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포킹룸 2022 〈합성계의 카나리아〉

2022. 6. 23. - 26.

탈영역우정국

시뮬라크르의 허점을 탐색해보자!

[INTERVIEW] 나의 미치광이웃

2022. 6. 23. - 9. 28.

스페이스K

이장욱 수석 큐레이터와 함께 한 스페이스K의 모든 것!

〈프리즈 서울〉 주제 발표

2022. 9. 2. - 5.

서울 코엑스

110여 개 참여 갤러리 목록 등도 함께 밝혀

한국현대미술작가조명 IV-이형구

2022. 3. 29. - 8. 7.

부산시립미술관

샅샅이 꺼낸 이형구의 작업세계

데이터와 사회를 연결하는 예술경험 만들기

아르코미술관

2022 아르코미술관 전문인교육을 마치며

[INTERVIEW] 아르노 피셔_동베를린의 사진가

2022. 6. 23. - 8. 21.

성곡미술관

가장 유명한 무명 사진가에 대해

New Blood

2022. 7. 19. - 8. 12.

PNC GALLERY

젊은 미술가의 목소리

양평으로 온 한국미술사

2022. 7. 22. - 8. 28.

양평군립미술관

시대의 정신이자 유산, 한국미술사

방탄소년단과 떠나는 아트 투어

2022. 7. 9.

BTS x Street Galleries

뉴욕부터 서울까지

[INTERVIEW] 파사주 : 인공낙원

2022. 6. 20. - 7. 17.

서정아트 본관

서정아트 이윤정 큐레이터가 직접 전하는 인공낙원으로

희망의 정원과 정원

2022. 6. 16. - 2022. 8. 7.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덕수궁 정원

장-미셸 오토니엘이 보내는 꿈의 시詩

Gustav Klimt, Gold in Motion

2022. 5. 27. - 2023. 3. 5.

빛의 시어터

워커힐 호텔에서 만나는 황금빛 향연

3, 2, 1, Launch

2022. 6. 25. - 8. 20..

타데우스 로팍 서울

초차원적 가공 공장, 로켓 팩토리로부터

귀를 위한 조각에 BTS 한 스푼

2022. 6. 22. - 9. 11.

하이브 인사이트

톰 삭스: 붐 박스 회고전

무한한 우주, 저 너머로

2022. 6. 22. - 8. 7.

아트선재센터 1, 2전시실 및 아트홀

톰 삭스가 초대하는 합판공간으로

유토피아로 가는 길은 네 손에 달렸어

2022. 06. 8. - 07. 31.

바라캇 서울

베알렉스 베르하스트 〈이루지 못한 미래의 아카이브〉

새로운 사각지대 안쪽에서

2022. 06. 15. - 07. 30.

PKM & PKM+

새로운 관점을 열어줄 불확실성의 상태로의 초대

[INTERVIEW] 서로의 어깨를 TAP, TAP, TAP

2022. 6. 2.

합정지구, 별관, 얼터사이드

함께할 수밖에 없는 미술

대지위에 드러나는 유영국의 세계

2022. 6. 9. - 8. 21.

국제갤러리 K1, K2, K3

유영국 20주기 기념전 《Colors of Yoo Youngkuk》

제2회 중앙 미디어아트 공모전

2022.06.13. - 07.22

무역센터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 활성화를 위한 제2회 중앙 미디어아트 공모전을 개최한다.

공작인 : 현대 조각과 공예 사이

2019. 9. 5 ~ 2020. 2. 23

ACC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창조원

전시는 수공예(craft) 기술을 바탕으로 구현되는 조각(sculpture)을 통해 1990년대 이후 현대 조각을 새롭게 조망한다.

몸짓을 따라가며, 주변을 배회하고, 중심에 다가서려는

2020. 1. 10 ~ 2. 8

학고재 청담

서울문화재단 유망예술지원사업 “99℃ 쇼케이스전”에 선정된 3명 작가 신민, 전명은, 한성우은 이번 전시에서 각자의 작업을 완성이 아닌 과정으로서 펼쳐 보인다.

제19회 송은미술대상전

2019. 12. 21 ~ 2020. 2. 15

송은아트스페이스

송은미술재단은 송은미술대상 최종 후보로 선정한 네 명 작가 곽이브, 권혜원, 이은실, 차지량의 작업을 펼쳐보인다.

당신 속의 마법

2020. 1. 14 ~ 4. 19

대구미술관

대구미술관은 그간 Y, Y+ 아티스트 프로젝트에 선정된 젊은 작가와 중견 작가 12명을 불러 모았다. 참여작가는 각자의 작업을 통해 시대와 사회 현상을 은유적으로 드러낸다.

우리, 저마다의 이야기

2020. 1. 9 ~ 2. 22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아라리오갤러리는 급변하는 중국의 현대 사회 모습을 일상적인 이야기를 통해 스펙타클하게 풀어내는 작가 천위쥔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강박²

2019. 11. 27 ~ 2020. 3. 8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전시는 오늘날 자본주의 체제에서 강박이 작동하는 방식과 해방의 가능성을 예술 작품을 통해 탐구한다.

시간 밖의 기록자들

2019. 9. 11 ~ 2020. 2 .2

부산현대미술관

전시는 동시대 예술가들의 역사 기술 방법을 통해 우리 시대의 역사 인식 태도와 그 다층적인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이정진 개인전

2020. 1. 15 ~ 2. 20

PKM갤러리

사진작가 이정진이 2년 만에 개인전을 펼친다. 인적 없는 사막과 산에서 마주한 영적 풍경들을 카메라 렌즈로 포착해 관람자에게 깊은 울림을 주는 최근 작업 시리즈를 선보인다.

눈 깜짝할 새

2020. 1. 8 ~ 2. 25

일우스페이스

전시에 참여하는 젊은 작가 5인은 순간과 그 주변 상황이 기억으로 만들어지는 찰나를 포착해 작품으로 펼친다.

이은경: Placeholder 자리표시자

2020. 1. 4 ~ 1. 31

플레이스막 연희

이은경은 템페라 기법을 통해 질료를 작업 대상으로 부각시킨다. 색을 만들어내는 채색 안료와 미디엄에 주목하는 그의 그림은 회화를 구성하는 가장 근원적인 입자로 돌아가 회화의 근원을 탐구한다.

프루프록의 평행우주

2020. 1. 4 ~ 1. 30

레인보우큐브

전시는 가상과 현실 세계 구분이 모호해진 오늘날 우리가 마주한 현실에서 점차 새로운 미래 감각을 구축하는 픽션 전개 방식으로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에 주목한다.

박현정: 슬라임 플러시

2019. 12. 24 ~ 2020. 1. 16

학고재 디자인 프로젝트 스페이스

‘학고재 디자인 프로젝트 스페이스’는 청년 작가를 지원하는 다회성 프로젝트다. 기하학 색면과 정제된 붓질로 화면을 조형하는 박현정의 개인전을 지원, 차별화된 작가 주도적 전시를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