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슈투름

슈투름 Der Strum(독)

1910년 발덴Herwarth Walden(1878~1941)에 의해 베를린에서 창간된 주간 간행물로 곧 전 유럽적으로 전위 작가들의 발판이 되었다. 원래는 문학비평에 중점을 두었으나 코코슈카Oskar Kokoschka(1886~1980)와 다리파* 작가들의 삽화와 목판화*를 실으면서 문예, 미술 종합잡지로 그 영역이 확장되었다. 1912년 3월 발덴은 동명의 화랑을 열어 입체주의*, 미래주의*, 다리파, 청기사파*, 황금분할* 등 당대 유럽 아방가르드*의 다양한 면모를 결집한 전시들을 개최하였다. 잡지와 화랑의 이러한 연계적 활동은 미술, 시, 연극, 음악 등의 분야에서 표현주의*의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데어 슈투름Der Strum》의 후원으로 발덴은 1913년 15개국의 미술가 90여명과 함께 당대의 독특한 회화적 이해를 보여주는 국제전 성격의 베를린 가을 살롱*전을 개최했다.
1914년 잡지는 월간으로 바뀌었고, 클레Paul Klee(1879~1940), 샤갈Marc Chagall(1887~1985), 글레즈Albert-Léon Gleize(1881~1953), 뒤샹-비용Raymond Duchamp-Villon(1876~1918), 마르크Franz Marc(1880~1916) 등의 전시가 계속되었다. 1916년 이들은 ‘슈투름슐레Strumschule’라는 미술학교를 세웠으며, 1917년에는 ‘슈투름뷔네Strumbühne’라는 실험극장도 설립하였다. 《데어 슈투름》지는 나치즘이 대두하여 1923년 폐간될 때까지 새로운 예술운동의 추진체로서 기여하였다.

슈파눙

슈파눙 Spannung(독)

원래는 긴장, 전압(電壓) 등의 의미를 갖는 말로, 조형미술에서는 점이나 선에 내재된 힘, 색채의 수축과 팽창 등 어떤 장면의 구성요소들의 상호관계로부터 발생하는 긴장감을 가리킨다.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1866~1944)가 즐겨 쓴 개념으로, 그에 따르면 회화의 내용을 구체화하는 것은 형태의 외형이 아니라 형태가 가지고 있는 살아있는 힘이며, 이 힘이 바로 슈파눙이다. 내적으로 조직된 슈파눙의 총계에 의해 작품 내용이 표현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순한 하나의 점은 구심적(求心的) 슈파눙을 가지고, 직선에는 2개의 슈파눙이 있으며, 곡선은 3개 이상의 슈파눙을 포함한다는 식이다. 색에 대해서도 진출성과 후퇴성, 수축성과 팽창성 등은 색의 슈파눙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슈파눙은 구성요소의 대감각적(對感覺的) 성질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슈파눙 관계에 중점을 두는 구성법은 아카데믹한 구도법과는 그 관점이 다르다. 회화뿐 아니라 모든 조형 작품에도 적용가능한 개념이긴 하지만, 오늘날에는 다소 시대에 뒤떨어진 개념으로 간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