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안진선 울렁거리고 움직이고 멈춘

2023. 2.7~19

무음산방

떨고 있는 도시의 표본을 볼 때

BRING TO LIGHT-새롭게 그리고 드러내기

2023. 1.11~2.26

프람프트 프로젝트

감추어져 있던 것들을 빛으로 이끌어 세상에 드러내다

배종헌 개인전: 고립여행 孤立旅行

2023. 1.6~2.12

대안공간 루프

“Ask the deer for my way.”

조선, 병풍의 나라 2

2023. 1.26~4.30

아모레퍼시픽미술관

5년 만에 선보이는 두 번째 병풍 전시

2025 하와이 트리엔날레 큐레이터 3인 선정

2023. 01. 23

하와이 트리엔날레

최빛나 네덜란드 카스코 아트 인스티튜트 디렉터

2023바다미술제 전시감독 선임

2023. 02. 02

부산광역시, (사)부산비엔날레조직위원회

이리니 파파디미트리우 전시감독

더 넓은 예술의 교차 지점을 향하여

INTERVIEW

홍콩 뉴월드그룹 CEO & K11 그룹 창립자

애이드리언 쳉

EXHIBITION FEATURE

2022.11.18~1.21, 2022.12.3~31

아르코미술관, 코리아나미술관 스페이스 씨

다양한 시도들

‘한국화’를 절뚝이게 만든 것은 무엇이었나

1970년 중반에서 1980년대 초반 『계간미술』

月刊美術 RE-READ

2023 청년·원로예술지원 신규사업

2023.1.2

서울문화재단

신규사업 성황리 진행 중

단순하고 용감하게: 1인 출판사 이야기

일본 1인 출판사가 일하는 방식』  · 유유 · 2013

니시야마 마사코 지음 김연한 옮김

현대판 유물 제작기행

UP-AND-COMING ARTIST

이진영 Lee Jinyoung

YOON HYANGRO

Artist Review

데이터에서 파티클까지

한국의 전위예술(Avant-Garde)과 구타이

Art Forum

예술은 끝없는 실험의 연속이다.

김달진

2023.1.9

한국박물관협회

2023년 발전유공 정부포상 대통령상

《한국사진사 인사이드 아웃, 1929~1982》

2022.12.21~4.16

뮤지엄한미 삼청

뮤지엄한미 삼청의 새 출발

The Other Face of Material

2023.2.1-2023.3.8

서정아트센터

경계와 이면을 탐색하는 4명의 작가

키키 스미스 《자유낙하》

2022.12.15~3.12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작가의 첫 아시아 미술관 개인전

권자연: 두 개의 장소와 드로잉-인덱스

2022.12.21~1.18

A.P.23

작업 흐름을 ‘인덱스’라는 키워드로 재맥락화했다

2023 글렌피딕 아티스트 인 레지던스

2023.1.25-2023.3.10

위스키의 고향에서 작품활동을 지원합니다.

[月刊美術 RE-READ] 사막이 만든 세계

《월간미술》 12월호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중앙아시아 미술품이 모두 ‘오타니 컬렉션’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을 주지시키며, 이 컬렉션을 통해 중앙아시아 미술의 성격을 살펴본다.

보호수, 와: 남해 보호수 프로젝트 2021

2021.7.17 - 12.31

남해 돌창고, 앵강다숲, 두모마을 느티나무, 남해각

남해 보호수 프로젝트 외에도 남해 전승 민요를 발굴, 편곡하여 음원과 공연으로 제작하는 ‘남해 소리’와 ‘남해각’, ‘돌창고’ 등의 유휴공간 프로젝트가 남해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각종 개발 및 지역 관련 이슈가 난무하는 이 시점에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EDITOR'S PICS] 11월의 에디터스 픽

《월간미술》 11월호

본지 에디터가 뽑은 전시들을 소개합니다.

홈, 커밍 Homecoming

2021.10.8 - 12.5

재단법인 아름지기 통의동사옥, 안국동한옥

전통 문화유산의 가치를 알리고 낙후된 한옥을 재생하는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 온 비영리 문화단체 아름지기가 올해 설립 20주년을 맞았다. 아름지기는 이를 기념하여 서촌 통의동 사옥과 북촌 안국동 사옥에서 특별전 〈홈, 커밍〉을 열었다.

[月刊美術 RE-READ] 그때의 미술관과 지금의 미술관

《월간미술》 11월호

전 리움 수석부관장 홍라영은 《월간미술》 2004년 11월호에 리움이 “21세기형 미술관”으로서 국내외 미술신에 큰 영향을 주는 장으로 역할하기를 바란다는 논지의 말을 남겼고, 개관 후 10년간 미술관은 그 역할을 해냈다. 10월 5일 호암과 리움이 재개관 소식을 전해왔다. 기자는 이에 맞추어 《월간미술》에 남아 있는, 당시 미술 언론이 각 미술관에 보낸 찬성과 반대, 그리고 기대를 다시 읽어봤다.

2021 DMZ Art & Peace Platform

2021.9.15 - 11.15

파주 Uni마루 등

민간인 출입이 통제된 곳이자 남북한의 정치적  ·  사상적 대립의 완충 지대인 DMZ는 그 특수성 때문에 더욱 풍부한 상상의 여지와 회복의 희망을 불러일으키는 곳이기도 하다. 통일부 남북출입사무소(소장 김기혁)가 개관한 ‘Uni마루’는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임시출경사무소로 쓰였으며, 민현준 건축가의 손을 거쳐 DMZ 내 첫 복합 문화예술 공간으로 탈바꿈됐다.

온라인 전시, 도란展 / 오프라인 전시, 오늘展

2021.11.15 - 2021.11.20

캐나다 최초의 장애예술단체 NaAC와 한국의 문화예술 특화 장애인복지관 강남장애인복지관은서로의 시간과 이야기를 공유하기 위해 우리는 프로젝트 도란도란 프로그램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오늘展에서 프로젝트 참여 아티스트들의 워크숍 참여 결과물을 비롯한 다양한 작품들을 오프라인으로도 만나실수 있습니다.

기억의 바다로: 도미야마 다에코의 세계

2021.3.12 - 8.31

기억의 바다로: 도미야마 다에코의 세계

도미야마 다에코는 지난 8월 18일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영면했다. 향년 99세. 80여 년의 작가 인생에서 도미야마는 화가로서의 활동뿐만 아니라 많은 저작을 남기고 일본은 물론, 남미, 유럽, 그리고 아시아를 돌아다니며 활동한 트랜스내셔널한 운동가이기도 했다. 특히 한국은 도미야마가 “제2의 고향”이라고 할 정도로 깊은 인연이 있는 나라다.

먼사람, 사람, 가까운 사람

2021.8.7 - 1.19

먼 사람, 사람, 가까운 사람

우리의 존재는 매번 잘못 호명된다. 우리의 이름도, 직업도, 외모조차도 나를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호가 될 수 없다. 세상에 완벽한 이해라는 것이 존재할까? 사르트르의 말대로 타인은 지옥이건만, 인간은 자신의 실존을 인정받기 위해 타인을 필요로 한다.

지전 김종순의 Color Exhibition

2021.10.27 - 2021.11.02

그림손갤러리

지전 김종순의 2021년 개인전 Color Exhibition 이 그림손갤러리에서 10월 27일 개최하여 11월 2일까지 진행된다. 어둡고 갑갑한 시대에 이 전시가 이루어져 슬픔을 회고하는 동시에 색의 기운으로 생동을 찾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月刊美術 RE-READ] 에밀레미술관과 조자용

⟪월간미술⟫ 9월호

《월간미술》은 이건희 컬렉션에 얽힌 실타래들을 풀어보고자 한국 미술계의 기증문화, 컬렉션, 기관의 소장품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증받은 이건희 컬렉션의 주요 작품들을 선보이는 특별전을 기관별로 소개하는 글을 싣는다.

2021 ICM 국제무예사진 공모전

2021.09.10 - 2021.10.22

무예와 사진을 접목한 문화 활동 증진 및 수상작 전시회 개최로 무예의 가치를 전파하고자 2021 유네스코 국제무예센터 국제무예사진공모전을 개최합니다. 무예와 사진에 관심이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