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남북서파

남북서파 南北書派

중국에서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시대 이래로 남북의 서풍(書風)이 다르다하여 후대에 이론적으로 구분한 서예의 유파. 남송南宋의 조맹견趙孟堅(자오 멍진, 1199~?)이 중국 서예를 남북의 양대 유파로 분류한 이래 청대(淸代)의 완원阮元(완 위앤)에 의해 그 이론이 완성되었다. 그는 남조南朝와 북조北朝의 지리적 위치와 그 양식을 연관시켜 종요鍾繇(쭝 야오), 위관衛瓘(웨이 꾸완) 이래로 남조의 왕희지王羲之(우앙 후에이즈), 왕헌지王獻之(우앙 시앤즈) 등에서 지영智永(즈 융), 우세남虞世南(우 스난)에 이르기까지를 남파(南派)로, 종요, 위관 이래로 북조의 색정索靖(쑤어징), 최열崔悅(추 이예), 노담盧湛(루 간), 고준高遵(까오 준), 심복沈馥(천 푸), 요원표姚元摽(야 웬피아오), 조문연趙文淵(자오 원예), 정도호丁道護(딩 따오후) 등에서 구양순歐陽詢, 저수량褚遂良(주 쑤에리앙)에 이르기까지를 북파(北派)로 구분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록 남북조의 서예가 다양하지만 남북이라는 지리적 위치 때문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보고 이 설을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고 있다.

남송사가

남송사가 南宋四家

중국 남송南宋의 원체산수화가(院體山水畵家)인 이당李唐(리 탕)유송년劉宋年(리우 쏭니앤), 마원馬遠(마 위엔), 하규夏珪(시안 꾸에이)를 일컫는 말. 그들의 화풍은 간략하고 호방함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처음에는 이런 명칭이 없었으나, 원대(元代)의 탕후湯垕(탕 허우)가 남송 화원에서 명성을 얻은 사람들, 예컨대 이당주증周曾(저우 쩡), 마원, 하규, 이적李迪(리 띠), 이안충李安忠(리 안쫑), 누관樓觀(로우 꾸완), 양해梁楷(량 카이) 등에 대해, “나는 이당에 대해서만 약간의 감상을 덧붙일 수 있을 뿐, 그 나머지에 대해선 모두 구별할 수 없다”고 말한 데서 비롯됐다. 이후 명대(明代)의 당인唐寅(탕 인)이 유송년의 《춘산선은도春産仙隱圖》에 시제(詩題)를 붙이면서 ‘이, 유, 마, 하(李劉馬夏)’란 명칭을 썼다. 그 뒤에 도륭屠隆(투 롱)이 “이당, 유송년, 마원, 하규 네 사람이 남송의 사대가이다”라고 말한 것에서 유래한다.

남종화

남종화 南宗畵

중국 명말(明末)의 막시룡莫是龍(모 스롱), 동기창董其昌(똥 치츠앙, 1555~1636), 진계유陳繼儒(츠언 지로우)가 제시한 남북종론에서 나온 북종화*에 대립되는 개념의 산수화* 양식. 문인들이나 사대부가 주류를 이루는 문인화*와 혼용되어 남종문인화라고도 부르는데, 대개 남종화는 산수화를 의미하고 문인화는 산수화 외에 사군자, 화조화 등 좀더 넓은 범위를 가리킨다. 남종화의 계보는 당唐나라의 왕유王維(우앙 웨이, 699~759)를 시조로 하여 오대송초(五代宋初)의 동원董源(똥 위앤)과 거연巨然(쥐 르안)을 거쳐 미불米芾(미 후, 1051~1107), 미우인米友仁(미 이어우르언), 실질적 개조(開祖)인 황공망黃公望(후앙 꽁왕), 예찬倪瓚(니 짠), 왕몽王蒙(우앙 멍), 오진吳鎭(우 즈언) 그리고 명대(明代)의 심주沈周(선 저우, 1427~1509), 문징명文徵明(원 즈엉밍, 1470~1559)과 예림백세(藝林百世)의 스승으로 일컬어지는 동기창 등으로 이어진다.
화풍상의 특징은 수묵선염을 주로 하여 부드러운 느낌을 강조하였다. 준법*(皴法)도 비교적 부드럽고 우아한 피마준*(披麻皴), 미점*(米點) 등을 자주 사용하고 발묵*(渤墨)과 파묵*(破墨)을 애용하여 운치 있는 산수를 표현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조선 초부터 부분적으로 유입되다가 후기부터 크게 유행하여 조선화단에 큰 획을 그었다. 그러나 남북종론은 문인화와의 모호한 구분과 회화양식에 대한 편협적인 가치평가로 인해 현재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남진북최

남진북최 南陳北崔

중국 명말(明末)에 활약한 진홍수陳洪綬(츠언 홍서우, 1598~1652)와 최자충崔子忠(츠웨이 쯔총, ?~1644) 두 화가를 이른다. 진홍수는 남방의 절강성浙江省 출신이고 최자충은 북방의 산동성山東省 출신이어서 그 호적수를 나타내기 위해 ‘남진북최’라는 말이 생겼고, 《국조화징록國朝畵徵錄》에 그 용례가 보인다. 명말에 이르러 왕조의 부패가 구제할 수 없을 정도에 이르고 사회적 혼탁양상이 가속화하자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이며 골동취미적인 경향의 그림이 성행하였다. 진홍수와 최자충의 그림은 이러한 경향을 대변하는데, 두 사람 모두 인물화에 뛰어났다. 진홍수의 화풍은 기이하고 생졸하며, 과장되고 변형된 조형을 즐겨 사용하였다.
고개지顧愷之(꾸 카이즈, 344~406)에서 유래된 고대 인물화 양식을 풍자적으로 묘사하는 등 전통적 방식을 연구하였다. 명말의 혼란과 붕괴 상황 속에서 자신의 화풍을 전통에 의지한 것은 고도의 개인주의적인 자아탐구일 뿐만 아니라 명明 왕조나 문화에 대한 충성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인물 뿐만 아니라 화조도 잘 그렸다. 나아가 역사화와 풍속화*에 뛰어났는데 이공린李公麟(리 꽁린, 1040~1106)과 조맹부趙孟頫(자오 멍후, 1254~1322)의 화법(法)을 겸비하였고 설색(設色)은 오도현吳道玄(우 따오쉬앤)의 유법(遺法)을 얻었다.
최자충 역시 명말의 혼란스런 세상을 그림으로 표현한 화가였다. 그는 명말의 서화고동취미(書畵古董趣味)를 반영하는 인물화들을 많이 그렸다. 이는 명말청초(明末淸初)의 혼란기에 전통에 의탁하여 현실 상황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는 이상적 취향의 문인화풍을 대변하는 것이었다. 최자충의 화풍도 전통을 추구하여 당唐, 송宋 화풍을 따랐다. 따라서 묘사기법이 세밀하고 치밀하며 색채가 청려하였다.

남화

남화 南畵

일본에서 18세기와 19세기에 많은 화가들이 즐겨 그린 회화양식. 이 회화 양식은 17세기와 18세기에 중국 청淸에서 발달한 개성파 화풍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청의 회화 양식을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그들은 구도는 물론 붓놀림에서도 중국 문인화*의 요소들을 과장하여 새로운 양식으로 변형시켰으며 이들의 그림에는 유머감각이 돋보인다. 이케노 다이가池大雅, 요사 부손與謝蕪村, 우라가미 교쿠도浦上玉堂는 대표적 남화파 화가들이다. 이 새로운 중국 회화양식이 나가사키항을 통해 일본으로 들어온 것은 18세기 초 일본 지식인들이 외부 세계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을 때였다.
중국에서는 1679년에, 일본에서는 1748년에 출판된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은 남화의 화풍을 형성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 19세기에 접어들어 남화는 교토京都에서 주축을 이루는 화파로 성장하였으나 차츰 독창성을 잃고 구태의연해져 뚜렷한 양식이나 충실한 구도감각을 상실하면서 기교에만 치중하여 20세기에는 크게 퇴조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