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특집]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 4

출라얀논 시리폴

지금, 미얀마 미술이 응시하는 것

《월간미술》은 6월호 특집기사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에 미얀마 및 동남아시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 9명의 글을 실었다. 그 중 현재 미얀마의 상황을 넘어, 동남아시아 사회에서 공공의 자유와 예술계의 연대를 말하고자 하는 작가의 요청에 따라 국문 축약본과 그가 편집부에 보내온 영문 전문을 게재한다. 그 네 번째는 태국의 영화감독이자 작가인 출라얀논 시리폴(Chulayarnnon Siriphol)의 원고다.

[특집]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 3

야나다 윈(Yadana Win)

지금, 미얀마 미술이 응시하는 것

《월간미술》은 6월호 특집기사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에 미얀마 및 동남아시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 9명의 글을 실었다. 그 중 현재 미얀마의 상황을 알리고자 하는 작가들의 요청에 따라 국문 축약본과 그들이 편집부에 보내온 영문 전문을 게재한다. 그 세 번째는 미얀마 행위예술가이자 양곤의 독립 기획자로 잘 알려진 야다나 윈(Yadana Win)의 말이다.

[특집]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 2

포 포(Po Po)

지금, 미얀마 미술이 응시하는 것

《월간미술》은 6월호 특집기사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에 미얀마 및 동남아시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 9명의 글을 실었다. 그 중 현재 미얀마의 상황을 알리고자 하는 작가들의 요청에 따라 국문 축약본과 그들이 편집부에 보내온 영문 전문을 게재한다. 그 두 번째는 미얀마 양곤을 기반으로 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예술가 포 포(Po Po)의 전언이다.

[특집]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 1

아웅 미야 테(Aung Myat Htay)

지금, 미얀마 미술이 응시하는 것

《월간미술》은 6월호 특집기사 〈미술이 억압에 맞서 연대하는 방법〉에 미얀마 및 동남아시아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 9명의 글을 실었다. 그 중 현재 미얀마의 상황을 알리고자 하는 작가들의 요청에 따라 국문 축약본과 그들이 편집부에 보내온 영문 전문을 게재한다. 그 첫 번째는 미얀마 양곤에서 예술가이자 독립 큐레이터로 활약하고 있는 아웅 미야 테(Aung Myat Htay)의 문장이다.

공기의 무게 The Weight of the Air

2021.04.29 - 2021.05.29

웅갤러리

웅갤러리에서는 캔버스를 재구성한 입체적 회화작업을 선보이는 김영주 작가의 개인전 ‘공기의 무게 The Weight of the Air’를 진행한다. 지난 2년여간 준비해온 새로운 작업물들을 선보이는 이번 개인전에서는 새롭게 시도한 모빌형태의 작업과 드로잉, 회화작업까지 총 28점을 선보일 예정이다.

5월, 에디터의 추천 전시

전시별 상이

⟪월간미술⟫ 5월호

본지 EDITOR'S PIC에 소개된 전시 중 7가지를 뽑아 온라인 독자에게 소개한다.

2021동시대이슈전<판타지>

2021.04.09 - 2021.06.27

성남큐브미술관

동시대이슈전<판타지>는 가상과 현실이 혼재된 세상을 살아내고 있는 동시대 우리의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김익현, 김진우, 김희천, 윤석원, 이재원, 조이경, 허수빈 등 7명의 작가들의 시선을 통해 최근 비대면이 일상화되고 있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가상(假想)에 대해 조명해보고자 한다.

personal life

2021.04.09 - 2021.06.13

에브리데이몬데이

에브리데이몬데이에서 2021년 4월 미국 작가 Andy Rementer와 일본 작가 Automoai의 그룹전이 시작된다. 국적도 다르고 걸어왔던 길도 다른 두 명이 모여 개인적인 일상들을 다양한 시각에서 보여주고자 한다

전재홍 개인전 <제국의 휴먼>

2021.05.26 - 2021.06.01

토포하우스

전재홍 사진작가의 개인전 <제국의 휴먼> 展이 오는 5월 26일부터 6월 1일부터 토포하우스에서 개최된다. 전재홍 작가는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사건과 사안의 장소에서 관련 인물을 찾아 기록한 결과물을 선보인다.

4월, 에디터의 추천 전시

전시별 상이

⟪월간미술⟫ 4월호

본지 SIGHT&ISSUE와 EDITOR'S PIC에 소개된 전시 중 7가지를 뽑아 온라인 독자에게 소개한다. 다시금 상승세를 보이는 불안한 코시국 이지만 예술이 주는 즐거움을 놓치지 않기를 바란다. 물론 방역지침에 따라 안전하게!

[공고] 제8회 정선 풍경 전국 미술 대전

정선문화원

제8회 정선 풍경 전국 미술 대전이 "자연을 담은 정선의 정취" 부제로 열린다. 천혜의 자연을 간직한 정선의 아름다움을 미술 작품 공모전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오니 역량 있는 작가와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란다.

STUCK

2021.04.02 - 2021.05.23

LAD

게임 내에서 ‘STUCK’ 상태에 갇혀 어떤 풍경이나 대상을 반강제적으로 마주해야 하는 상황을 폐쇄성이 짙은 LAD의 전시공간으로 끌어들여 작품과 관람자의 관계에서 야기되는 새로운 시야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화랑미술제의 활기찬 기운을 화랑 전시까지

-

월간미술 435권

봄을 맞아 서울에서 히트한 화랑미술제의 열기가 부산에서 열리는 아트페어로 이어질 전망이다. 아트페어, 경매시장의 좋은 소식이 화랑 전시에까지 이어지길 바란다.

올해의작가상 2020

2020. 12. 4 - 2021. 4. 4

국립현대미술관서울

국립현대미술관과 SBS문화재단이 2012년부터 공동으로 주최해온 《올해의 작가상》은  역량 있는 동시대 시각 예술가 4인을 선발하여 신작 제작 지원 및 전시 기회를 제공하고 최종 수상자를 선정한다.

제주에 맺힌 허(虛)의 물방울

2021. 2. 2 - 5. 23 / 3. 9 - 8. 15

제주도립김창열미술관

따뜻한 봄이 깃든 제주에서 누릴 수 있는 물과 빛의 시간. 물방울의 작가, 김창열 화백의 그림을 만나볼 수 있는 김창열미술관을 소개한다.

#23 남다현 개인전

2021.02.25 - 2021.04.25

갤러리요호

갤러리요호는 2021년 2월 25일부터 4월 25일까지 《#23》 남다현 개인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현시대가 겪고 있는 이동의 자유가 제한되는 삶에 대한 서사를 '여행의 흔적'을 통해 엮어낸다.

Through Transparency

2021.04.14 - 2021.04.20

프린트베이커리

프린트베이커리에서 4월 14일부터 찬란한 빛의 향연전인 정혜선의 개인전이 개최된다. 이 전시를 통하여 봄 만큼이나 따뜻한 빛의 온기가 전달되기를 바라며 또한 다양한 색들의 반짝임을 통해서는 사진속의 사랑어린 메세지들이 관람객에게 그대로 전해지길 기대한다.

Lee Bul - Beginning

2021.03.02 - 2021.05.16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서울시립미술관은 세계적인 작가 이불의 개인전《이불-시작》을 3월 2일부터 5월 16일까지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1층에서 개최한다. 《이불-시작》은 작가가 초기 활동을 시작했던 1987년부터 10여 년간 집중적으로 발표했던 소프트 조각과 퍼포먼스 기록을 중심으로 한 전시이다.

3월, 에디터의 추천 전시

전시별 상이

⟪월간미술⟫ 3월호

에디터가 뽑은 3월의 전시들을 소개한다. 따뜻해진 날씨에 발맞춰 흥미 있는 전시들이 열린다. 그중 월간미술 에디터가 뽑은 몇 가지 전시를 소개한다. 본 내용은 본지 54쪽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Interview] 어느 날 봄빛이 말을 걸었다

2021. 2. 22 - 2021. 4. 23

삼성서울병원 행복의벽

행복의 벽에 낭만적인 사진으로 봄의 풍경을 그린 장동원 작가를 망원동 스튜디오에서 만났다. 그가 말하는 봄의 설렘과 누구나 시작할 수 있는 사진 이야기를 소개한다.

박이소: 기록과 기억

2018. 7. 26. ~ 12. 1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전시는 박이소가 뉴욕에서 활동을 시작한 1984년경부터 갑작스럽게 사망한 2004년까지 그가 제작한 21권의 작가 노트를 포함하여 드로잉, 교육자료, 직접 녹음·편집한 재즈 라이브러리 등 수백여 점의 작품을 공개한다.

세 개의 방 프로젝트 : 현재의 가장자리

2018. 7. 12. ~ 9. 16.

백남준아트센터

세 개의 방 프로젝트는 백남준아트센터, 중국 크로노스 아트센터(CAC), 독일 칼스루에 예술과 미디어 센터(ZKM)가 한국, 중국, 독일의 젊은 미디어 작가를 공동으로 선정하여 전 세계 미술계에 소개하고 지원하는 공동 프로젝트다.

플랫랜드 Flat Land

2018. 6. 1. ~ 9. 2.

금호미술관

전시는 '추상'이 동시대 미술에서 가지는 의의를 살핀다. 기하학 형태를 탐구하거나 일상 사물을 조형 요소로 변환하는 등 추상을 주제로 작업하는 작가들은 재현에서 더 나아가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구현모 : 후천적 자연

2018. 6. 20. ~ 8. 3.

PKM 갤러리

PKM 갤러리는 시적 서정성과 재료에 대한 공감각적 접근 방식으로 주목 받아온 구현모 작가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전시는 4년만에 열리는 개인전으로 구현모의 근래 작품세계를 총체적으로 아우른다.

보이스리스 : 일곱 바다를 비추는 별

2018. 6. 26. ~ 8. 15.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서울시립미술관은 우리 시대의 억압받고 배재된 존재를 조명하고자 전시를 기획했다. 전쟁, 난민, 여성, 죽음 등을 주제로 소외된 자들을 다루어온 국내외 작가 일곱 명을 선별해 동시대의 다양한 문제를 생각해 볼 기회를 마련한다.

목련꽃 아래서: 김광수, 이갑철, 진동선, 최광호 초기 사진전

2018. 7. 3. ~ 7. 15.

사진위주 류가헌

김광수, 이갑철, 진동선, 최광호. 사진가와 사진평론가로 저마다의 자리매김을 데뚝히 하고 있는 네 사람이지만, 이들에게도 ‘처음’은 있었다. 40여 년 지기인 네 사람이 함께 모여 자신의 초기작업을 류가헌에서 선보인다.

막신 마시요브스키 : Rephrase it positively

2018. 6. 22. ~ 8. 3.

갤러리바톤

전시는 갤러리바톤이 한남동으로 이전한 이후 선보이는 개관전이자 막신 마시요브스키가 한국에서 펼치는 첫 개인전. 폴란드 출신 페인터 막신 마시요브스키의 신작과 대표작을 대거 소개한다.

일부러 불편하게 : Discomfort on Purpose

2018. 6. 8. ~ 8. 19.

소마미술관

전시는 관람자에게 몸을 매개로 하는, 불쾌하지만 매혹적인 공감을 이끌어낸다. 작가들은 몸을 주제로 삶에서 맞닥뜨리는 불편한 감정과 관념에 대처하는 태도를 작품으로 드러낸다.

디지털 프롬나드

2018. 6. 12.~8. 15.

서울시립 미술관 서소문본관

우리는 발전을 거듭하는 변화의 한가운데에 서 있다. <디지털 프롬나드>는 제4차 산업혁명, 인공지능(A.I) 등 급속히 변화하는 시대에서 예술가들의 창작방법과 그들이 생각하는 예술의 개념은 어떻게 변했는지 질문한다.

육근병: 생존은 역사다

2018. 6.15 ~ 8. 5

아트선재 센터

육근병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대표작 <풍경의 소리+터를 위한 눈>(2018)과 신작 <십이지신상>(2018)을 중심으로 역사와 인간에 대한 자신의 지속적인 성찰을 관객들과 나눈다.

날씨의 맛

2018. 6. 12. ~ 8. 15.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전시는 날씨와 맺어온 역사와 미래에 대해 숙고하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기획되었다.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감각적으로 인식되는 날씨 관련 요소를 점차 지각적으로 확장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부재不在의 기술記述

2018. 6. 11. ~ 7. 22.

예술공간 이아

미술,영화,무용,회화 등을 융합한 멀티미디어아트전인 전시는 소외된 타자의 고통을 재현할 수 있느냐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무지, 무시, 편견에 대항하며 윤리적 태도와 예술적 의지 사이에서 고민하는 예술가들의 작품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