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하루 그만보기
2021.11.15 - 2021.11.20
캐나다 최초의 장애예술단체 NaAC와 한국의 문화예술 특화 장애인복지관 강남장애인복지관은서로의 시간과 이야기를 공유하기 위해 우리는 프로젝트 도란도란 프로그램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오늘展에서 프로젝트 참여 아티스트들의 워크숍 참여 결과물을 비롯한 다양한 작품들을 오프라인으로도 만나실수 있습니다.
2021.10.01 - 2021.11.30
뉴-아트 매니지먼트 컴퍼니 '아츠클라우드'가 제1회 디지털 아트페어를 진행합니다. 다양한 디지털 아트 분야의 신진 아티스트를 발굴하고 젊은 아티스트를 위한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 가기 위한 이번 공모전에 많은 아티스트의 참여 바랍니다.
2021.3.12 - 8.31
기억의 바다로: 도미야마 다에코의 세계
도미야마 다에코는 지난 8월 18일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영면했다. 향년 99세. 80여 년의 작가 인생에서 도미야마는 화가로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많은 저작을 남기고 일본은 물론, 남미, 유럽, 그리고 아시아를 돌아다니며 활동한 트랜스내셔널한 운동가이기도 했다. 특히 한국은 도미야마가 “제2의 고향”이라고 할 정도로 깊은 인연이 있는 나라다.
2021.8.7 - 1.19
먼 사람, 사람, 가까운 사람
우리의 존재는 매번 잘못 호명된다. 우리의 이름도, 직업도, 외모조차도 나를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호가 될 수 없다. 세상에 완벽한 이해라는 것이 존재할까? 사르트르의 말대로 타인은 지옥이건만, 인간은 자신의 실존을 인정받기 위해 타인을 필요로 한다.
2021.10.27 - 2021.11.02
그림손갤러리
지전 김종순의 2021년 개인전 Color Exhibition 이 그림손갤러리에서 10월 27일 개최하여 11월 2일까지 진행된다. 어둡고 갑갑한 시대에 이 전시가 이루어져 슬픔을 회고하는 동시에 색의 기운으로 생동을 찾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월간미술⟫ 9월호
《월간미술》은 이건희 컬렉션에 얽힌 실타래들을 풀어보고자 한국 미술계의 기증문화, 컬렉션, 기관의 소장품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증받은 이건희 컬렉션의 주요 작품들을 선보이는 특별전을 기관별로 소개하는 글을 싣는다.
2021.09.10 - 2021.10.22
무예와 사진을 접목한 문화 활동 증진 및 수상작 전시회 개최로 무예의 가치를 전파하고자 2021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 국제무예사진공모전을 개최합니다. 무예와 사진에 관심이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21.09.18 - 2021.11.07
에브리데이몬데이
개성 강한 그림체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레이몬드 렘스트라 작가와 장콸 작가의 ‘Couple Look’ 전시를 9월 18일부터 11월 7일까지 에브리데이몬데이에서 만나볼 수 있다.
2021. 8. 14.
정준모 연구실
《월간미술》은 이건희 컬렉션과 이건희 기증관을 주제로 정준모 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과 도재기 경향신문 논설위원의 대담을 통해 이건희 컬렉션이 국립 미술기관의 학문적, 예술적 맥락에 큰 줄기를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과 이건희 기증관 설립에 관한 논의들을 짚어본다.
⟪월간미술⟫ 9월호
《월간미술》은 이건희 컬렉션에 얽힌 실타래들을 풀어보고자 한국 미술계의 기증문화, 컬렉션, 기관의 소장품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증받은 이건희 컬렉션의 주요 작품들을 선보이는 특별전을 기관별로 소개하는 글을 싣는다.
2021.08.25 - 2021.09.29
갤러리위
자연의 공간에 설치된 문, 그로부터의 빛. 자연과 인공의 조화를 통해 무한의 세계를 여는 '오경성 초대전 : 풍경의 문을 열다《OPEN THE DOOR in the Landscape》'가 용인시 수지구에 위치한 갤러리위에서 개최한다
2021.08.06 - 08.31, 2021.09.06 - 10.01
ART SIGNAL
예술로 시그널을 주고 받는 아트시그널! 직접 만날 수 없어 소통이 줄어든 요즘, 창작자의 작품을 시민에게 직접 전달하는 프로젝트 '아트시그널'을 소개합니다. 아트시그널은 예술가에게 작품을 기부받아 시민들에게 전달하는 프로젝트입니다.
2021.07.06 - 2021.09.26
대전시립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관장 선승혜)은 7월 6일부터 9월 26일까지 세계유명미술특별전 «트라우마 : 퓰리처상 사진전 & 15분»을 개최하여 ‘트라우마(Trauma)’라는 큰 주제 아래 «퓰리처상 사진전»과 «15분»이라는 두 개의 전시로 구성된다.
2021.07.31 - 2021.08.22
스페이스 자모
스페이스 자모는 7월 31일부터 8월 22일까지 미술계의 ‘라이징 아티스트’로 부상하고 있는 박정기 작가의 개인전 『창작의 열쇠-검독수리(Key to Creation - Golden Eagle)』를 개최한다.
2021.06.24 - 2021.09.17
스페이스K
스페이스K 서울은 영국 개념미술 작가 ‘라이언 갠더’ 개인전 개최하여 <변화율>이란 제목으로 ‘시간성’에 주목한 신작 포함 28점을 선보이며 일상적 사물로 예기치 못한 스토리텔링을 선사한다.
형상과 내재율, 그리고 물성과 그 주변
김노암
작가의 캔버스는 회화로 시작하여 조각적 요소가 결합한 다양한 층위의 중첩이라는 세계관을 드러내는 일종의 고고학적 발굴 현장으로 탈바꿈한다. 김태호가 작업이라는, 수행의 다른 말을 통해 드러내고자 한 독자적 ‘물성’의 내용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2021.07.19 - 2021.08.03
문화체육관광부와 (재)예술경영지원센터는 작가의 시장진출 기회 확대 및 국민의 미술문화 향유를 위해 공모를 진행한다. 관심 있는 민간단체의 많은 참여 바란다.
2020. 1. 10 ~ 2. 8
학고재 청담
서울문화재단 유망예술지원사업 “99℃ 쇼케이스전”에 선정된 3명 작가 신민, 전명은, 한성우은 이번 전시에서 각자의 작업을 완성이 아닌 과정으로서 펼쳐 보인다.
2019. 12. 21 ~ 2020. 2. 15
송은아트스페이스
송은미술재단은 송은미술대상 최종 후보로 선정한 네 명 작가 곽이브, 권혜원, 이은실, 차지량의 작업을 펼쳐보인다.
2020. 1. 14 ~ 4. 19
대구미술관
대구미술관은 그간 Y, Y+ 아티스트 프로젝트에 선정된 젊은 작가와 중견 작가 12명을 불러 모았다. 참여작가는 각자의 작업을 통해 시대와 사회 현상을 은유적으로 드러낸다.
2020. 1. 9 ~ 2. 22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아라리오갤러리는 급변하는 중국의 현대 사회 모습을 일상적인 이야기를 통해 스펙타클하게 풀어내는 작가 천위쥔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2019. 11. 27 ~ 2020. 3. 8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전시는 오늘날 자본주의 체제에서 강박이 작동하는 방식과 해방의 가능성을 예술 작품을 통해 탐구한다.
2019. 9. 11 ~ 2020. 2 .2
부산현대미술관
전시는 동시대 예술가들의 역사 기술 방법을 통해 우리 시대의 역사 인식 태도와 그 다층적인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2020. 1. 15 ~ 2. 20
PKM갤러리
사진작가 이정진이 2년 만에 개인전을 펼친다. 인적 없는 사막과 산에서 마주한 영적 풍경들을 카메라 렌즈로 포착해 관람자에게 깊은 울림을 주는 최근 작업 시리즈를 선보인다.
2020. 1. 4 ~ 1. 31
플레이스막 연희
이은경은 템페라 기법을 통해 질료를 작업 대상으로 부각시킨다. 색을 만들어내는 채색 안료와 미디엄에 주목하는 그의 그림은 회화를 구성하는 가장 근원적인 입자로 돌아가 회화의 근원을 탐구한다.
2020. 1. 4 ~ 1. 30
레인보우큐브
전시는 가상과 현실 세계 구분이 모호해진 오늘날 우리가 마주한 현실에서 점차 새로운 미래 감각을 구축하는 픽션 전개 방식으로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에 주목한다.
2019. 12. 24 ~ 2020. 1. 16
학고재 디자인 프로젝트 스페이스
‘학고재 디자인 프로젝트 스페이스’는 청년 작가를 지원하는 다회성 프로젝트다. 기하학 색면과 정제된 붓질로 화면을 조형하는 박현정의 개인전을 지원, 차별화된 작가 주도적 전시를 마련했다.
2019. 12. 24 ~ 2020. 3. 1
국립민속박물관
2020년은 흰 쥐띠의 해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쥐의 해를 맞아 쥐에 관한 생태와 상징, 문화상을 조명하는 자리를 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