 덧붙여졌다. 바로 김성원 부관장의 취임이다. 김성원 부관장은 교수(서울과학기술대 조형예술학과), 전시기획자, 비평가. 미술행정가로 다방면에 역량을 드러내 미술계 주요 인사로 손꼽혀왔다. 9월 1일 취임한 김 부관장은 리움 재개관의 화두를 역시 ‘변화’로 꼽았다. 그를 인터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