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작가의 풍경] 쥬드 프라이데이

첫 번째 이야기

웹툰 작가 쥬드 프라이데이

길을 걸으며 마주하는 모든 풍경은 사람에게 영향을 끼친다. 푸름 여름의 빛은 사람을 담고, 사람은 이야기를 만든다. 다채로운 풍경 속, 작가는 어떤 장면을 만들어 나갈까? 작가의 시선에서 그의 일상을 들여다보고 작품이 제작되기까지 숨겨진 이야기들을 나눠본다.

어린왕자 인사이드展

2021.06.17 - 2021.09.25

인사동 마루아트센터

"어린왕자 인사이드 展"은 일상에서 벗어나 색다른 경험을 즐기고자 여행을 꿈꿔왔던 분들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특별한 자극이 가득한 컨텐츠들로 전시를 구성했다. 영상미디어, 인터랙티브 아트, 페인팅, 조각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동시대 예술이라는 장르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7월, 에디터의 추천 전시

전시별 상이

⟪월간미술⟫ 7월호

본지 PREVIEW에 소개된 전시 중 일부를 온라인 독자에게 소개한다.

제1회 중앙 미디어아트 공모전

2021.07.12 - 2021.08.15

무역센터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 활성화를 위하여 제1회 중앙 미디어아트 공모전이 7월 12일부터 8월 15일까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행복/서울의 판타지를 주제로 진행된다.

모호 MOHO

2021.06.26 - 2021.08.22

에브리데이몬데이

건강하고 유쾌한, 그러면서도 단단하고 견고한 관계는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 일까요.- 김 대현(무나씨)의 이 질문을 시작으로 6월의 끝자락, 에브리데이몬데이에서 전시가 시작된다.

[공모] Driven by Dreams. Driven by Porsche.

2021.6.07 - 6.28

포르쉐 코리아

페리 포르쉐 한 사람의 꿈에서 시작된 브랜드 포르쉐가 한국의 젊은 디자이너/아티스트들의 꿈을 응원합니다.

[Interview] Summer Blues

2021.5.27 - 8.27

삼성서울병원 행복의벽

삼성서울병원과 함께하는 <행복의벽> 프로젝트, 그 13번째 전시. 김소라 작가의 수채화 작품으로 만드는 여름의 푸른 풍경과 잔잔한 아름다움을 소개한다.

지치지 않고 건네는 농담

2021.5.18-8.1

서울시립미술관

《월간미술》은 6월호 HOT PEOPLE에 소개된 주호민, 주재환 작가의 인터뷰를 소개한다.

호민과 재환이 만드는 새로움

2021.5.18-8.1

서울시립미술관

미술과 웹툰이라는 같고도 다른 범주에서 활동 중인 두 부자父子 작가가 세대를 거치며 어떻게 변화하고 매체에 따라 어떤 전략을 취하는지, 그들의 차이는 어떠한 새로움을 만들어 내는지 알아본다.

피카소 탄생 140주년 특별전

2021.05.01 - 2021.08.29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비채아트뮤지엄은 20세기 미술의 거장 파블로 피카소의 회고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국내 최대 규모의 피카소 진품 명화전으로 70년에 걸친 피카소 예술의 흐름을 연대기적 테마를 통해 보여준다.

[특집]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 4

출라얀논 시리폴

지금, 미얀마 미술이 응시하는 것

《월간미술》은 6월호 특집기사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에 미얀마 및 동남아시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 9명의 글을 실었다. 그 중 현재 미얀마의 상황을 넘어, 동남아시아 사회에서 공공의 자유와 예술계의 연대를 말하고자 하는 작가의 요청에 따라 국문 축약본과 그가 편집부에 보내온 영문 전문을 게재한다. 그 네 번째는 태국의 영화감독이자 작가인 출라얀논 시리폴(Chulayarnnon Siriphol)의 원고다.

[특집]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 3

야나다 윈(Yadana Win)

지금, 미얀마 미술이 응시하는 것

《월간미술》은 6월호 특집기사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에 미얀마 및 동남아시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 9명의 글을 실었다. 그 중 현재 미얀마의 상황을 알리고자 하는 작가들의 요청에 따라 국문 축약본과 그들이 편집부에 보내온 영문 전문을 게재한다. 그 세 번째는 미얀마 행위예술가이자 양곤의 독립 기획자로 잘 알려진 야다나 윈(Yadana Win)의 말이다.

[특집]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 2

포 포(Po Po)

지금, 미얀마 미술이 응시하는 것

《월간미술》은 6월호 특집기사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에 미얀마 및 동남아시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 9명의 글을 실었다. 그 중 현재 미얀마의 상황을 알리고자 하는 작가들의 요청에 따라 국문 축약본과 그들이 편집부에 보내온 영문 전문을 게재한다. 그 두 번째는 미얀마 양곤을 기반으로 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가 포 포(Po Po)의 전언이다.

[특집]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 1

아웅 미야 테(Aung Myat Htay)

지금, 미얀마 미술이 응시하는 것

《월간미술》은 6월호 특집기사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에 미얀마 및 동남아시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 9명의 글을 실었다. 그 중 현재 미얀마의 상황을 알리고자 하는 작가들의 요청에 따라 국문 축약본과 그들이 편집부에 보내온 영문 전문을 게재한다. 그 첫 번째는 미얀마 양곤에서 예술가이자 독립 큐레이터로 활약하고 있는 아웅 미야 테(Aung Myat Htay)의 문장이다.

공기의 무게 The Weight of the Air

2021.04.29 - 2021.05.29

웅갤러리

웅갤러리에서는 캔버스를 재구성한 입체적 회화작업을 선보이는 김영주 작가의 개인전 ‘공기의 무게 The Weight of the Air’를 진행한다. 지난 2년여간 준비해온 새로운 작업물들을 선보이는 이번 개인전에서는 새롭게 시도한 모빌형태의 작업과 드로잉, 회화작업까지 총 28점을 선보일 예정이다.

5월, 에디터의 추천 전시

전시별 상이

⟪월간미술⟫ 5월호

본지 EDITOR'S PIC에 소개된 전시 중 7가지를 뽑아 온라인 독자에게 소개한다.

2021동시대이슈전<판타지>

2021.04.09 - 2021.06.27

성남큐브미술관

동시대이슈전<판타지>는 가상과 현실이 혼재된 세상을 살아내고 있는 동시대 우리의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김익현, 김진우, 김희천, 윤석원, 이재원, 조이경, 허수빈 등 7명의 작가들의 시선을 통해 최근 비대면이 일상화되고 있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가상(假想)에 대해 조명해보고자 한다.

personal life

2021.04.09 - 2021.06.13

에브리데이몬데이

에브리데이몬데이에서 2021년 4월 미국 작가 Andy Rementer와 일본 작가 Automoai의 그룹전이 시작된다. 국적도 다르고 걸어왔던 길도 다른 두 명이 모여 개인적인 일상들을 다양한 시각에서 보여주고자 한다

전재홍 개인전 <제국의 휴먼>

2021.05.26 - 2021.06.01

토포하우스

전재홍 사진작가의 개인전 <제국의 휴먼> 展이 오는 5월 26일부터 6월 1일부터 토포하우스에서 개최된다. 전재홍 작가는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사건과 사안의 장소에서 관련 인물을 찾아 기록한 결과물을 선보인다.

4월, 에디터의 추천 전시

전시별 상이

⟪월간미술⟫ 4월호

본지 SIGHT&ISSUE와 EDITOR'S PIC에 소개된 전시 중 7가지를 뽑아 온라인 독자에게 소개한다. 다시금 상승세를 보이는 불안한 코시국 이지만 예술이 주는 즐거움을 놓치지 않기를 바란다. 물론 방역지침에 따라 안전하게!

강형구: Close Up

2018. 11. 22 ~ 2019. 2. 1

초이스아트컴퍼니

강형구는 앤디 워홀, 윈스턴 처칠 등 시대의 인물을 자신만의 감성으로 새롭게 탄생키는 작가. 관객을 뚫어지게 쳐다보는 듯한 그의 작품은 강한 아우라를 표출하여 관람객을 매혹하고 압도한다.

제5회 사운드이펙트서울: 우먼 핵 SFX 서울 2018

2018. 11. 9 ~ 12. 9

대안공간루프

제5회 사운드이펙트서울은 자신만의 소리 문화를 만드는, 수용자가 아닌 창작자로서 미감과 정체성을 재고한다. 전시에 참여하는 ‘여성 예술가’들은 하드웨어를 분해하거나 재조립하여 자신만의 소리를 만들어낸다.

Unclosed Bricks: 기억의 틈

2018. 10. 12 ~ 12. 2

아르코미술관

아르코미술관은 이번 전시를 통해 벽돌에 내포된 도시와 사회의 기억을 되짚는다. 벽돌은 단순한 건축재료가 아니라 동시대 공동성의 사회적 표상으로, 본 전시에서 예술가들은 벽돌의 구조와 형태를 탐구하며 도시 위에 남겨진 삶의 흔적들을 찾아 나선다.

리암 길릭: 새로운 샘들이 솟아나야 한다

2018. 10. 19 ~ 11. 23

갤러리바톤

갤러리바톤은 현대미술계를 주도하는 주요 작가로 디자인, 전시 기획, 출판 등 다방면에 걸쳐 자신의 예술세계를 펼쳐온 리암 길릭 작가의 개인전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서 그는 추상 설치물과 문장을 병치한 독특한 구조의 신작을 선보인다.

풍경에서 명상으로

2018. 9. 21 ~ 2019. 3. 3

뮤지엄 SAN

뮤지엄 SAN은 개관 5주년을 맞아 새로운 기획전시를 선보인다. 자연의 무한성을 넘어 문학적 숭고에 주목하는 이번 전시는 '세계를 바라봄', '멈춤', '전회적 체험'을 제안한다.

유화수, 이지양: 당신의 각도

2018. 10. 10 ~ 10. 18

온그라운드 지상소

전시는 장애에 대한 오해, 편견,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이에 늘 존재하는 어색한 지점에서 시작된 프로젝트다. 장애를 숨기지 않고 있는 그대로 드러내며 장애인이어서 미처 알지 못했던 많은 매력과 섬세한 감정들을 찾고자 한다.

천경우 : 모르는 평범함

2018. 9. 14 ~11. 11

성곡미술관

지난 15년 동안 10여 개국의 기관과 장소에서 행해졌던 천경우의 퍼포먼스들을 선별해 기획된 천경우의 대규모 개인전, < 모르는 평범함>이 성곡미술관에서 개최된다.

2018 아트마이닝 서울

한국을 대표하는 150명의 컨템포러리 작가들의 작품을 만날 수 있는 <2018 아트마이닝-서울 >이 오는 10월 3일부터 8일간 DDP 살림터 2층 크레아 라운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에서는 순수미술, 현대공예, 디자인 등 예술의 경계를 넘어 국내 대표 작가의 작품 330여 점을 한자 리에서 볼 수 있다.

박희자 : 다중노출

2018. 9. 12. ~ 10. 24.

송은아트큐브

박희자는 기술과 예술의 경계에서 예술의 의미와 가치를 찾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이번 전시에서 그는 지난 공:간극에서 선보였던 < 사물이탈 >설치물을 촬영하여 사진으로 선보인다.

신미경 : 사라지고도 존재하는

2018. 7. 5. ~ 9. 9.

아르코미술관

전시는 국내 공공 미술관에서 최초로 열리는 대규모 개인전으로, 신미경의 대표 작업 중에서 국내 미발표작과 신규 프로젝트를 선보인다. 작가는 조각이 지닌 권위와 견고함을 탈피하고자 유약한 소재인 비누를 이용해 문화 생산물을 재현해왔다.

박이소: 기록과 기억

2018. 7. 26. ~ 12. 1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전시는 박이소가 뉴욕에서 활동을 시작한 1984년경부터 갑작스럽게 사망한 2004년까지 그가 제작한 21권의 작가 노트를 포함하여 드로잉, 교육자료, 직접 녹음·편집한 재즈 라이브러리 등 수백여 점의 작품을 공개한다.

세 개의 방 프로젝트 : 현재의 가장자리

2018. 7. 12. ~ 9. 16.

백남준아트센터

세 개의 방 프로젝트는 백남준아트센터, 중국 크로노스 아트센터(CAC), 독일 칼스루에 예술과 미디어 센터(ZKM)가 한국, 중국, 독일의 젊은 미디어 작가를 공동으로 선정하여 전 세계 미술계에 소개하고 지원하는 공동 프로젝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