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가마쿠라시대 미술

가마쿠라시대 미술 鎌倉時代美術

12세기말의 가마쿠라바쿠후鎌倉幕府 성립에서 비롯해 1333년까지의 1세기반 동안의 미술을 일컬음.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賴朝에 의해 가마쿠라 무사들에 의한 신정권이 수립됨으로써 그에 따라 후지와라藤原시대와는 대조적으로 남성적 문화가 싹텄다. 또한 불교계에서도 전통적인 구불교에 대해 정토종淨土宗, 선종禪宗, 법화종法華宗 등의 신흥 종파가 여럿 발흥하여 각각 활발한 종교 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문화적 바탕 위에 대체적으로 사실적이고 이지적이며 중후한 양감의 미술적 특징이 발현되었으며 다시 중국의 영향이 강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즉 중국에 건너간 승려나 일본에 온 송宋의 미술 영향이 각 분야에 걸쳐 뚜렷하게 나타나고, 이 시대의 미술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건축:평중형平重衡의 전란에 의해 불탄 여러 큰 절의 복원사업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동대사東大寺는 중국 남부의 건축양식을 따온 대불양식(大佛樣式), 또는 천축양식(天竺樣式)에 의해 복원되었다. 대불양식의 특징은 기둥이나 대들보의 주요부에는 큰 재료를 쓰나 그 밖의 부재는 일정한 규격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대량적인 건축에 적합한 것이다. 이 밖에 선종가람(禪宗伽藍)에 많이 쓰인 당양식(唐樣式), 종래의 건축양식을 답습한 화양식(和樣式), 절충양식인 화양신파(和樣新派)도 있다.
조각:운케이運慶, 가이케이快慶 등의 거장들이 솜씨를 발휘하였다. 이들은 당시에 나라奈良에 살면서 비교적 자유로운 입장에 있었는데, 새로운 시대사상을 받아들여 특색있는 양식을 창출하였다. 운케이는 엔조지円成寺의 <대일여래상>, 흥복사興福寺의 <무착無著> 등의 명작을 제작하여 사실주의*에 의거한 운케이양식을 확립하였다. 동대사의 <승형팔번상僧形八幡像> 등을 제작한 가이케이는 사실(寫實)과 형식미를 조화시켜 섬세하고 부드러운 양식을 만들어 냈다.
회화:이 시대 불화*의 특징은 송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정토신앙의 유행이 반영되었다. 또한 사실적인 초상화*의 발달이 이루어졌고, 전대에 이어 에마키*繪卷物도 다채롭게 전개되었다. 장병화*障屛畵는 명소나 사계를 그렸는데, 송대(宋代) 수묵화*의 영향에 따라 수묵장병화도 나타났다.
공예:칠공예는 마연시회磨硏蒔繪 이외에 평시회平蒔繪, 고시회高蒔繪가 행해졌다. 금공예는 고부조의 수법을 구사하거나 깊게 판 입체적인 의장이 유행하였고, 도자는 송대 도자기를 흉내내어 뢰호瀨戶지역에서 만든 고뢰호古瀨戶가 있다.

가상현실

가상현실 假想現實 virtual reality(영)

의미의 실체는 지니지 않으나, 현실 세계와 똑같은 지각과 감각을 부여하는 사물의 양태와 정보의 체험.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의한 합성정보를 직접 제시하고 인간 주위에 인공적인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시계(視界)를 컴퓨터 영상으로 덮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체험자 신체의 움직임과 위치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손장갑 장치인 ‘데이터 글로브(Data Glove)’나 신체 전체의 움직임을 바로 전달하는 ‘데이터 셔츠(Data Shirts)’ 등이다. 이처럼 특수한 정보 입출력 기기와 컴퓨터와의 상호관계를 통해 만들어지는 가상현실은 체험자의 시각, 청각, 촉각에 인공적인 자극을 가해 실제 현실과는 다른 시공간을 경험케 하는 리얼타임 컴퓨터 그래픽의 체험과 그 시스템 전체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21세기에 촉망받는 새로운 기술 중의 하나인 가상현실은 시뮬레이션*과 교육훈련 도구, 오락적 응용, 새로운 대화 형태의 예술매체로서의 전망이 기대되고 있다.

가야 미술

가야 미술 伽倻美術

가야 제국은 낙동강 중하류 유역에서 오가야五伽倻, 육가야六伽倻, 가야칠국伽倻七國, 포상팔국浦上八國 등의 연맹체형태였다. 김해의 금관가야와 고령의 대가야가 전, 후기의 가야연맹체의 맹주가 되었으나 거대 왕국으로 발전하진 못하였다. 가야는 문화적으로 신라 문화권에 속하고 있었으나 낙동강 서안이라는 지역적인 특색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지리 관계상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접촉이 많았다. 가야는 530년대까지는 모두 신라의 세력하에 들어갔으며, 562년 대가야를 마지막으로 완전히 신라화되었다.
고분:가야를 대표하는 무덤으로는 전기에는 널무덤과 덧널무덤이 있고 후기에는 돌덧널무덤이 있으며 여기서 각종의 토기와 철기 및 장신구류가 출토되었다. 발견된 층위상의 선후관계와 부장유물의 형식학적 고찰을 통하여 볼 때, 널무덤에서 덧널무덤으로 다시 돌덧널무덤에서 돌방무덤으로 변화하였다고 추정된다.
공예:가야 고분에는 각종의 토기를 비롯해 관*, 장신구, 무기, 일상공구, 갑옷류, 말갖춤 등이 출토되고 있다. 관은 대개 금동으로 만들었으며 관테 위에 초화형 또는 나뭇가지형의 장식이 있다. 관장식으로는 금, 은으로 만든 새날개형, 방패형, 나비형 등이 있다. 장신구로는 유리나 옥으로 만든 목걸이와 금 또는 금동으로 된 귀고리, 팔찌, 반지 등이 있다. 무기는 신라의 것과 형태가 비슷한 칼, 창, 화살촉 등이 있다. 일상 공구인 도끼, 손칼, 낫 등이 시신의 몸통 부근에서 출토되었다. 갑옷과 투구, 정강이가리개, 어깨가리개, 목가리개가 있다. 가야토기에는 회청색 경질토기와 적갈색 연질토기가 있다. 회청색 경질토기에는 신라와 구별되는 이단일렬배치(二段一列配置)로 구멍이 뚫린 다리를 가진 고배와 장경호, 단경호 등의 항아리 종류와 통형(筒形), 발형(鉢形)의 기대(器臺), 발(鉢), 접시 이외에 이형토기(異形土器)도 있다. 이형토기에는 기마인물형 토기, 뿔잔, 배모양토기, 집모양토기 등이 있다

각배

각배 角杯 rhyton(영)

동물, 특히 소, 물소, 코뿔소, 야생의 양뿔 등을 그대로 이용한 물이나 술을 따르는 용기(容器). 또는 그러한 형상을 본뜬 토기*나 금속기로 만든 잔을 가리킨다. 잔의 밑부분은 대개 사람이나 동물의 머리 모양을 띠고 있다. 각배는 그리스, 로마, 서아시아, 중앙 아시아 등지에서 사용되었다. 특히 서아시아에서는 기원전 10세기 이래 동물의 몸통 부분을 앞 단에 장식한 각배가 유행하였으며, 고대 페르시아 제국 시대에는 각배를 금은기로 제작하여 전성기를 누렸다.

각인

각인 刻印

→ 전각

각조

각조 刻彫 carving(영)

목조나 석조같이 재료를 쪼아내어 조각하는 것. 모델링*의 기법과 대조된다.

각주

각주 角柱 pier(영)

석조 건축의 버팀대. 보통 정사각형이지만 구획에 따라 복합적인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각주는 일반적으로 문이나 창문 등의 틈에 세워져서 건물 버팀부의 필수 부분을 구성한다. 또한 벽기둥이나 반(半)기둥 위에 장식적으로 세울 수도 있다. 각주 중에서 ‘군생 각주(fasciculate pier)’는 수많은 소기둥들이 붙어 이루어진 각주이며, ‘각 각주(angle pier)’는 직사각형 건물의 모서리에 사용되는 ‘ㄴ’자형의 각주를 뜻한다.

간가결구

간가결구 間架結構

서예에서 개개의 자획 간의 연결, 배합, 조합 형태와 여백의 배치를 포괄하는 말. 결체법이라고도 함. 예를 들어 ‘宇’자를 쓸 때는 부수 집면자(宀)가 그 아래를 덮듯이 쓰고, ‘直’자를 쓸 때는 긋는 획(乚)이 위의 전체를 싣고 있는 것처럼 쓰는 것을 말한다.
중국에는 당대(唐代) 구양순歐陽詢의 36법, 원대(元代) 조맹부趙孟頫(자오 멍후, 1254~1322)의 72법, 명대(明代) 이순李淳(리 슌)이 쓴 84법 등 그 실례를 보이는 저술이 있다.

간다라 미술

간다라 미술 Gandhāra Art(영)

파키스탄 북부인 지금의 페샤와르Peshāwar 지방을 중심으로 한 서북 인도에서 1~5세기에 번성한 미술을 말한다. 페샤와르, 스와트Swāt, 탁실라Taxila 및 아프가니스탄의 일부까지 포함되는 간다라 지역의 미술은 서방 문화, 특히 로마*와 파르티아 미술*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렇지만 그 이전 박트리아에 있던 헬레니즘 미술*이 간다라 미술 등장의 배경이 되었다. 불교 미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간다라 미술은 중앙아시아와 중국에 영향을 미쳤다.
페샤와르 분지에서는 1세기 말경 쿠샨왕조* 군주들의 후원으로 불교 조각*이 처음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는 유물이 없으므로 간다라 조각을 편년(編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명문*을 근거로 추정한 가장 이른 시기의 상들은 2~3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청흑색의 편암(schist)이나 녹색조의 천매암(phyllite)을 조각한 석상(石像)은 불, 보살상과 불전도*를 나타낸 것이 대부분이다. 불전도는 물론이고 불, 보살상 또한 뒷면은 평평한 부조*상이다. 조각상의 얼굴 모습이나 옷주름 표현은 로마적인 전통과 연관되는 요소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조각 전통은 서방 조각가들의 유입이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간다라 조각에서는 석조 이외에 석회에 모래를 반죽하여 만든 스투코*도 1세기부터 사용되었는데 약 3세기부터는 스투파*나 비하라*를 장식하는 주된 재료가 되어 돌을 대신하게 되었다. 스투코 조각으로는 아프가니스탄의 하다Hadda, 탁실라, 사리-바롤Sahri-Bahlol, 탁트-이-바히Takht-i-Bāhi 등지에서 출토된 것들이 대표적이다. 탁트-이-바히는 대, 소형의 스투파들이 모셔져 있고 봉헌물들을 봉헌했던 감(龕)들과 승원 및 강당이 남아 있는 사원지이다. 건물들은 간다라의 다른 유적들처럼 다양한 크기의 돌을 마름모꼴로 쌓아 축조한 것이다.
간다라 건축은 돌을 쌓는 방식에 따른 편년이 가능하다. 쿠샨 이전의 건물은 크고 작은 잡석들로 축조되었고 그 다음 시기는 탁트-이-바히처럼 마름모꼴로 쌓은 큰 돌들 사이에 작은 돌들을 채우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3세기 이후에는 잘 다듬어진 돌들과 작은 잡석들이 번갈아 층을 이루는 방식으로 축조되었다.
간다라의 스투파는 산치*나 바르후트*의 형식을 점차 발전시킨 것이지만 세로로 길어진 높은 탑* 모양으로 바뀌었으며, 울타리가 아닌 스투파 겉면을 부조로 장식하였다. 페샤와르 근처의 샤지키-데리Shāh-jī-kī-Dherī에 있는 카니슈카 대탑이 유명하며 여기서 카니슈카왕Kaniska 1년에 봉헌되었다는 명문이 있는 사리기가 발견되었다. 불교적인 주제가 간다라 미술에서 압도적인 부분을 차지하지만 서아시아나 헬레니즘 미술에서 기원한 모티브*, 즉 아틀란티스, 꽃줄을 든 에로스, 트리톤 등을 이용한 미술품도 간다라 지역에서 제작되었다. 390년경에는 키다라 쿠샨Kidara Kusān이 서북 인도에 등장하여 5세기까지 이 지역을 통치했으나 간다라 지역의 불교는 6세기 초 백(白)훈족(Epthalites)의 침입으로 종말을 고했다.

→ ‘쿠샨 시대 미술’ 참조

간살

간살

한국 건축물에서 기둥이 벌려 선 거리 간격. 기둥과 기둥 사이를 하나의 단위로 삼아 그것을 간(間)이라 불러 정면, 측면 몇 칸이라 계산한다. 간의 위치에 따라 어칸, 협칸, 퇴칸이라 부르고 안팎의 구조에 따라 외진(外陣), 내진(內陣)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