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Gustav Klimt, Gold in Motion

2022. 5. 27. - 2023. 3. 5.

빛의 시어터

워커힐 호텔에서 만나는 황금빛 향연

3, 2, 1, Launch

2022. 6. 25. - 8. 20..

타데우스 로팍 서울

초차원적 가공 공장, 로켓 팩토리로부터

귀를 위한 조각에 BTS 한 스푼

2022. 6. 22. - 9. 11.

하이브 인사이트

톰 삭스: 붐 박스 회고전

무한한 우주, 저 너머로

2022. 6. 22. - 8. 7.

아트선재센터 1, 2전시실 및 아트홀

톰 삭스가 초대하는 합판공간으로

유토피아로 가는 길은 네 손에 달렸어

2022. 06. 8. - 07. 31.

바라캇 서울

베알렉스 베르하스트 〈이루지 못한 미래의 아카이브〉

새로운 사각지대 안쪽에서

2022. 06. 15. - 07. 30.

PKM & PKM+

새로운 관점을 열어줄 불확실성의 상태로의 초대

[INTERVIEW] 서로의 어깨를 TAP, TAP, TAP

2022. 6. 2.

합정지구, 별관, 얼터사이드

함께할 수밖에 없는 미술

대지위에 드러나는 유영국의 세계

2022. 6. 9. - 8. 21.

국제갤러리 K1, K2, K3

유영국 20주기 기념전 《Colors of Yoo Youngkuk》

제2회 중앙 미디어아트 공모전

2022.06.13. - 07.22

무역센터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 활성화를 위한 제2회 중앙 미디어아트 공모전을 개최한다.

See You Again!

2022. 6. 17. - 6. 19.

문화역서울284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며 여는 그림도시의 마지막 장

낯선 도시의 갈림길 – 유행과 취향 사이

2022. 5. 18. - 6. 18.

갤러리바톤

낯선 갈림길, 여행자의 선택은 모든 것을 달라지게 한다.

공기를 부유하는 푸른 빛

2022. 5. 4. - 6. 11.

타데우스로팍 서울 포트힐

공기를 공유하며 떠도는 생각들과 공명하는 음악의 하모니

옆으로 나누는 대화(the art of noticing)

2022.4.19. - 7.16.

임시공간

서로를 알아채는 마음을 위한 자리

TAP, TAP, TAP

2022. 05. 13 - 06. 05.

얼터사이드, 별관, 합정지구

마포구에 울려 퍼지는 경쾌한 발소리

미술 사러 홍콩 갈래?

2022. 5. 25. - 29.

홍콩컨벤션센터(HKCEC)

홍콩 지역 예술가들과 만드는 전 지구적 연결

어느 수집가의 초상

2022. 4.28 - 8.28.

국립중앙박물관

주거니 받거니, 총 295건 355점

간송의 시간은 영원히

2022. 4. 26. - 6. 5.

간송미술관

소중한 작품이 우리곁에 영원하기를 바라며

빛과 사운드가 남기는 시간의 자국

2022. 5. 20. - 5.29

파라다이스 아트랩

미디어아트 콜렉티브 oOps.50656 가 초대하는 감각의 여정

꿈의 우유 그리고 황금사자상

2022. 4. 23. - 11. 27.

제59회 베니스비엔날레

수상의 영광은 소니아보이스와 시몬리에게 돌아갔다.

소용돌이는 그 자체로 존재할 뿐

2022. 4. 23. - 11. 27.

제59회 베니스비엔날레

나선(Gyre)은 혼란스러운 상황과 도래하는 시대 사이의 부풀은 경계를 보여준다.

프루프록의 평행우주

2020. 1. 4 ~ 1. 30

레인보우큐브

전시는 가상과 현실 세계 구분이 모호해진 오늘날 우리가 마주한 현실에서 점차 새로운 미래 감각을 구축하는 픽션 전개 방식으로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에 주목한다.

박현정: 슬라임 플러시

2019. 12. 24 ~ 2020. 1. 16

학고재 디자인 프로젝트 스페이스

‘학고재 디자인 프로젝트 스페이스’는 청년 작가를 지원하는 다회성 프로젝트다. 기하학 색면과 정제된 붓질로 화면을 조형하는 박현정의 개인전을 지원, 차별화된 작가 주도적 전시를 마련했다.

쥐구멍에 볕 든 날

2019. 12. 24 ~ 2020. 3. 1

국립민속박물관

2020년은 흰 쥐띠의 해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쥐의 해를 맞아 쥐에 관한 생태와 상징, 문화상을 조명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김희천: 탱크

2019. 11. 29 ~ 2020. 2. 9

아트선재센터

‘감각 차단 탱크‘를 실재와 실재가 아닌 감각의 경계를 흐리거나 동시에 그 경계를 강조할 수 있는 일종의 프레임으로 활용하며 가상과 실재의 경계가 사라지는 기이한 상황을 제시한다.

박찬경: 모임 Gathering

2019. 10. 26 ~ 2020. 2. 23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영상, 설치 등 매체와 장르를 넘나드는 방식과 액자형 전시 구조를 통해 시각예술 전시 관습에 의문을 제기한다. 서로 다른 소재의 유사성에서 접점을 찾으며 새로운 시야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우치유 : Asia Air

2019. 12. 1 ~ 12. 11

시카다채널

구 타이완 공군 총사령부 건물에 남겨진 공중전 전술지도에서 영감을 받아 인간이 하늘을 사용하고 이해하고 구획하는 방식을 역사적, 기술적 관점에서 바라본다.

칸쑈네 : 타고난 버라이어티

2019. 12. 6 ~ 12. 22

탈영역 우정국

< 칸 퍼레이드 >는 2015년 시작했다. 전시는 만화의 ‘칸’ 형식을 빌려 작지만 큰 잠재력을 내포하며 자신만의 ‘칸’을 쌓아나가고 있는 작가들의 작업을 소개한다.

매스 배스: 은으로 채우다

2019. 11. 2 ~ 2020. 1. 18

VSF갤러리

VSF갤러리는 미국 출신 작가 매스 배스(Math Bass)의 한국 최초 개인전을 개최한다. 작가는 기호학과 시각적 처리에 관한 지속적인 탐구 과정을 조명하며 전시를 통해 가치의 방법론을 탐색한다.

서울아트북페어2019 : 언리미티드 에디션 11

2019. 11. 15 ~ 11. 17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2009년부터 진행되어온 아트북페어 언리미티드 에디션이 11회를 맞는다. 독립출판 작가 및 제작자를 직접 만나고 새롭게 출간된 아트북을 접할 수 있는 자리.

제6회 안양공공미술 프로젝트: 공생도시

2019. 10. 17 ~ 12. 15

안양예술공원 및 평촌중앙공원 일대

제6회 안양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주제는 ‘공생도시’. 예술을 매개로 보다 나은 내일의 도시를 지향하며 다양한 공공미술을 통해 공생의 의미를 되돌아본다.

정지는 아무도 보지 못한 거친 짐승이다

2019. 10. 22 ~ 11. 17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장성은은 늘 존재했지만 의식되지 못했던 이들의 고독을 향한 고요한 외침을 드러내며 다양한 형태의 아름다움에서 풍경이 내포하는 고독을 펼쳐보인다.

에코 챔버 : 사운드이펙트서울 2019

2019. 11. 7 ~ 11. 30

대안공간루프, 스튜디오독산, 아카이브봄

국제 사운드 아트 페스티벌인 사운드이펙트서울의 올해 주제는 ‘에코 챔버(Echo Chamber)’다. 축제는 관객과 함께 동시대 시청각 매체를 되새기고 새로운 소리의 방안을 고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