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잔 醆

→ ‘이기’ 참조

잔산잉수

잔산잉수 殘山剩水

중국 남송南宋 화원(畵院)에서 활약하던 마원馬遠(마 위엔), 하규夏珪(시안 꾸에이) 등이 즐겨 사용한 산수화* 구도법. 북송北宋 패망 후 남송으로 이어지면서 새로 정착하게 된 강남지방의 한정된 자연 경관을 대상으로 했던 마하파*의 산수화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패잔망국(敗殘亡國)의 산수’라는 의미도 지니고 있었다.
대상을 파악하는 방법이 소규모적이고 산이나 수목 등 개개의 경물(景物)이 광활하게 전개되지 않으며, 화면의 좌 우 아랫구석으로 몰리게 그림을 그리는 구도를 보여준다. 중앙 윗부분에 상당한 여백이 있어 여백부분이 화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크며, 대각선 구도를 주로 사용하여 시각적 여운을 느낄 수 있다. 이같은 형식은 마하파 산수화의 특색이고 그림 중 인물의 움직임이 두드러진다.

잔상

잔상 殘像 afterimage(영)

주시하고 있던 물체가 없어진 뒤 한참 동안 그 모양이 눈에 느껴지는 상태. 양성 잔상과 음성 잔상이 있다. 양성 잔상이란 자극광(刺戟光)과 같은 감각이 남는 것으로서, 비교적 강한 자극을 단시간 받았을 때 생긴다. 이에 반해 자극을 받은 빛과는 명암이 반대가 되어 그 보색이 나타나는 것을 음성 잔상이라고 하며, 보통 정도의 강도를 장시간 응시했을 때 생긴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의 영상은 양성 잔상을 이용한 것이고, 음성 잔상은 각기 다른 색을 나란히 놓았을 때 그 각각의 색은 그것이 단독으로 있을 때보다 빛깔이 옆에 있는 색의 보색에 접근해 있는 듯이 보이는 현상이다. 이러한 음성 잔상을 색상의 대비라고도 하는데, 배색 효과를 살리는 데 매우 중요하다.