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배종헌 개인전: 고립여행 孤立旅行

2023. 1.6~2.12

대안공간 루프

“Ask the deer for my way.”

조선, 병풍의 나라 2

2023. 1.26~4.30

아모레퍼시픽미술관

5년 만에 선보이는 두 번째 병풍 전시

2025 하와이 트리엔날레 큐레이터 3인 선정

2023. 01. 23

하와이 트리엔날레

최빛나 네덜란드 카스코 아트 인스티튜트 디렉터

2023바다미술제 전시감독 선임

2023. 02. 02

부산광역시, (사)부산비엔날레조직위원회

이리니 파파디미트리우 전시감독

더 넓은 예술의 교차 지점을 향하여

INTERVIEW

홍콩 뉴월드그룹 CEO & K11 그룹 창립자

애이드리언 쳉

EXHIBITION FEATURE

2022.11.18~1.21, 2022.12.3~31

아르코미술관, 코리아나미술관 스페이스 씨

다양한 시도들

‘한국화’를 절뚝이게 만든 것은 무엇이었나

1970년 중반에서 1980년대 초반 『계간미술』

月刊美術 RE-READ

2023 청년·원로예술지원 신규사업

2023.1.2

서울문화재단

신규사업 성황리 진행 중

단순하고 용감하게: 1인 출판사 이야기

일본 1인 출판사가 일하는 방식』  · 유유 · 2013

니시야마 마사코 지음 김연한 옮김

현대판 유물 제작기행

UP-AND-COMING ARTIST

이진영 Lee Jinyoung

YOON HYANGRO

Artist Review

데이터에서 파티클까지

한국의 전위예술(Avant-Garde)과 구타이

Art Forum

예술은 끝없는 실험의 연속이다.

김달진

2023.1.9

한국박물관협회

2023년 발전유공 정부포상 대통령상

《한국사진사 인사이드 아웃, 1929~1982》

2022.12.21~4.16

뮤지엄한미 삼청

뮤지엄한미 삼청의 새 출발

The Other Face of Material

2023.2.1-2023.3.8

서정아트센터

경계와 이면을 탐색하는 4명의 작가

키키 스미스 《자유낙하》

2022.12.15~3.12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작가의 첫 아시아 미술관 개인전

권자연: 두 개의 장소와 드로잉-인덱스

2022.12.21~1.18

A.P.23

작업 흐름을 ‘인덱스’라는 키워드로 재맥락화했다

2023 글렌피딕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

2023.1.25-2023.3.10

위스키의 고향에서 작품활동을 지원합니다.

해외 기획전시 지원 공모

2022.12.20-2023.02.28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미술의 해외 진출을 지원합니다.

오형근 왼쪽 얼굴

2022.12.8~1.29

아트선재센터

익명의 얼굴들이 전시장을 가득 메운다.

미술로, 세계로

2022.1.20 - 6.12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냉전시대 이후 세계화의 열망으로 가득했던 대한민국이 해외미술과 교류한 발자취를 1978년부터 수집해온 다양한 국적의 해외작가 96명의 조각, 드로잉, 회화 등 104점으로 보여준다.

래리 피트먼 〈불투명한, 반투명한, 빛나는〉

2022.3.15 - 5.7

리만머핀 서울

한국에서 열리는 그의 첫 개인전으로, 2021년과 올해 제작된 신작들로 채워졌다. 그 안에는 콜롬비아인 어머니의 문화와 작가 자신의 성 정체성, 그리고 그가 겪거나 마주했던 사회의 일면이 담겨 있다.

제9회 정선풍경 미술대전

2022.09.01. - 09.08

정선문화원

정선문화원은 "자연과 삶을 담은 정선의 정취"라는 부제로 제9회 정선풍경 미술대전을 개최한다.

박남희

제3회 제주비엔날레 예술감독

1, 2회에 불거진 ‘불협화음’으로 폐지냐 재편이냐를 두고 열띤 논의가 일었던 제주비엔날레가 올해 하반기 3회 전시 개막을 준비하고 있다.

아트 스펙트럼 2022

2022.3.2 - 7.3

리움미술관 그라운드갤러리

6년만에 다시 문을 연 〈아트스펙트럼 2022〉에는 김동희, 김정모, 노혜리, 박성준, 소목장세미, 안유리, 전현선, 차재민이 참여했다. 리움미술관은 5월 중 아트스펙트럼 작가상 수상자 1인을 선정할 예정이다.

미얀마 작가 초대전 – 치유의 순간

2022. 03. 30. - 2022. 04. 23.

L.WAYV GALLERY

<미얀마 작가 초대전 – Moment for Remedy 치유의 순간>은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각종 재난상황과 사상과 이념의 충돌로 인해 상처를 겪고 있는 어지럽고 불안한 현 시점을 바라보고 위로하기 위해 기획된 전시이다.

사물이 마법을 붙잡는 방법

2021.2.11 - 3.12

페이스갤러리 서울

이번 전시는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각 문화를 대표하는 두 거장의 만남을 제시했으며, 이는 미술관 컬렉션의 지형을 바꾸고 국내 · 외 미술사 및 미학 연구에 작은 변화를 몰고 오리라 기대한다.

차가운 꿈 Bleak Island

2021.8.26 - 9.26

대안공간 루프

그가 17년여간 직시한, 매스컴이 덮어씌운 이상적인 프레임을 걷어낸 풍경의 황량한 민낯을 이제는 우리가 바라볼 때다.

HA CHONGHYUN

2022.02.15 - 3.13

국제갤러리 서울 전관

이번 전시에서는 199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하종현의 작업과 사유를 일괄한다. 특히 1970년대부터 시작된 〈접합(Conjunction)〉 연작에서 파생된 〈이후 접합(Post - Conjunction)〉 시리즈의 신작을 대규모로 공개했다.

공명(résonance)

2022. 2. 28. - 3. 11.

스페이스 캔

사진 속 피사체들은 명료한 색채와 형체가 아닌 어둠과 빛의 경계에 위치한다. 이번 전시는 작가가 틈틈이 수행처럼 이어간 촬영 작품을 처음 선보이게 된 것으로, 새벽의 깊고 고요한 풍경이 담겼다.

20여 년 전의 시선

2021.11.12~2021.12.12

가나아트센터

지난 한 해, 서울공예박물관,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미국 휴스턴미술관 개관에 맞춘 작업을 선보이느라 분주하게 보낸 국내 아트퍼니처의 선구자, 최병훈을 소개한다.

CHOI BYUNGHOON

2021.11.12~2021.12.12

가나아트센터

지난 한 해, 서울공예박물관, 대전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미국 휴스턴미술관 개관에 맞춘 작업을 선보이느라 분주하게 보낸 국내 아트퍼니처의 선구자, 최병훈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