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하루 그만보기
2021.09.18 - 2021.11.07
에브리데이몬데이
개성 강한 그림체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레이몬드 렘스트라 작가와 장콸 작가의 ‘Couple Look’ 전시를 9월 18일부터 11월 7일까지 에브리데이몬데이에서 만나볼 수 있다.
2021. 8. 14.
정준모 연구실
《월간미술》은 이건희 컬렉션과 이건희 기증관을 주제로 정준모 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과 도재기 경향신문 논설위원의 대담을 통해 이건희 컬렉션이 국립 미술기관의 학문적, 예술적 맥락에 큰 줄기를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과 이건희 기증관 설립에 관한 논의들을 짚어본다.
⟪월간미술⟫ 9월호
《월간미술》은 이건희 컬렉션에 얽힌 실타래들을 풀어보고자 한국 미술계의 기증문화, 컬렉션, 기관의 소장품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증받은 이건희 컬렉션의 주요 작품들을 선보이는 특별전을 기관별로 소개하는 글을 싣는다.
2021.08.25 - 2021.09.29
갤러리위
자연의 공간에 설치된 문, 그로부터의 빛. 자연과 인공의 조화를 통해 무한의 세계를 여는 '오경성 초대전 : 풍경의 문을 열다《OPEN THE DOOR in the Landscape》'가 용인시 수지구에 위치한 갤러리위에서 개최한다
2021.08.06 - 08.31, 2021.09.06 - 10.01
ART SIGNAL
예술로 시그널을 주고 받는 아트시그널! 직접 만날 수 없어 소통이 줄어든 요즘, 창작자의 작품을 시민에게 직접 전달하는 프로젝트 '아트시그널'을 소개합니다. 아트시그널은 예술가에게 작품을 기부받아 시민들에게 전달하는 프로젝트입니다.
2021.07.06 - 2021.09.26
대전시립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관장 선승혜)은 7월 6일부터 9월 26일까지 세계유명미술특별전 «트라우마 : 퓰리처상 사진전 & 15분»을 개최하여 ‘트라우마(Trauma)’라는 큰 주제 아래 «퓰리처상 사진전»과 «15분»이라는 두 개의 전시로 구성된다.
2021.07.31 - 2021.08.22
스페이스 자모
스페이스 자모는 7월 31일부터 8월 22일까지 미술계의 ‘라이징 아티스트’로 부상하고 있는 박정기 작가의 개인전 『창작의 열쇠-검독수리(Key to Creation - Golden Eagle)』를 개최한다.
2021.06.24 - 2021.09.17
스페이스K
스페이스K 서울은 영국 개념미술 작가 ‘라이언 갠더’ 개인전 개최하여 <변화율>이란 제목으로 ‘시간성’에 주목한 신작 포함 28점을 선보이며 일상적 사물로 예기치 못한 스토리텔링을 선사한다.
형상과 내재율, 그리고 물성과 그 주변
김노암
작가의 캔버스는 회화로 시작하여 조각적 요소가 결합한 다양한 층위의 중첩이라는 세계관을 드러내는 일종의 고고학적 발굴 현장으로 탈바꿈한다. 김태호가 작업이라는, 수행의 다른 말을 통해 드러내고자 한 독자적 ‘물성’의 내용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2021.07.19 - 2021.08.03
문화체육관광부와 (재)예술경영지원센터는 작가의 시장진출 기회 확대 및 국민의 미술문화 향유를 위해 공모를 진행한다. 관심 있는 민간단체의 많은 참여 바란다.
첫 번째 이야기
웹툰 작가 쥬드 프라이데이
길을 걸으며 마주하는 모든 풍경은 사람에게 영향을 끼친다. 푸름 여름의 빛은 사람을 담고, 사람은 이야기를 만든다. 다채로운 풍경 속, 작가는 어떤 장면을 만들어 나갈까? 작가의 시선에서 그의 일상을 들여다보고 작품이 제작되기까지 숨겨진 이야기들을 나눠본다.
2021.06.17 - 2021.09.25
인사동 마루아트센터
"어린왕자 인사이드 展"은 일상에서 벗어나 색다른 경험을 즐기고자 여행을 꿈꿔왔던 분들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특별한 자극이 가득한 컨텐츠들로 전시를 구성했다. 영상미디어, 인터랙티브 아트, 페인팅, 조각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동시대 예술이라는 장르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021.07.12 - 2021.08.15
무역센터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 활성화를 위하여 제1회 중앙 미디어아트 공모전이 7월 12일부터 8월 15일까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행복/서울의 판타지를 주제로 진행된다.
2021.06.26 - 2021.08.22
에브리데이몬데이
건강하고 유쾌한, 그러면서도 단단하고 견고한 관계는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 일까요.- 김 대현(무나씨)의 이 질문을 시작으로 6월의 끝자락, 에브리데이몬데이에서 전시가 시작된다.
2021.5.27 - 8.27
삼성서울병원 행복의벽
삼성서울병원과 함께하는 <행복의벽> 프로젝트, 그 13번째 전시. 김소라 작가의 수채화 작품으로 만드는 여름의 푸른 풍경과 잔잔한 아름다움을 소개한다.
2020. 9. 9 ~ 2020. 3. 8
국립한글박물관
동시대 디자인·예술 현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작가가 모여 한글에 내재한 고유의 질서, 규칙, 기하학적 형태를 재해석해 실험적인 작품들을 선보인다.
2020. 2. 18 ~ 3. 14
아트 스페이스 보안2
작가는 자신의 이동 궤적에서 풍경을 관찰하고 캔버스로 옮기는 과정을 반복한다. 캔버스 위 물감은 마치 물수제비에서 동심원이 다른 동심원과 만나 또 다른 물결로 섞이듯이 서로 뒤섞인다.
2020. 2. 13 ~ 3. 22
공근혜갤러리
핀란드 현대 사진 예술을 대표하는 사진 작가 펜티 사말라티(Pentti Sammallahti)의 두 번째 한국 개인전이 열린다.
2020. 1. 30 ~ 2. 29
갤러리바톤
평생에 걸쳐 구도적 자세로 미의 영역을 고민하며 작업 활동으로 치열하고 묵묵히 외연을 넓혀온 원로작가 3인 박석원, 박장년, 송번수의 화업을 조명한다.
2019. 11. 23 ~ 2020. 2. 23
ACC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창조원
전시에 참여하는 큐레이터와 작가들은 직접 말하지 않고 ‘가까이에서 말하는’ 방식으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이주 서사에 관한 관점을 다층적으로 펼친다.
2019. 9. 5 ~ 2020. 2. 23
ACC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창조원
전시는 수공예(craft) 기술을 바탕으로 구현되는 조각(sculpture)을 통해 1990년대 이후 현대 조각을 새롭게 조망한다.
2020. 1. 10 ~ 2. 8
학고재 청담
서울문화재단 유망예술지원사업 “99℃ 쇼케이스전”에 선정된 3명 작가 신민, 전명은, 한성우은 이번 전시에서 각자의 작업을 완성이 아닌 과정으로서 펼쳐 보인다.
2019. 12. 21 ~ 2020. 2. 15
송은아트스페이스
송은미술재단은 송은미술대상 최종 후보로 선정한 네 명 작가 곽이브, 권혜원, 이은실, 차지량의 작업을 펼쳐보인다.
2020. 1. 14 ~ 4. 19
대구미술관
대구미술관은 그간 Y, Y+ 아티스트 프로젝트에 선정된 젊은 작가와 중견 작가 12명을 불러 모았다. 참여작가는 각자의 작업을 통해 시대와 사회 현상을 은유적으로 드러낸다.
2020. 1. 9 ~ 2. 22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아라리오갤러리는 급변하는 중국의 현대 사회 모습을 일상적인 이야기를 통해 스펙타클하게 풀어내는 작가 천위쥔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2019. 11. 27 ~ 2020. 3. 8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전시는 오늘날 자본주의 체제에서 강박이 작동하는 방식과 해방의 가능성을 예술 작품을 통해 탐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